Former slugger makes a pitch for baseball

Home > National > People

print dictionary print

Former slugger makes a pitch for baseball

테스트

Former baseball player Yang Jun-hyuk holds his first book, “Run Like It’s Your Last Chance,” published last week by JoongAng Books, at his office in Yangjae-dong, southern Seoul, last Monday. By Jeon Min-kyu

Many athletes are glorified as gods, but not many are given a nickname to match. Enter former Samsung Lions slugger Yang Jun-hyuk. His nickname in Korean, “Yangsin,” is actually a combination of his last name with the word “sin,” which means “god.”

And in his case, the nickname appears well earned. The 42-year-old has topped almost every career batting category in Korea Baseball Organization history. Yang is the all-time leader in most games played (2,131), hits (2,318), home runs (351), RBI (1,389), runs (1,229) and walks (1,278). He also dominates other batting categories except stolen bases and is tied for first with the most batting titles (four) in KBO history.

But in a recent interview, Yang said he doesn’t want recognition for the records he has set. Instead, the lefty hitter wants to be remembered as “a player who always sprinted to first base,” the position he played throughout his 18-year career. He also hopes to be known as a team player and a baseball enthusiast.

Yang started playing baseball when he was in fourth grade at Namdo Elementary School in Daegu. After graduating from Yeungnam University and playing with the Sangmu team during his mandatory military service, Yang signed with his hometown KBO club, the Samsung Lions, in 1993 and his career took off.

In his first season, Yang had the league’s best batting average (.341) and was named Rookie of the Year. Yang had the most RBI in the league the next season with 87. In 1996, he played every game of the season and led the league with 151 hits to earn the batting title again with a .346 batting average. Yang then won his third batting title in 1998 with a .342 batting average and again had the most hits, 156. From 1996 to 1998, he also won three consecutive Golden Glove awards.

But in 1999, with his teammate Lee Seung-yeop rising as the team’s top batter, Yang was traded to the Haitai Tigers (now the Kia Tigers) along with two other players in a deal for closer Lim Chang-yong.

Feeling shocked and betrayed, Yang initially bad-mouthed the deal and said he would play in the United States. Later, however, he had a change of heart and decided to play for the Gwangju-based team after apologizing to Tigers manager Kim Eung-ryong.

But Yang’s experience motivated him to take an active role in protecting players’ rights and at the start of the 2000 season he established the Korea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Association. That didn’t sit well with the Tigers’ management and Yang was again traded at the end of the season, this time to the LG Twins.

With his new team, he captured his fourth batting title in 2001 before becoming a free agent.

In 2002, he returned to the Lions with the help of his old manager, Kim - who was now with the Lions. Although Yang failed to hit .300 that year, he and the team took home something better - the Korean Series title.

The team won its second Korean Series title in 2005, the year they also got a new manager, Sun Dong-yeol. But the victory signaled the beginning of the end of Yang’s career. With the arrival of Sun, Yang began to lose his status as the team’s star as Sun tried to inject the club with young talent. The team held on to Yang for a few more years, but on Sept. 19 last year, Yang announced his retirement from baseball.

At his final game against the SK Wyverns, Yang didn’t get any hits, but as always, he ran to first base as fast as he could and said a tearful goodbye to fans.

These days, Yang is still in the game, working to promote baseball and get people involved in the sport.

His ideas about baseball are contained in his first book, “Run Like It’s Your Last Chance,” published last week by JoongAng Books.

Yang is also interested in fostering young people’s development through baseball and last month launched an organization that aims to do just that. The organization sponsors scholarships, baseball camps and charity games, among other activities.

Yang spends most of his days as a baseball commentator for SBS, but is also a popular public speaker and honorary ambassador for several organizations. He’s in the cast of the “What Makes a Man” segment of KBS’ “Happy Sunday” variety show.

Last Monday, the Korea JoongAng Daily sat down with Yang at his office in Yangjae-dong, southern Seoul, to talk about life after retirement and his future plans.

