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mbering the ways we used to fall in love : Rookie theater actors bring exciting energy to ‘L’Appartement’

Home > Entertainment > Music & Performance

print dictionary print

Remembering the ways we used to fall in love : Rookie theater actors bring exciting energy to ‘L’Appartement’

테스트

“L’Appartement,” a play based on the 1996 French film of the same name, is currently being staged at the LG Arts Center, southern Seoul. The play, starring actor Oh Ji-ho and ballerina Kim Ju-won, runs until Sunday. [LG ARTS CENTER]

A man named Max, who has only few months left till his wedding suddenly leaves everything behind after he catches a glimpse of his ex-lover, Lisa. He’s determined to meet her, but they keep on missing each other. During the process, Max even gets seduced by another woman, named Alice, who appears in front of Max, and introduces herself as Lisa.

This is the plot of the 1996 French film “L’Appartement,” directed by Gilles Mimouni. By showing each character’s hopes and desires, and their struggles to achieve them, the film tries to show the reality of life and love for many. The films give viewers a look at a time when it was common to use public phone booths and write handwritten letters to reach somebody.

The movie has now been turned into a play, also titled “L’Appartement,” by one of Korea’s most sought-after playwrights and a leading stage director, Ko Sun-woong. For the lead roles Ko decided to cast two amateur theater actors, Oh Ji-ho and ballerina Kim Joo-won, who are both making their professional theater debut through “L’Appartement.”

The fresh casting topped with Ko’s brilliance in bringing the older touches of the film onto the stage using a variety of digital techniques, have attracted crowds to the theater. With positive reviews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s, the play is about to lower its final curtain on Sunday at the LG Arts Center, southern Seoul, after ending its three-week run.

“I never thought I would do a play,” said Kim. “I’m still quite bewildered that I’m doing this. Of course I dance a lot in films, but it’s quite different to the ballet I’ve been doing.”

But Ko said he knew that Kim would do great playing Lisa, who is a stage actress, in his play.

“I knew I would work with her one day,” said Ko, adding that he witnessed her talent as an actor after seeing the dance musical “Contact” last summer, in which Kim appeared.

Although Kim says she’s still “bewildered” that she’s doing a play, it was in fact Kim, who knocked on Ko’s door asking if she could appear in one of Ko’s future works.

“Unlike a film, a play has to have some kind of an illusion rather than being realistic,” Ko added. “The Lisa who Max falls in love with, should be more than just beautiful. She has to have powerful charm as well as a charisma that intimidates men.”

Because he had no doubt about Kim’s dancing abilities, Ko says he wanted to use that powerful ability on stage and recreate Lisa.

“For the play, it was important for Lisa to have that aura, rather than the acting skills or brilliant lines,” Ko added.

To hear more about the play, the JoongAng Sunday recently sat down with Ko and Kim for an interview. The following are edited excerpts.

테스트

Ballerina Kim Joo-won, left, makes her debut as an actor in famous Korean playwright and theater director Ko Sun-woong’s, right, latest mystery romance play titled “L’Appartement.” [JEON HO-SUNG]

Q. Although Lisa uses her body a lot to express her feeling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play, it must have been quite difficult for Kim to appear in a play since it is totally new for her. How was it?

A. Kim:
It wasn’t easy, especially the diction. I heard director Ko has a specific style of diction he wants his actors to have, but I just couldn’t get it in the beginning. Instead, my voice trembled so much, I thought I was a lamb. By watching other veteran actors do their job brilliantly, I even began to have this sense of shame, thinking, “what am I doing here?” I felt like I was just being a nuisance. But Ko showed endurance and guided me step by step. Then, rehearsals became really exciting for me. I think this genre of performing arts is as attractive as dancing.

Ko: You don’t have to know how to act because you just learn along the way. You just move your body and become that character on stage. You quickly realize that what you are doing is acting. As you analyze and study the script as an actor, you instinctively learn to become an actor. That is my method of guiding actors for my work. In that sense, Kim was like a sponge. She really absorbed everything I wanted to do through her.



Six men and women are entangled in this story. Lisa and Max love each other, but the love can’t seem to be fulfilled due to interruptions and crisscrosses. Did you like the story?

Kim:
When I watched the film 20 years ago, I hated Alice. But now, I feel empathy towards her. In fact, I can sympathize with all six characters in the play. I know what it’s like to love somebody who doesn’t love me back and I know how one’s feeling can be so unstable, like Max. I think we all know what it’s like. That is why I think this story can appeal to many people.



But do you think you can forgive Max, who vacillates between three women?

Ko:
In fact, I, myself, can’t really understand how he could be like that, but I guess he had no choice. He loved Lisa so dearly but as much as he loved her, he resented her for leaving him, though he later finds out it was a setup by Alice. Time went by so he naturally got engaged to another woman, but suddenly got into a situation where he can’t help but to think about his love from the past. He gets seduced by Alice, who tries everything to resemble Lisa in front of Max, and he falls for her too. I don’t know, I guess, that is another kind of love that exists.

Kim: It is a problem for Max to be so easily attracted to different women and have such an indecisive attitude. No women will fall in love with that kind of character. But as you follow along the story, you begin to have sympathy for Max as well. He too has wounds in his heart. Alice does as well. And although she’s the bad one in the play, she’ll think that Lisa is the villain for stealing the man who she loved even before her.



