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9-1 Education>] Building the classroom of the 21st century (국문)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Kore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9-1 Education>] Building the classroom of the 21st century (국문)

테스트

[ILLUSTRATED BY BAE MIN-HO]

Economists who preach the gospe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ut the massive potential for technology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humans, but the added convenience will undoubtedly come with disruptiv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4차 산업혁명을 주창하는 경제학자들은 기술이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킬 가능성을 내세운다. 하지만 편리함이 커진 만큼 노동 시장은 분명 파괴적인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

It won’t be long before clerical and retail work are performed by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s offer many of the services in prestige fields like law, finance, education and medicine.

로봇이 사무직과 소매업 인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 플랫폼이 현재 각광받는 금융·교육·의학 등의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날이 머지 않았다.

테스트

There is already discussion about what jobs and skills will survive, and the world faces the great task of educating and training the next generation of workers to adapt to new technologies.

어떤 직업과 기술이 살아남을 지에 대한 논의는 이미 진행 중이다. 그리고 세상은 새로운 기술에 적응할 다음 세대 직업인들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중대한 임무에 직면하고 있다.

Marco Annunziata, chief economist and executive director of global market insight at GE, has noted that the workforce will need to go through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because jobs of the future will demand “well-develope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reativity.”“Education and training need to catch up and fast,” he said in a Globe and Mail column in December.

GE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르코 아눈지아타(Marco Annunziata)는 지난해 12월 ‘글로브 앤 메일’에 기고한 칼럼에서 미래의 직업은 ‘제대로 발달된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엄청난 변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교육과 훈련이 (그런 변화를) 빨리 따라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On top of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lik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collectively known as STEM, education experts also emphasize the 6C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curiosity — abstract qualities that are more difficult to teach but vital to childhood development.

교육 전문가들은 과학·기술·공학·수학, 즉 STEM으로 불리는 전통적인 교과에 더해 6C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6C란 창의력, 비판적인 사고, 의사소통, 협동, 컴퓨터적 사고, 그리고 호기심을 말한다. 가르치기 더 어렵지만 어린이의 발달에 필수적인 추상적인 자질들이다.



The classroom of the future

미래의 교실


In December last year,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proposed a set of measures that will maximize students’ aptitude in the classroom and foster their ability to think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지난해 12월 한국 교육부는 교실에서 학생들의 적성을 최대한으로 살리면서, 스스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줄 방안을 제시했다.

“For education reform to bear fruit, innovation in classrooms and teachers’ roles are essential,” the ministry noted in a report containing the proposal.

교육부는 제안을 담은 보고서에서 “교육 개혁이 결실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실의 혁신과 교사들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Massive open online courses, or MOOCs, have been regarded as a dominant force in the transformation of pedagogy. MOOCs are online courses in which anyone with a computer, regardless of age, location or education background, can join.

최근 온라인 공개수업, 즉 무크 (MOOC)는 교수 방법의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해왔다. 무크란 컴퓨터만 있다면 지역과 교육 배경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과정이다.

They are usually offered by well-financed providers associated with top universities, are readily accessible on the web and have no limits on participation. The typical course consists of several units that include video lectures with closed captioning, assignment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concepts and quizzes to reinforce ideas.

무크는 대체로 자금력 있는 기관이 상위권 대학들과 협약을 맺고 제공한다. 웹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참여에 제한이 없다. 무크 코스들은 대체로 자막이 있는 비디오 강연과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는 숙제, 그리고 아이디어를 강화시켜 주는 퀴즈 등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In October 2015,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its own version of a MOOC, called K-MOOC, which makes university lectures available online to the general public. According to the Education Ministry, a total 260,000 people have registered for the state-funded K-MOOC lectures as of April 2017.

2015년 10월 한국 정부는 한국 사정에 걸맞게 개발한 K-무크를 출범시켰다. K-무크는 일반 대중에게 온라인으로 대학 강연을 제공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26만 명이 K-무크에 등록했다.

The government plans to add over 160 lectures on engineering, the humanities and Korean literature, fields that have seen a large demand, this year. In total, there will be 300 lectures available from 10 universities nationwide.

정부는 공학·인문학·한국문학 등 수요가 많은 과목 위주로 160개 이상의 강연을 추가 개설할 예정이다. 통틀어 전국 10개 대학의 300개의 강연을 들을 수 있게 된다.

“The new online education system is expected to make possibl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yond space, unlike previous cyber-based learning that was based on videos,” said Choi Yoon-hong, head of school policy at the Education Ministry.

최윤홍 교육부 학교정책과장은 “비디오 중심의 사이버 학습과 달리 새로운 온라인 교육 시스템(무크)을 이용하면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It has the potential to ease the education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and make up for a shortage of teachers in remote areas.