테스트

Q. You have a number of jobs. Which is the most comfortable?

A. Nothing is easy. Some people may think that being a commentator is easy, but it’s actually not because I have to offer my analysis. I’m still learning.

Do you think you’ll stick with it?

It’s definitely not my ultimate job. Someday I hope to return to the field, either as an administrator or coach. I haven’t finalized my future plans, but I’m currently focusing more on my baseball organization.

What made you start the organization?

Kids are so trapped at school and there is no creativity or fun.

Some people say that baseball is a microcosm of life and I would agree. I think baseball can teach life lessons. I want to teach kids teamwork, enjoyment and other values through baseball. That’s something schools can’t offer.

What is your new book about?

I want to deliver a message to young people who fear failure. They should always challenge themselves and aim high. But they need to experience failure sometimes because they can learn from it. You need to always face the problem and tackle it head on.

Are you planning to write other books?

If I have the chance I will. I’d like to write another book for teenagers.

In the book, you say that you don’t want to be recognized for the records you’ve set. Why?

I never lived to set records. I just played every day, headed for first base and the records followed. With the Lions, I played with Lee Seung-yeop, one of the greatest hitters in baseball, and I played a supporting role for him. For me, tomorrow comes with putting in my best effort in today.

Which record do you wish you achieved and of which one do you feel most proud?

I wanted 2,500 hits, but I didn’t want to pressure the team in order to get the record. As for the record I’m proud of, I’d say base-on-balls plus hit-by-pitch (1,380), which is clearly related to teamwork. It shows that I was patient enough to give my team the best chance.

You received an offer from the New York Mets in 2001 but didn’t take it. What stopped you?

I wasn’t worried about going overseas, but coming back to the KBO was a concern since I had been branded as the man who had founded the players’ association. I know that was an opportunity I missed, but I was worried that KBO clubs wouldn’t sign me if I failed and had to return to Korea.

You also missed out on a chance to play for the national team that ultimately played in the Olympics and the World Baseball Classic. What happened?

I wanted to play for the national team, but I didn’t know what I could do if the organization wasn’t going to pick me up. In fact, because of the players’ association issue, I was almost buried in the baseball scene.

What qualities should a good batter have?

You always have to evolve. Back when I was a rookie, there were only three types of pitches - the fastball, the curve and the slider. But now pitchers throw a wide variety of pitches. To adjust to and overcome them, you can’t stay at the same level and relax.

What qualities do think batters lack these days?

They have better technique, but they don’t have the stamina of older players. As for mentality, young players lack endurance and will power. When they face difficulty, most of them give up easily.

Who do you think will succeed you?

Lions batter Choi Hyung-woo is doing well and I actually gave him some advice when I retired. As for batters outside the Lions, I think Kim Hyun-soo of the Doosan Bears deserves mention.

What do you think about your nickname?

It’s too much for me. I wanted a more friendly nickname because it’s so awkward for me to think of myself as a god. It’s a good nickname, but it doesn’t make for a good mascot. (Laughs.)

Any final words for your fans?

I just want fans to love baseball more. In the past, baseball was just about watching the game, but now people can play it on their own. Baseball actually offers much more than meets the eye and it’s actually a good metaphor for life.

PROFILE
Yang Jun-hyuk

* DOB / Place: May 26, 1969 / Daegu
* Height / Weight: 188 centimeters / 95 kilograms
*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 Teams: Samsung Lions (1993-1998, 2002-2010), Haitai Tigers (1999), LG Twins (2000-2001)
* Honors
- Rookie of the Year (1993)
- KBO Golden Gloves (1996, 1997, 1998, 2001, 2003, 2004, 2006, 2007)
- Batting titles (1993, 1996, 1998, 2001)
- RBI title (1994)


