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oiding a bloody clash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Avoiding a bloody clash

Chilgok County, North Gyeongsang, was surprised by news that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would be deployed in the area on July 5. The county government and council issued a joint statement that the people of the county and its authorities strongly oppose the deployment.

In the morning, it was reported that the U.S. Forces in Korea would likely deploy Thaad there in spite of the protest.

On July 4, residents of Eumseong County, North Chungcheong, another potential site, launched a committee opposing Thaad deployment in the region.

They pledged to “fight to defend peace and their right to life.”

Residents of other regions mentioned in the media as potential sites — Gunsan in North Jeolla and Pyeongtaek in Gyeonggi — are also organizing opposition movement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opposition is a health concern. People believed Thaad emits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In fact, Chilgok County authorities claimed that when Thaad’s radar is at a 130 degree angle, its electromagnetic waves can reach as far as 5.5 kilometers.

Even thoug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rgues that everyone is safe as long as they stay 100 meters from Thaad, there are no direct or indirect efforts to persuade residents of this.

Ministry officials are silent on anything involving Thaad for security reasons. With working-level negotiations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ongoing for three months now, the Ministry of Defense continues to say that nothing has been confirmed. The ambiguity is fanning the concerns of residents into panic.

But a Defense Ministry spokesman told the media on July 5 to refrain from reporting on the issue until the government makes an official announcement. Deeming Thaad to be a serious national issue, the administration wants everyone to follow the government’s wishes. They are understandably concerned about Korea’s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should Thaad be deployed.

But average Koreans are worried the government is repeating past mistakes.

In 2006, residents of Daechu-ri Village in Gyeonggi Province were involved in a bloody clash with government forces over the relocation of a base in Pyeongtaek.

Residents opposed the land expropriation and compensation offered. Most refused to voluntarily give up their land, so the Ministry of Defense seized it and prohibited residents from farming there starting in the winter of 2005. The clash occurred when residents tried to start farming again in the spring.

Citizens should no longer have to make concession whenever the military demands. When the government engages in closed-door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picks a site without making any efforts to persuade the people, deadlock or chaos are the only outcomes.

JoongAng Ilbo, July 6, Page 29


*The author is a political and inter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JEONG YONG-SOO



경북 칠곡군이 5일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설에 깜짝 놀랐다. 군과 군의회가 공동으로 "군민과 함께 사드 배치를 강력히 반대한다"는 성명서까지 발표했다.
주한미군이 사드를 칠곡 지역에 배치할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가 이날 오전 나왔기 때문이다.
4일엔 또 다른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충북 음성 주민들이 군청에 모여 ‘사드 배치 반대 음성군 대책위원회’ 출범식을 하고 “평화와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결의했다. 전북 군산이나 경기도 평택시 등 언론에 거론된 사드 후보지 주민들도 조직적인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해당지역 주민들이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건강에 대한 우려다. 사드 포대(레이더, 발사대 6개, 미사일 48발)가 배치될 경우 1000㎞이상을 감시할 수 있는 강력한 레이더 전자파가 나온다고 믿고 있다. 실제로 이날 칠곡군은 "사드 레이더 좌우가 130도일 때 전자파가 최대 5.5㎞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칠곡주민들의 주장과 달리 사드 레이더와 100m 떨어진 곳부터는 안전하다는 게 국방부 입장이다. 그러나 어떤 직·간접적인 설득노력도 없다. 국방부 관계자들은 사드의 ‘ㅅ’자만 나오면 보안을 이유로 입을 닫는다. 사드 배치를 놓고 한·미 실무협의가 3개월째 진행 중인데도 국방부는 “결정된 건 없다"는 입장만 반복한다. 국방부가 오히려 주민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는 셈이다. 이런 식이면 어떤 괴담으로 번질지 모른다.
그런데도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5일 언론에 “정부가 공식적으로 설명할 때까지 보도를 자제해 줄 것을 말씀드린다”는 말까지 했다. 국가 중대사인 사드 문제를 깜깜이로 만들고, 나중에 정부가 결정하면 따라 오라는 뜻이다. 물론 주변국과의 문제나 사드가 배치될지 모를 지역의 갈등을 우려해서임을 이해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러다 과거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여기저기서 나온다. 지난 2006년 '대추리 사태' 말이다. 10년 전 평택 미군기지 이전에 반대하는 주민들과의 군·경간에 유혈충돌이 일어났다. 토지수용과 보상과정에서 국방부의 일방적인 집행에 대추리 주민들이 반발한 것이다. 주민들 다수가 토지 수용을 거부하자 국방부는 2005년 11월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수용재결을 통해 소유권을 이전해왔다. 그런 뒤 2005년 겨울부터 주민들에게 농사를 짓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다 2006년 봄 농사를 지으려는 주민들과 충돌이 발생했다.
이제 군이 필요하다고 국민이 양보하는 시대는 지났다. 지금처럼 밀실에서 미국과 협의를 하고, 어떤 설득 노력도 없이 장소를 정한 뒤 일방적으로 통보할 계획이라면, 정책자체가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이제는 안보도 '프로세스'가 중요하다.

정치국제부문 기자 정용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