무크는 또 도시와 시골 간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외딴 지역의 교사 부족 현상 또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OOCs are also being used in lifelong education beyond K-12 and college.

무크는 또 K-12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12년간의 정규 교육과정)과 대학 이후의 평생 교육에도 활용된다.

Udacity, a MOOC provider that grew out of free computer science classes offered at Stanford University, is one example.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제공하던 무료 컴퓨터 과학 교실에서 시작된 유다시티(Udacity)가 대표적인 예다.

The company initially issued certificates of completion for individual courses in computing, math and physics but began allowing students to pay an $89 fee for a final exam that could grant them a credential.

이 1세대 무크 회사는 초기에는 컴퓨터·수학·물리학 과목의 강의이수 증명서를 발급했는데, 이후엔 학생들이 89달러를 내면 자격증 취득으로 이어지는 기말고사를 치를 수 있도록 했다.

Udacity now works with employers like Amazon and Facebook to offer “nanodegrees” that are tightly vocational.

현재 유다시티는 아마존이나 페이스북 같은 기업과 협업을 통해 직업에 직결되는 ‘나노 학위’를 수여한다.

More than 30 companie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and Intel have signed up to work with Udacity as “hiring partners” that can gain access to graduating students before they enter the wider job market.

삼성전자와 인텔 등 30여 개 기업들은 ‘고용 파트너’로서 유다시티 졸업생들이 구직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접촉할 수 있다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Sebastian Thrun, founder of Udacity, said in an interview with MIT Technology Review in December last year that there was a growing mismatch between people's pedagogical needs and the idea of once-in-a-lifetime education in college, which “made sense when people had one job for life. Now technology moves fast and people are forced into new jobs quickly.” That means individuals have no choice but to be agile in learning and adapting.

세바스찬 트룬 유다시티 설립자는 지난해 12월 ‘MIT 테크놀로지 리뷰’와의 인터뷰에서 교육 관련 수요와 ‘인생에서 단 한 번 뿐’이라는 대학 교육에 대한 인식 사이의 간극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인식은 사람이 평생 한 가지 직업만 가지는 시대에 걸맞는 것인데 이제는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람들도 새로운 직업에 빨리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빨리 새로운 것을 배우고 적응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의미다.

Lee Min-wha, one of Korea’s first start-up entrepreneurs and a guest professor at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choes this view. “We are entering the age of active aging, where there is no notion of retirement,” he wrote in a recent column in the Seoul Economic Daily. “Even after you spend 25 years at work to reach 52 years old, you still have another 25 years to work, which inevitably requires constant job change. That creates unlimited demand for occupational education.” Lee foresees a future where lifelong education will surpass K-12 schooling in importance.

한국의 1세대 벤처 기업가인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최근 칼럼에서 “이제 은퇴가 없는 액티브에이징(active aging) 시대에 들어서고 있다”면서 “평균 52세까지 25년을 근무하고 은퇴해도 77세까지 25년은 더 일할 수 있다. 초고령화로 인생이모작 시대가 열린다. 4차 산업혁명의 지속적인 일자리 변화는 초고령화가 요구하는 이모작 교육을 넘어 N모작 교육 수요를 창출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현재 초중고대학의 정규교육을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The creative classroom

창의적인 교실


For all the technological convenience of MOOCs, they can never replace the experience of hands-on learning.

무크가 이용하기 편리하다고는 하지만 직접 해보는 것만은 못하다.

In the past few years, makerspaces have also emerged as a buzzword in education.

지난 몇 년간 ‘메이커스페이스’는 교육 부문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Makerspaces are workshops, either in schools or private institutes, that offer the tools and learning experiences which students can use to help carry out their ideas. They can create anything from electronic devices to robots using open-source learning materials and rapid prototyping tools like 3-D printers and raw materials.

메이커스페이스는 학교나 사설 교육기관의 공작소(워크숍)을 말한다. 도구와 학습 경험을 제공해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공간이다. 학생들은 스스로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고, 오픈 소스 학습 자료나 3D 프린터 등을 활용해 간단한 전자기기부터 로봇까지 만들 다양한 물건을 만들어 볼 수 있다.

The idea originates from the generations-old tradition of building products in workshops, and the concept has been spotlighted for its benefits in engaging learners in creative higher-order problem-solving through hands-on design and construction.

이러한 활동은 워크숍에서 물건을 만들어 내는 전통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최근에는 직접 디자인하고 구성해보는 작업을 통해 높은 수준의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Choi Jae-kyu, CEO and founder of Magic Eco, a Korean start-up specializing in coding education under the brand name 10make, believes the role of makerspaces in education is growing.