By Joo Kyung-don [kjoo@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양준혁 “난 못 배웠다 … 인생, 야구에서 깨쳤다”
야구재단 이사장, 방송 해설자, 강사로 변신한 ‘양신’신은 원래 1인자다. 프로야구 판에서 양신(梁神)이라 불린 사내가 있다. 숱한 기록을 보유한 양준혁(42)의 별명이다. 하지만 그는 2인자를 자처한다. “그랬기에 영광이 따랐다”고 자부한다. 은퇴 1년이 다 되지만 그라운드는 되레 더 넓어졌다. 야구재단 이사장에 경기 해설자, 인기 강사, 방송 출연으로 연타석 안타다. 알고 보면 그는 ‘일류 2인자’였다. 그 역설적 단어에 양준혁의 남다른 인생 승부타가 녹아 있다. 

사람 키우고 싶다
양준혁은 능청맞고 입심이 좋다. 연예 프로에서도 톡톡히 끼를 발휘한다. 그렇다고 가벼울 거라 여기면 오산이다. 지난 7일 만난 그는 정글에서 깨친 묵직한 ‘성공 철학’을 쏟아냈다.

●은퇴하더니 더 바쁜 것 같다.

“쉰 날이 며칠 없다. 지난해 9월 19일 은퇴하고 다음날부터 방송 활동을 했으니. 그간 닷새쯤 쉬었을까? 선수 때는 그래도 월요일날 쉬었는데. 지금 방송 출연하고, 해설하고, 강연 나가고, 최근엔 이동통신회사의 트위터 자키까지 맡았다. 또 야구재단을 세워 이사장으로 있으니 다섯 가지 일을 하는 것이다.”

●야구와의 결별이 쉽지 않았을 텐데.

“맞다. 어떻게 보면 사랑하는 애인하고 헤어지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은퇴 뒤 중간에 쉬었으면 굉장히 힘들고 외로웠을 것이다. 많은 일을 하게 돼 좋았다. 사실 선수 때보다 더 힘들다. 하지만 몸이 힘든 게 대수인가.”

●재단 설립은 낯선 얘기 같다.

“실은 은퇴할 때 구단에선 유학을 권했다. 나중에 코치며 감독을 할 수 있게. 그러나 나의 가장 큰 그림은 야구재단 설립이었다. 은퇴 직후인 10월 양준혁 청소년 야구대회를 열었다. 내 이름을 걸고서. 선수가 아닌 일반 학생들 60개 팀을 구성해 게임을 치렀다. 콩 볶듯 허겁지겁한 게 아니다. 2년간 구상했다. 그런 연장선에서 올 6월 재단도 출범한 거고. 야구대회는 물론 캠프도 열고, 장학금도 줄 거다.”

●원래 애들한테 애정이 많나.

“우리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너무 공부만 한다. 학교에서 못 가르치는 걸 야구를 통해 일러주고 싶다. 사회의 리더로 크는 데 도움이 되지 않겠나. 물론 이승엽·박찬호 같은 전문 선수도 키우고 싶다. 하지만 내 포부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같은 지도자들을 길러내는 것이다.”

●야구가 얼마나 도움이 되나.

“선수 출신들이 사회 나가면 잘 적응한다. 야구 자체에 인생이 담겨 있다. 규칙도 있고, 생각이 필요하고, 때로는 자기가 죽으며 팀원을 진루시키는 것도 배운다. 학교에서 가르치지 못하는 게 많다.”

●진지하게 고민한 것 같다.

“나는 배운 게 별로 없다. 중학교 들어간 뒤로는 이른바 ‘엘리트 야구’를 했다. 야구만 한 것이다. 솔직히 말해 수업에 들어가도 알지 못했다. 그러니까 나한테 지식은 없는 거다. 공부는 전혀 한 게 없기 때문에…. 하지만 야구를 통해 인생이나 이런 건 누구 못잖게 배웠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학식에 야구가 가르쳐 준 인생 노하우까지 겸비하면 명품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일본처럼 즐기면서 그렇게 야구를 해야 한다.”

●일본에서 뭔가 충격이라도 받은 건가.

