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irtue of rest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virtue of rest (국문)

A few years ago, I worked for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n Paris for a year. It was an opportunity to personally experience foreign corporate culture. OECD employees are given 30 days of paid vacation after one year of service, and 11 French holidays are also observed. On top of that, the entire headquarters closes from Dec. 26 to 31. Altogether, 45-46 days of vacation could be used, not counting weekends. And it’s not jus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at give more vacation days. French companies offer similar benefits. Most people visit their hometowns or travel in the month of August.

To take the long vacation, it was essential to plan ahead. I was unfamiliar with people making summer plan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busy reserving flights and accommodations. As I was accustomed to Korean corporate culture, they seemed to work to play. After all, I am from a country where people work 2,069 hours a year, the third highest among the 34 OECD member countries, after Costa Rica and Mexico.

However, the French and Europeans are not grasshoppers who only like to play. In fact, they work better than Koreans. Their labor productivity is twice that of Koreans’. The GDP per working hour in France is $61.62 while it is $31.77 in Korea, which is ranked far below the OECD average of $46.74. Along with Denmark and the United States, France is ranked at the top tier. They are the top students who play more and get better grades.

There are countless studies that show that the more you work, the less productive you become. John Pencavel, professor of economics at Stanford University, used the production data of a British munition factory during World War I. When laborers worked less than 49 hours a week, productivity went up as their working hours increased. But after working more than 50 hours, production per hour decreased. In the e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roduction volume for working 56 hours and 70 hours.

Taking the road less traveled actually takes more energy. Creativity and productivity come from resting and thinking. Unfortunately, resting is not easily allowed as the economy is growing slowly and inequality is deepening. The progressive American think tank The Washington Center for Equitable Growth explains that workers have to overwork in order to prove their value to employers as it becomes harder to measure workers’ productivity in a knowledge-based economy.

Overwork costs not only productivity but also health. After a newly hired employee at a large corporation killed herself after working more than 100 hours overtime a month in Japan, efforts to reduce long working hours are in progress. It is about time we think about working hours. Recently, an overworked Korean bus driver caused a tragic traffic accident. The summer vacation season is here. For our well-being and the national economy, let’s take a vacation.

JoongAng Ilbo, July 20, Page 26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PARK HYUN-YOUNG


몇 해 전 프랑스 파리에 있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1년간 일했다. 외국의 조직 문화를 직접 경험할 기회였다. OECD 직원은 1년 근무하면 유급휴가 30일이 주어진다. 프랑스 공휴일(11일)은 별도로 준수한다. 여기에 12월 26~31일은 사무국 전체가 문을 닫는다. 모두 더하면 주말을 제외하고 연간 휴가 일수가 45~46일이 된다. 국제기구라서 느슨한 것도 아니다. 프랑스 기업도 비슷한 수준이다. 대부분 8월 한 달간 고향에 가거나 여행을 한다.
휴가를 길게 쓰려면 사전 예약은 필수다. 연초부터 여름휴가 계획을 세우고 항공ㆍ숙소를 예약하느라 분주한 모습이 처음엔 낯설었다. 한국식 조직 문화에 익숙한 내게 그들은 놀기 위해 일하는 사람처럼 보였다. 한국이 어떤 곳인가. 1인당 연간 2069시간을 일하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둘째로 긴 근무시간을 자랑하는 나라 아닌가.
그렇다고 프랑스(유럽)인들이 베짱이처럼 놀기만 하는 건 아니다. 아니, 우리보다 할 일을 더 잘한다. 노동생산성이 한국의 두 배다. 근로시간당 국내총생산(GDP)이 프랑스는 61.62달러, 한국은 31.77달러다. 한국은 OECD 평균(46.74달러)에 훨씬 못 미치는 하위권이다. 프랑스는 덴마크ㆍ미국 등과 함께 최상위권이다. 펑펑 놀면서 공부도 잘하는 학생 같다.
오래 일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연구는 수없이 많다. 존 펜카벨 스탠퍼드대 경제학과 교수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군수공장의 생산량 데이터를 가지고 증명한 연구가 유명하다. 주당 49시간 이하로 일할 때는 근무시간이 늘수록 생산량도 비례해 증가했다. 하지만 50시간 이상 일하면 시간당 생산량이 줄었다. 결국 56시간과 70시간은 생산량 차이가 거의 없었다.
지식경제 시대라고 다르진 않다.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건 동일한 제품을 찍어내는 것보다 오히려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창의성과 생산성은 쉼과 사유에서 나온다. 안타까운 건 저성장이 고착하고 불평등이 깊어지는 지금의 경제 상황이 쉼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의 진보성향 싱크탱크인 ‘공정한 성장을 위한 워싱턴센터’는 "고용주에게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과로할 수밖에 없다. 지식기반 경제에서는 근로자의 생산량을 측정하기가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과로는 생산성뿐 아니라 목숨도 앗아간다. 일본에서는 한 달에 100시간 넘는 초과근무를 견디다 못한 대기업 신입사원이 목숨을 끊은 일을 계기로 일하는 장시간 근로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과로한 버스 기사로 인한 참사를 계기로 근로시간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 볼 때다. 마침 휴가철이다. 모두의 안녕과 나라 경제를 위해 휴가를 떠나자.

박현영 경제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