10메이크라는 코딩 교육 브랜드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매직에코’의 최재규 대표는 교육에서 메이커스페이스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고 말한다.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commonplace, the ability to simply solve math problems will no longer be valid as a core competitiveness,” Choi said. “What humans will need to do is work together with other humans and persuade them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최 대표는 “인공지능이 일반화되면 단순히 수학 문제를 푸는 능력은 더 이상 인간의 핵심 경쟁력이 되지 못한다”며 “앞으로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다른 인간과 협업하고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ome public middle schools, universities and district offices are running makerspaces themed on invention and design, but most parents have to pay extra to let their children experience these alternative education experiences after school. The students, mostly in teams, can build drones out of Lego bricks, develop mobile apps and create mechanical toys.

일부 중학교·대학교 및 구청들은 발명과 디자인에 초점을 둔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방과후교육에 추가 비용을 지불한다. 학생들은 대체로 팀을 이루어 레고를 이용해 드론을 만들거나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장난감 기계를 만든다.

As the makerspace concept gains traction, some colleges in Korea are beginning to give extra marks to students who engage in makerspace activities, modeled after overseas universities like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hat are already doing so. Korean public education, though, has yet to formally adopt makerspaces, and many pedagogical experts are urging the government to expand investment in such facilities.

메이커스페이스라는 개념이 확산됨에 따라 한국의 일부 대학들은 메이커스페이스 활동에 참여한 경력을 가진 대입 지망생들에게 가산점을 주기 시작했다. MIT 같은 해외 대학들이 이미 시행중인 제도다. 한국의 공교육에서는 아직 정식으로 메이커스페이스를 도입하지 않은 상황인데, 많은 교수법 전문가들은 정부가 이러한 공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The question of how to renovate or repurpose classrooms to address the needs of the future is being answered through the concept of makerspaces,” the U.S.-based New Media Consortium wrote in a preview of its 2017 K-12 NMC/CoSN Horizon Report, an annual report on technology trends in global education. The full report is set for release in August.

미국의 뉴미디어 컨소시엄은 2017년판 ‘K-12 NMC/CoSN 호라이즌 리포트’ 프리뷰에서 “미래 교실을 어떻게 개선하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느냐에 대한 해답을 메이커스페이스라는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호라이즌 리포트는 매년 세계 교육의 기술 트렌드를 소개하는 권위 있는 보고서로 2017년판은 오는 8월 정식 발간될 예정이다.

The preview forecasts makerspaces will be commonly adopted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 countries within a year as 3-D printers and 3-D modeling apps become increasingly accessible to more people.

최근 발간된 프리뷰에서는 3D프린터나 3D 모델링 앱이 더 많이 보급됨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가 앞으로 1년 안에 선진국의 교실에서 더욱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Robots are also expected to be widely adopted by schools in one year’s time or less, and the time to adoption for analytical technologies and virtual reality is estimated to be two to three year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are expected to become mainstream in schools in four to five years, according to the report.

로봇 역시 1년 이내에 교실에 널리 보급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2~3년 이내에 분석 기술과 가상현실(VR)이 도입되고, 4~5년 이내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학교에서 주요 교육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Computer coding, the report noted, represents a core part of makerspace activities in a broader context because many educators perceive coding as a way to stimulate computational thinking. “The rise of coding signals a shift from instructing students how to use computers, applications, and programs toward how they are built,” the report said.

컴퓨터 코딩은 넓은 의미에서 메이커스페이스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많은 교육자들은 코딩이 컴퓨터적 사고를 자극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리포트는 “코딩의 부상은 교수법의 초점이 학생들이 컴퓨터나 앱,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서 이것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로 옮겨가게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To better prepare learners from a young age, more school leaders and technologists are making the case for coding in the K-12 curriculum. Britain is 2014 made computer coding a compulsory part of the curriculum for every child over five; China and India did the same in 2010. And in a meeting with President Donald Trump on Monday, Apple CEO Tim Cook called for making coding a mandatory part of the U.S. education system.

학생들이 어릴 때부터 준비할 수 있도록 많은 학교와 기술자들은 코딩을 K-12 과정의 정규 과목으로 편입시키고 있다. 영국은 2014년부터 코딩을 5세 이상의 어린이대상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시켰다. 중국과 인도는 2010년에 같은 조치를 취했다. 팀 쿡 애플 대표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코딩을 의무교육 과정에 포함시킬 것을 건의했다

Korea is belatedly preparing to incorporate software education and coding into the curriculum at middle and high schools starting next year and elementary schools by 2019.

한국은 2018년 중ㆍ고등학교를 시작으로 2019년에는 초등학교까지 코딩 교육을 정규 교과목으로 편성할 예정이다.



The holistic classroom

교육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


As schools increasingly incorporate activities that foster active learning and promote problem-solving skills, the roles and duties of teachers are undergoing changes, too.