“이번에 동일본 대지진 때 질서정연한 모습 봤잖나. 야구도 거기에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한번은 도쿄대와 와세다대에서 열린 청소년 야구 클리닉에 참여했다. 꼬맹이들이 철저하게 예의를 지켜가며 경기하더라. 종료 뒤엔 밀대로 청소 다 하고, 운동장에 경례까지 하더라. 놀랐다. 우리는 자유분방한 측면이 많다. 맞벌이 저출산으로 애들 더 귀하게 키우려는 부모도 많고. 사실 우리나라 애들이 놀 줄 모른다. 매일 방구석에서 인터넷만 한다. 그러니 생각이 음지화된다. 문화를 바꿔보고 싶다. 공부하고 야구도 즐기는.”

나의 자랑은 ‘볼넷 왕(王)’

●그렇게 야구 좋아하는데 쉽게 헤어졌나.

“아까 사랑하는 여인과 같다고 했다. 일부러 정을 뗐다. 안 그러면 얼마나 보고 싶고, 찾겠나. 의도적으로 공을 쳐다보지 않았다. 참, 힘들었다. 지금도 그렇다. 다만 야구 중계는 팬의 입장에서 하는 것이니 조금 다르고. 아무튼 야구에선 완전히 손 털었다.”

●구장을 떠났지만 기록은 남는다. 뭐가 제일 애착이 가나.

“프로야구 18년 생활에서 통산 최다안타(2318개), 통산 최다홈런(351개) 등을 수립했다. 그러나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사사구(볼넷·1380개)다. 타자라면 누구나 다 때리고 싶어한다. 나라고 왜 욕심이 없겠나. 특히 득점 찬스 때면 더 그렇다. 하지만 참아야 할 순간도 많았다. 진루가 더 중요하니까. 뒤 타자에 이승엽 같은 선수들이 있으면 일단 내가 나가야 다득점을 한다. 사사구로 베이스를 밟는 건 팀을 위한 일이었다. 그건 나를 포기하는 게 아니라 살리는 길이었다.”

●쉽지 않은 일인데. 자기 몸값이 중요한 프로의 세계가 아닌가.

“내가 조연 역할을 한 거다. 알아서 말이다. 이승엽처럼 뛰어난 선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어쩔 때는 그게 자존심이 참 상한다. 2인자라는 자리가 얼마나 서럽나. 특히 한국은 톱만 바라보는 문화가 있다. 뒤에서 아무리 찬스 만들고, 밥상 차려봐야 안 알아준다.”

●때리고 싶은 본능을 어떻게 눌렀나.

“나도 매번 크게 스윙하고 싶었다. 하지만 이승엽 선수가 더 큰 선수로 성장하고 빛나면 다른 팀원들도 덕을 본다. 승엽이 올 때까진 내가 연봉 킹이었고 1억5000만원을 받았다. 그런데 승엽이가 잘해서 3억 받으니 나머지 선수도 쉽게 연봉이 오르더라. 그런 원리를 이미 알고 있었기에 승엽이를 더 밀어준 거다.”

●이승엽을 질시하진 않았나.

“당연히 질투가 난다. 나도 사람인데. 하지만 기꺼이 2인자 역할을 자처했다. 팀에는 ‘중심 인물’이란 게 있다. 그를 위주로 돌아가야 된다. 다만 지도자가 있으면 그걸 빛나게 해주는 건 참모 아닌가. 지도자는 자기 혼자론 안 된다. 밥상도 혼자 안 서 있다. 네 다리가 받쳐줘야 비로소 튼튼하게 설 수 있다.”

●통산으론 홈런왕 타이틀을 거머쥐었지만, 연도별로는 타격왕이 주특기였다. ‘양대포’라는 별명엔 홈런이 더 어울리는데.

“홈런왕에 도전할까 해마다 고민도 많았다. 왜 그런 욕심이 없겠나. 내가 타격왕을 네 번 차지했는데 MVP는 모두 홈런왕한테 빼앗겼다. 우리나라는 한 방을 더 쳐준다. 그렇지만 나는 한걸음 한걸음 나가는, 그런 스타일을 추구했다.”

