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f century of robot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alf century of robot (국문)

An unfamiliar-looking machine that weighed up to 1.2 tons was installed on an assembly line at a General Motors located in Trenton, New Jersey back in 1959. It was the first industrial robot named Unimate #001, conceived and designed by two engineers, George Devol and Joseph Engelberger.

When the robot arm began transporting parts from here to there, laborers hailed with joy and excitement. Thanks to the robot arm, no one would get hurt by moving hefty parts and doing dangerous jobs.

The public opinion over the first ever industrial robot was favorable, too.

Unimate 1900, the first mass produced robot, made an appearance on NBC’s “Tonight Show” in 1966 and did tricks such as putting a golf ball into a cup or pouring beer. The robot also pretended to lead a band as it moved its arms up and down. The robot made viewers’ jaws drop.

But the craze over robots didn’t last long, with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People were concerned about their increasing presence.

With AI robots, the production of GM has doubled. Not only the auto industry but other industries brought on AI robots and the robots have deprived workplaces of thousands of employees.

Carlos Menem, the former president of Argentina, even said in 1994 that robots should pay taxes. He said companies which install high-tech machinery are increasing unemployment rates thus they should pay robot taxes so that the taxes could be used for unemployment benefits and job training. His comments made headlines in newspapers all around the world.

But now the robot taxes, first mentioned by Menem, are taken seriously by leading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Collecting robot taxes is one of the pledges of Benoit Hamon, a presidential candidate of the ruling party in France.

Bill Gates, the co-founder of Microsoft, joined the bandwagon and said robots should pay taxes if they take the jobs of humans.

The European Parliament is against collecting robot taxes but h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re needs to be discussions over what the ethical standards are when using robots and their legal status.
Some even go as far as to say that robots should be classified as electronic humans.

Th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brought on by robots are important issues to many countries.

Korea, which has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industrial robots after China, is no exception.

Kim Se-yeon of the Bareun party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imposing taxes on machinery during a forum held last year.

Robot comes from an old Czech word meaning forced labor or slave. Unlike their original meaning, robots surely have changed the world over the past half century.

JoongAng Ilbo, Feb. 21,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RAH HYUN-CHEOL


1959년 미국 뉴저지주 트렌턴의 GM 공장 주조라인에 1.2t짜리 낯선 기계 한 대가 설치됐다. 엔지니어 조지 드볼과 조셉 엥겔버거가 처음 만든 산업용 로봇 ‘유니메이트(Unimate) #001’이었다. 기계의 강철 팔이 자동으로 형틀에서 부품을 꺼내 옆으로 옮기자 근로자들이 환성을 터트렸다. 무겁고 위험한 일을 하다 다치는 사람은 다시 없을 터였다. 대중의 반응도 호의적이었다. 로봇이 TV에 등장한 건 1966년 NBC 텔레비전 ‘투나잇 쇼’가 처음이다. 진행자 자니 카슨이 개량형 로봇 ‘유니메이트 1900’에게 이런저런 ‘묘기’를 주문했다. 골프공을 집어 컵에 넣고 맥주를 따르는 따위의 일이었다. 팔을 흔들며 악단을 지휘하는 시늉을 내게도 했다. 시청자들은 사람이 필요 없는 기계가 다 있다며 신기해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신기함은 걱정과 우려로 변해 갔다. 로봇공학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지며 로봇 숫자가 급속히 불어났다. 로봇으로 무장한 GM의 생산성은 두 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경쟁 자동차 회사뿐 아니라 모든 기업이 로봇 도입 경쟁에 나섰다. 그때마다 수천 명의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었다. 급기야 1994년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로봇세(稅)’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기업들이 최신설비를 도입해 실업률이 높아지니 로봇세를 걷어 재교육과 실업수당을 충당하자’는 거였다. 반응은 조롱 일색이었다. “산업경쟁력을 높여야 할 글로벌 시대에 무슨 황당무계한 얘기냐”는 거였다. 그의 발언은 전 세계에 해외토픽으로 타전됐다.
불과 20여 년이 지난 지금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세계경제의 주류인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로봇세 논의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프랑스 집권 사회당의 브누아 아몽 대선후보는 로봇세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도 “로봇이 사람들의 일자리를 차지한다면 그들도 세금을 내야 한다”고 가세했다. 로봇의 윤리와 역할, 법적 지위에 대한 고민도 시작됐다. 유럽의회는 ‘로봇세 도입에 반대하지만 로봇 개발과 배치에 대한 윤리적 체계와 책임에 대한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결의했다. 기업에 법인 자격을 주는 것처럼 로봇에 전자인간의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선진국조차 로봇이 야기한 경제·사회적 충격을 더 이상 외면하기 어려워졌다는 방증이다. 중국 다음으로 산업용 로봇을 많이 가진 한국엔 ‘강건너 불’이 아니다. 이미 국회에서 ‘기계 과세론’이 등장했다. ‘강제 노동’ 혹은 ‘노예’라는 의미의 체코어인 로봇이 반세기 만에 세상을 참 많이 바꿔놨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신기함은 걱정과 우려로 변해 갔다. 로봇공학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지며 로봇 숫자가 급속히 불어났다. 로봇으로 무장한 GM의 생산성은 두 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경쟁 자동차 회사뿐 아니라 모든 기업이 로봇 도입 경쟁에 나섰다. 그때마다 수천 명의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었다. 급기야 1994년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로봇세(稅)’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기업들이 최신설비를 도입해 실업률이 높아지니 로봇세를 걷어 재교육과 실업수당을 충당하자’는 거였다. 반응은 조롱 일색이었다. “산업경쟁력을 높여야 할 글로벌 시대에 무슨 황당무계한 얘기냐”는 거였다. 그의 발언은 전 세계에 해외토픽으로 타전됐다.
불과 20여 년이 지난 지금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세계경제의 주류인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로봇세 논의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프랑스 집권 사회당의 브누아 아몽 대선후보는 로봇세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도 “로봇이 사람들의 일자리를 차지한다면 그들도 세금을 내야 한다”고 가세했다. 로봇의 윤리와 역할, 법적 지위에 대한 고민도 시작됐다. 유럽의회는 ‘로봇세 도입에 반대하지만 로봇 개발과 배치에 대한 윤리적 체계와 책임에 대한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결의했다. 기업에 법인 자격을 주는 것처럼 로봇에 전자인간의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선진국조차 로봇이 야기한 경제·사회적 충격을 더 이상 외면하기 어려워졌다는 방증이다. 중국 다음으로 산업용 로봇을 많이 가진 한국엔 ‘강건너 불’이 아니다. 이미 국회에서 ‘기계 과세론’이 등장했다. ‘강제 노동’ 혹은 ‘노예’라는 의미의 체코어인 로봇이 반세기 만에 세상을 참 많이 바꿔놨다.

나현철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