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faces of China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Two faces of China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and long-range missile are shaking the foundation of the Korea-China relations. Deployment of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missile system can change the strategic topography of Northeast Asia. Korean public is cold towards China as China turned blind eye to North Korea’s provocation despite “best-in-history” relationship with Korea. It is the harmful effect of wishful thinking.

Korea’s view on China was shaped by history. Yonsei University history Prof. Baik Young-seo finds the root from the reformist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three views, “loser,” “reform model” and “power balancer,” were formed at that time. China’s defeat in the Sino-Japanese War in 1894 was a turning point, when China went from strong country to loser. The cold perspective was enhan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 became condescending to China. Then, the late-Qing reform movements and Xinhai Revolution led to the Chinese model theory. The advocates of East Asia’s co-prosperity consider China as a balancer. As China rises in the 21st century, its role as a balancer is highlighted. However, these three views are what Korea wants to see from China.

China is not much different. China learned from Korea’s fate of being colonized by Japan.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China began to consider Korea a partner. Liberation and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split China’s view of Korea. North Korea became a blood brother while South Korea became an enemy state. After reform and opening, China saw a new face of South Korea it had hoped to see again, and a diplomatic ties were made. Both China and Korea were looking at each other with a mirror in between and failing to see the real faces.

The mirror has emerged once again since the North’s nuclear test. But this time, China packaged it as “national interests.” After Seoul and Washington made the Thaad deployment official, a young Chinese scholar underscored in a telephone conversation that common interests still play a big part in Seoul-Beijing relations. The common interest he was referring to is the maintenance of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on which Beijing puts the highest priority in its strategies over the peninsula. On the Thaad deployment, the professor simply said it’s a serious challenge to China’s core interests, dismissing the raging public opinion in South Korea.

South Korea has kept its own “wishful thinking,” as seen in the joint communique by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and his Chinese counterpart, Wang Yi, after their meeting on Thursday in Munich. China’s foreign ministry explained that Wang expressed his serious concerns about the Thaad with remarks that sanctions against the North cannot be a goal by themselves. That’s a euphemism for strong opposition to the deployment. The phrase could not be seen in the statement released by our Foreign Ministry.

China deals with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frame of rivalry with the United States, with the unspoken rule of not siding with either Seoul or Pyongyang. The direction of the post-Thaad Korea-China relations is hidden in China.

The author is Beijing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Feb. 13, Page 26

by SHIN KYUNG-JIN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이 한·중 관계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 동북아 전략 지형을 바꾸는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때문이다. 한국의 대중(對中) 여론도 싸늘하다. “역대 최상”이라는 주문에 갇혀 보아야 할 중국에 눈감아서다. 진단이 잘못되면 처방도 그르치기 마련이다.
 중국을 보는 한국의 시각은 역사가 만들었다. 백영서 연세대(사학과) 교수는 조선말 개혁파에게서 뿌리를 찾았다. ‘낙오자’ ‘개혁 모델’ ‘세력 균형자’ 세 가지 관점이 당시 형성됐다는 논리다. 1894년 중국의 청일전쟁 패전은 전환점이었다. 사대(事大)의 대상이 문명의 낙오자로 추락했다. 중국에 대한 싸늘한 시각은 일제 시대를 거치며 강화됐다. 중국 무시론으로 이어진다. 청 말 개혁운동과 공화혁명을 보며 중국모델론이 등장했다. 청 말 동아시아 3국(한·중·일) 공영론 주창자는 중국을 세력 균형자로 여겼다. 21세기 중국이 굴기(?起)하면서 균형자 관점은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세 관점 모두 중국을 거울 삼아 한국을 바라보는 태도다. 모두 한국이 보고 싶은 중국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조선이 식민지로 전락하자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았다. 3·1 운동이 일어나자 한반도를 동반자로 보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국과 연대할 수 있었던 이유다. 광복과 분단은 중국의 시각도 둘로 갈랐다. 북한은 ‘혈맹’ 한국은 ‘적국’이 됐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다시 보고 싶은 한국을 찾아냈다. 한·중 수교와 한류(韓流)로 이어졌다. 중국에 한국 역시 거울에 비친 자신이었다. 양국 모두 거울을 사이에 놓고 바라봤을 뿐 실체는 관심 밖이었다.
 거울은 북한 핵실험과 함께 다시 등장했다. 단 노회(老獪)한 중국은 거울을 국익으로 포장했다. 한·미가 사드를 공식화한 뒤 중국의 한 소장파 교수는 전화 통화에서 “중·한 사이에는 여전히 공동 이익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공동 이익은 곧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로, 중국의 대한반도 전략의 최우선 순위라는 부연 설명도 곁들였다. 사드는 “중국의 핵심 이익에 심각한 도전”이라고만 언급했다. 거울에 가린 한국의 여론은 외면했다.
 한국은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를 이어갔다. 11일 독일 뮌헨에서 열린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회담 발표문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 외교부는 왕 부장이 “대북 제재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다”며 사드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발표했다. 한국이 주장하는 대북 ‘끝장 결의’에 대한 완곡한 반대 표시다. 한국 외교부 발표 자료에 이 문구는 보이지 않았다.
 중국은 항상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반도를 다룬다. 한국이나 북한 일방을 편들지 않는 게 불문율이다. 사드 이후 대중 외교는 지금까지 가보지 않은 길일 가능성이 크다. 우리가 여전히 보고 싶은 중국에 머물러선 안 되는 이유다.
신경진 베이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