●겉으론 호방한 성격 같은데. 원래 그렇게 침착하고 생각을 많이 하나.

“실은 내 자신을 참 잘 들여다 본다. 뭘 할 때마다 ‘이건 아냐’ ‘저렇게 해야 돼’ 따진다. 말하자면 내 중심을 단단히 잡고 있는 것이다. 난 자신에게 관대하지 않다. 스스로 잘나서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한 적은 한 번도 없다. 그러니 하루하루 고민을 무지 많이 할 수밖에. 1구 1구에 모든 걸 쏟아붓고 그랬다. 내일부터 잘해야지, 이런 건 없다. 오로지 그 한 게임에 목숨을 거는 것이다.”

최배달과 만세 타법의 비밀

●인생의 위기도 있었을 텐데.

“2002년 슬럼프가 기억난다. 아주 심각한 위기였다. 당시엔 30대 중반 되면 은퇴할 때였다. 나도 10년차였다. 그간 3할대를 아홉 번 쳤다. 그러다 2002년에 한 번 놓쳤다. 사람인지라 한 해는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2년 연속으로 2할대에 놓이면 변명이 안 통한다. ‘나이가 들었네’ ‘양준혁이 갔네’ 이런 비아냥이 나올 게 뻔했다. 그때 ‘타격 폼을 바꿔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오랜 세월 굳은 게 금세 고쳐지나.

“결심하고선 하와이 캠프에 가서 처음 시도했다. 당연히 안 됐다. 수백 번 이유를 따져보고 실패를 거듭했다. 나는 그 실패를 버리지 않았다. 그렇게 시행착오를 반복하다 어느 날 감이 딱 왔다. 우연히 10년 전 신인 때의 타격 사진을 봤다. 공을 치고선 만세 부르듯 했다. ‘그래 이거야’ 쾌감이 일었다. 그걸 면밀히 다듬어 탄생시킨 게 만세 타법이다. 타격 뒤 한 팔을 놓으며 투수 쪽으로 던져 주며, 체중을 실어 치는 것이다. 난 스스로에게 묻고 해답을 찾았다. 의사가 돼서 처방을 내린 것이다. 나를 먼저 알아야 한다.”

●극진 가라테 창시자 최배달에게서도 한 수 배웠다고 들었다.

“만세 타법을 만들 때 응용한 게 있다. 최 배달 만화를 봤는데 격파를 할 때 치고 들어가는 순간보다, 때리고 나서 돌아올 때 더 빠르게 빼는 내용이 있었다. 검도로 치면 끊어서 친 뒤 빨리 나오는 것 같은…. 만세 타법에도 그런 노하우가 녹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똥폼’이라고 혹평도 했다.

“그 효과를 잘 모르는 것이다. 자기들 볼 때는 우스우니 혹평을 한다. 다른 선수들은 따라 하면 안 된다는 말도 하고. 그러나 생각해 봐라. 내가 3할대를 그렇게 많이 쳤으면, 그분들보다 더 잘 아는 것 아닌가. 겉모습으로 누군가를 평가하면 안 된다. 잘할 때면 분명 그 이유가 있다.”

●만세 타법에서 얻은 교훈은 뭔가.

“야구에도 획일화된 답은 없다는 것이다. 자기만의 노하우와 비법만이 있을 뿐이다. 사회의 일반인도 마찬가지다. 그걸 찾아내야 한다. 자기 몸에 맞는 게 정답이다. 물론 타법에서도 꼭 지켜야 할 기본 수칙은 있다. 하지만 그 외의 것은 자기 역량에 달려 있다.”

●어머니가 고생을 많이 했다. 단무지 장사부터 파출부·식당일까지. 가난은 양준혁에게 어떤 것이었나.

