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rl power abroad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Girl power abroad (국문)

It is a golden age for female diplomats. Since 2000, three out of five American secretaries of state have been women: Madeleine Albright, Condoleezza Rice and Hillary Clinton. Colin Powell and John Kerry have been the only men. The current and previous high representatives of the European Union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the organization’s chief coordinator of foreign policy, are female: Catherine Ashton and Federica Mogherini. For the next secretary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the public wants a woman to take the post.
The dominance of female diplomats started in Korea long ago. In 2005, more female candidates passed the foreign service examination than male applicants, and the ratio has been constantly rising.

Still, the latest results for this year, released on Friday, are particularly special. Among the 41 applicants who passed the examination, 70.7 percent, or 29, were female, which is the maximum quota. According to the scores, the portion of females should have been 76.3 percent. But because of the gender hiring target that forbids a certain gender from making up more than 70 percent of seats, three additional male candidates were accepted.

At this rate, 70 percent of new diplomats will be women for sure. Female candidates tend to have better foreign language skills, and at top universities, language and foreign affairs-related majors are mostly women. In fact, 26 out of 2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08 were female. Just lik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diplomat is likely to be a profession associated with women.

In the United States, it was once rare for a woman to be appointed ambassador. The justification was that a male ambassador’s wife would play a diplomatic role, whereas a female diplomat would often be posted by herself and require additional staffing. The U.S. State Department often reflected wives’ activities in ambassador evaluations.

It was also not easy to send female diplomats to dangerous areas, and countries with gender discrimination felt insulted when a female ambassador was sent. After a lawsuit was filed with the U.S. State Department in 1976 for gender discrimination, the practice faded.

While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diplomatic field has decreased, it does not mean all is well. Many female diplomats still go to assigned posts without family. Female diplomats are more vulnerable in dangerous regions, and gender discrimination is still serious in some Islamic countries. When Albright visited such regions, high officials there often left the country to avoid dealing with a female counterpart. If the dominance of female diplomats is an irreversible trend, we need to seek solution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JoongAng Ilbo, Oct. 4,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NAM JEONG-HO


바야흐로 여성 외교관 전성시대다. 2000년 이래 4명의 미국 전임 국무장관 중 콜린 파월을 뺀 3명(매들린 올브라이트, 콘돌리자 라이스, 힐러리 클린턴)이 여성이었다. 유럽연합(EU)의 대외 수장인 외교안보 고위대표의 전임자 2명(캐서린 애슈턴, 페데리카 모게리니) 역시 마찬가지다. 게다가 차기 유엔 사무총장은 여성이 돼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외교가 내 여풍(女風)은 이 땅에서도 진작 불었다. 2005년 처음 절반을 넘었던 외교관 시험 여성 합격자는 증가 추세였다. 그럼에도 지난 30일 발표된 시험 결과는 사뭇 특별했다. 전체 합격자 41명 중 여성이 29명으로 70.7%를 차지해 규정상 최고치에 도달한 까닭이다. 성적만으로는 여성 비율이 76.3%가 돼야 했다. 하지만 남녀 한쪽 비율이 70%를 못 넘게 한 ‘양성평등채용목표제’로 남성 3명이 추가 합격한 것이다.
이대로라면 새내기 외교관의 70%는 늘 여성으로 채워질 게 뻔하다. 남성보다 외국어에 능하기 때문만이 아니다. 외교관의 산실이라는 주요 대학 내 외교 관련 학과와 어문계열 모두 여성이 다수인 까닭이다. 실제로 지난 2008년 서울대 외교학과 진학생 28명 중 26명이 여학생이었다. 초등학교 교사 마냥 외교관도 '여성 전유물'로 각인될 판이다.
하지만 한국은 물론이고 미국에서도 70년대까지 여성의 대사 임명은 기피했다. 해명이 걸작이었다. “남성 대사는 부인까지 나서서 외교 사절 역할을 하지만 여성 외교관은 독신 부임해 결과적으로 인건비가 두 배가 든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국무부는 부인의 활동까지 대사 평가에 반영했다. 게다가 여성 외교관은 아프리카 같은 험지에서 일하기 어려운데다 남녀차별이 심한 나라에 이들을 보내면 자신들을 무시한다고 여기는 것도 이유였다. 결국 1976년 “국무부가 성차별을 하고 있다”는 소송이 제기돼서야 성차별이 급격히 줄기 시작했다.
외교가 내 성차별은 줄었지만 그렇다고 과거의 논란이 해소된 건 아니다. 여전히 여성은 단신 부임이 일반적이다. 치안불안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여성이 취약하고 이슬람국가에서 심각한 성차별이 성행하는 것도 맞다. 실제로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이 이곳을 방문할 때면 실력자들이 슬며시 출국하는 경우가 잦았다고 한다. 여성 국무장관과 상대하기 싫었던 거다. 여성 외교관이 돌이킬 수 없는 대세라면 이런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지 해법을 찾아야 할 때다.

남정호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