학교들이 액티브 러닝 학습과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교사들의 역할과 의무 또한 변화하고 있다.

“The rise of blended and online learning is contributing to this shift,” the New Media Consortium wrote in its 2016 report. “With a wealth of content available online, teachers are no longer expected to serve as the sole authoritativ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classroom.”

‘뉴미디어 컨소시엄’은 2016년 보고서에서 “융합 교육과 온라인 교육이 이같은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많은 콘텐트가 온라인으로 제공되면서 교사들은 더 이상 교실에서 유일한 권위 있는 정보의 원천이 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But it doesn’t mean teachers will be entirely removed from classrooms or replaced by robots.

하지만 이는 교사들이 교실에서 사라지고 로봇으로 대체돼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Teachers are now tasked with changing their leadership style from directive to consultative and involving students in planning,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e report noted.

보고서는 “교사들은 지시에서 상담 위주로 리더십 스타일을 바꾸고 학생들을 기획·실행·평가에 참여시키는 임무를 맡게 됐다”고 밝혔다.

The so-called flipped classroom underscores these changes. Here, the idea is flipping the focus from teachers to students. Class time is spent exploring topics in greater depth through activities like lab experiments and debate, and teachers’ interaction with students are more personalized and less didactic.

‘거꾸로 교실’은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다. 거꾸로 교실의 중심은 교사가 아닌 학생이다. 수업 시간은 실험이나 토론 등의 활동을 통해 한 가지 주제를 더 깊게 탐색하는 데에 할애되며, 교사의 학생의 상호작용은 더 개별적이고 덜 일방적이 된다.

Korea’s Education Ministry is deliberating on a series of measures to address changes in the role of teachers. Some of the measures include revising curricula at teachers’ colleges and amending the content of state exams for becoming teacher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rocess of fostering teachers and developments in education, the ministry is also considering providing mandatory training for a designated period before those who pass the exam are dispatched to respective schools.

한국 교육부는 교사의 역할 변화와 관련해 일련의 대책을 준비 중이다. 그 중에는 교육 및 사법대의 커리큘럼을 수정하거나 임용고시를 개정하는 것이 있다. 교사 양성 과정과 교육의 발전 간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임용고시에 합격한 예비교사들이 일정 의무기간 동안 연수를 받도록 하는 것도 고려 중이다.

In a related move, 15 professor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launched at the beginning of this year a group devoted to discussing “creative pedagogy” based on the idea that any student can become more creative if taught properly.

이와 관련해 서울대 교수 15명은 올초 창의적인 교수법을 모의하는 모임을 만들었다. 이들은 어떤 학생이든 제대로 배우면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고 본다.

Many say Korea already lags behind when it comes to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aid Lim Cheol-il, an education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hairman 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But we believe resetting the teaching methods at university level could make up for the gap.”

한국교육공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서울대 임철일 교육공학과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한국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에 뒤떨어졌다고 주장하지만 대학 교육 선에서 교수법을 재설정하기만 해도 그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ore interdisciplinary teaching is required as well, experts say, given the convergence of man and machine in the near future. The subject distance between science and the humanities is expected to be greatly reduced, which is why the liberal arts have been highlighted as key to sustaining innovation.

전문가들은 인간과 기계가 융합하게 될 머지않은 미래를 대비해 학제융합교수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과학과 인문학 간의 간극이 크게 줄어들 것므로 교양 과목이 지속 가능한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Brookings Institution, a think tank in the United States, noted in a recent report that students in liberal arts programs have the extensive skills necessary to ride 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effectively paired with disruptive technologies.”

미국 싱크탱크인 ‘브루킹스 연구소’는 최근 리포트에서 교양 과목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을 헤쳐 나가는 데에 필요한 광범위한 역량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이 역량이 “파괴적인 기술과 효과적으로 조합됐을 때”라는 전제 하에서다.

Kim Jin-soo, a long-time entrepreneur and education expert who in March launched the Edutech Start-up Alliance in Korea, says education’s value orientation should still lie in basics.

지난 3월 출범한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얼라이언스의 김진수 대표는 교육의 가치지향점은 여전히 교육의 기본에 있다고 강조한다.

“An everlasting point of education is about nurturing well-rounded humans with healthy mindset and body, nice personality to harmonize well with others after all,” he said. “Technologies are a means of propping up such efforts.”

그는 “교육의 변치 않는 가치는 결국 건강한 마음가짐과 신체, 다른 이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좋은 인품을 지닌 전인적인 사람을 키우는 데에 있다”며 “기술은 그런 노력을 뒷받침하는 도구”라고 말했다.


서지은 기자 SEO JI-EUN [seo.jieu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