“나한테는 강해질 수 있었던 동기가 됐다. ‘무조건 집안을 일으켜야겠다’고 생각했다. 어릴 때부터 그랬다. 어머니가 워낙 나 때문에 고생을 많이 했다. 사실 야구가 좋아서 한 게 아니다. 집을 잘살게 만들고 싶다는 일념으로…. 어떤 어려움이 와도 다 이겨내야 한다고 악물었다.”

●가난했는데 어려서부터 체격이 좋았나. 지금 1m88㎝, 95㎏의 거구인데.

“어릴 때부터 몸집이 크게 나쁜 건 아니었다. 다만 워낙 못 먹어서 코피도 많이 흘리고 약했다. 중학교 때 많이 컸다. 2학년 때부터 1년에 15㎝씩 크더라.”

●몸만 보면 두주불사일 것 같다.

“술은 한잔 먹으면 얼굴이 벌개진다. 그러면 추하게 보이지 않나. 먹으면 잘 먹을 수 있지만, 일부러 안 먹겠다는 것이다. 웬만하면 술은 잘 안 한다. 술 잘 먹었으면 벌써 7~8년 전에 은퇴했을 것이다.”

●15세에 심장병 진단을 받았다는데 선수 생활을 오래 했다.

“그래서 담배를 멀리한다. 심장병 영향이 아직도 조금 있는지, 갑자기 찬 것을 먹으면 심장이 벌떡벌떡 뛴다.”

●강의도 많이 하는데 젊은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꿈이 있으면 묵묵하게 10년, 20년 밀고 나가라는 것이다. 평범한 소리 같지만 행동하는 게 중요하다. 평창 겨울올림픽 유치에 12년이 걸렸다. 될 때까지 하는 것이다. 세상에 안 되는 게 어디 있나. 기계랑 싸우면 모를까. 야구도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다. 다른 일도 마찬가지고.”

●앞으로의 꿈은. 지금은 인생 2루를 돌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는데. 양준혁의 홈은 어떤 모습인가.

“내 이름의 야구장과 야구학교를 짓고 싶다. 내 삶에서 홈을 밟는 순간은, 내가 키운 제자들이 대통령도 되고 시장도 되는 그런 날이다. 진짜 프로는 후계자를 키우는 사람이다.”


j칵테일 >>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

그를 만나는 사람마다 꼭 건네는 질문이 있다. 기자도 그랬다.

Q. 노총각인데 결혼은 언제 합니까. 

A. 때가 되면 가야죠. 이상형도 따로 없어요. 그냥 마음 잘 맞고 그러면 되죠, 뭐.

Q. 그래도 많이 늦었는데. 

A. 사실 장가니 이런 얘기 안 좋아해요. 계속 그 얘길 들으니 스트레스가 많이 쌓여요. 인사치레로 다들 물어보니. 왠지 짜증나는 거죠. 그래서 대답도 잘 안 해요.

  인터뷰가 끝나고 촬영을 할 때 사진기자도 똑같은 질문을 했다. 급수습을 하느라 진땀을 뺐다. 하지만 양준혁의 내심은 그렇지 않은 듯하다. 최근 그는 『뛰어라! 지금이 마지막인 것처럼』이란 책을 냈다. 흥미진진한 야구 얘기로 ‘도전과 성취’란 화두를 맛깔나게 풀어놓았다.

  마침 에필로그가 결혼 얘기였다. 책에서 그는 혼자 회를 뜰 정도의 요리 실력에, 깔끔 독신남으로 살아온 삶이 불편하지 않다고 했다. 오로지 스윙을 하고 1루를 향해 전력질주하던 쾌감에 결혼은 관심 밖이었던 것이다.

j 와의 인터뷰에서도 그는 “그라운드가 사랑하는 여인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이제 양준혁은 그곳을 떠났다. 그러곤 책에서 공개적으로 밝혔다. “인연이 닿는 누군가, 선하게 예쁜 그녀를 만난다면 당장 전력질주할 준비가 돼 있다.” 괴물 별명까지 있는 양준혁도 천상 남자임엔 틀림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