The French film has an open ending, while the Hollywood adaptation of the film, “Wicker Park” (2004), directed by Paul McGuigan has a happy ending. How does the play end?

Kim:
I don’t want to spoil it, but I like the ending of the play the most. If I was Lisa, I would’ve loved it to end like the Hollywood version but the play really makes the audience to think about relationships.

Ko: I really liked the open ending of the original film so I decided to just let the audiences imagine the rest. Maybe in their imagination, Lisa could end up with Max, or Alice could end up with Max.



It was quite new for you to write a play about romance, right? Most of your previous works are quite serious.

Ko:
Right. But recently, I had the opportunity to watch the French film again and I suddenly felt this heat inside of me. I only realized after watching it the second time, that love can be so tangled. I questioned how to interpret this type of love and wanted to share that with the audience. This story also had an aesthetic value that is attractive when put on stage as a play.

When you are crazy in love with someone, you don’t think that there could be another woman who is also crazy in love with you. In front of your eyes, you see nothing but her, the one you love, and think only about her. But I wanted to put a little bit more focus on the other woman who loves the man although he doesn’t see her. This kind of a story, I thought, could be better told on stage than on screen.



There are a lot of elements of the past in the film that you have kept in the play. Is there a reason?

Kim:
Today, many young people fall in love so easily and that love fades so quickly. Love has also become so instant. I think the non-digital ways of communicating stimulate that true feeling of love we have somewhat forgotten about.

Ko: The lovers try to call each other inside a public phone booth, they wait endlessly on a park bench, they write letters and wait for replies. I think these are the pathos of this play. It’s difficult to feel such sentiments today. Today, you send a message using instant messengers like Kakao Talk and complain why he or she doesn’t reply straight away. That feeling you feel when you long for somebody, or wait for their call, or their letters, has disappeared. I wanted to bring back these forms of communication in this era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taking over.

BY YOO JU-HYUN [sharon@joongang.co.kr]



스마트폰 시대가 상실한 그리움의 페이소스를 찾아

[INTERVIEW] 연극 ‘라빠르트망’ 연출 고선웅·배우 김주원


결혼을 앞둔 남자가 헤어진 사랑의 흔적을 발견하고 ‘그녀’를 쫓는다. 하지만 만남은 계속 엇갈리고, 묘령의 여인으로부터 유혹까지 받는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녀’와의 모든 엇갈림은 이 여인에게서 비롯됐다. 프랑스 영화 ‘라빠르망’(1997)은 ‘엇갈림’을 키워드로 사랑이 뭔지, 인생이 뭔지 질문을 던지는 미스터리 멜로다. 그런데 운명의 장난을 촉발한 기제가 편지 배달 사고와 공중전화 박스 같은, 요즘 같은 스마트폰 시대에 상상하기 힘든 풍경들이다.

이 ‘옛날 영화’가 연극으로 만들어진다. 전방위 연출가 고선웅의 ‘라빠르트망’(10월 18일~11월 5일 LG아트센터)이다. 발레리나 김주원과 탤런트 오지호가 처음 연극 무대에 서게 돼 더욱 화제다. 그런데 관전 포인트는 따로 있다. 아날로그 시대였기에 가능했던 사랑 풍경과 영화 편집기술이기에 가능했던 미스터리 전개를, 디지털 시대에 편집이 불가능한 날것 그대로의 무대로 옮기는 역발상의 시도이기 때문이다. 20년 사이 상전벽해한 세상에서 무대 만의 미학은 이 구시대적 사랑을 어떤 울림으로 전달할까. 고선웅·김주원과 이 오래된 사랑 이야기를 나눠 봤다.

“연극을 할 거란 생각은 한 번도 안 해봤어요. 지금도 이게 뭔가 싶네요. 춤도 제가 추던 춤과는 전혀 다르구요.”(김)

그래도 김주원은 여유가 넘쳤다. 최고 발레리나로서의 명성을 뒤로하고 신인 배우 입장으로 무대에 서게 됐으니 긴장할 법도 하건만, 어딜 가나 당당한 포스는 여전했다. 고선웅 연출의 전폭적인 신뢰도 든든해 보였다.

“주원씨를 캐스팅 못 할 거란 생각은 안 해봤어요. 혹시 거절해도 어떻게든 설득해보려 했죠. 뮤지컬 ‘컨택트’에서 딱 느낌이 왔거든요.”(고)

둘의 만남은 의외로 김주원에게서 시작됐다. 최승희 무용극을 만들고 싶어 고선웅을 무작정 찾아갔다는 것이다. “최승희 춤을 계승하는 백향주씨 아버님이 저를 오랫동안 지켜봐 오셨는데, 어느 날 최승희 춤을 배워보라고 하시더군요. 그녀의 춤만이 아니라 삶을 표현해 보고 싶은 욕심이 생겨 연출님을 찾아갔어요. ‘푸르른 날에’부터 연출님 작품은 거의 다 봤을 정도로 팬이거든요.”(김)

최승희가 되려던 김주원을 고선웅은 ‘라빠르트망’의 리자로 만들어 버렸다. 김주원의 존재감 자체가 곧 리자였기 때문이다. “연극은 영화와 다르게 사실적이기보다 일루젼이 있어야 하거든요. 막스(오지호 분)가 반하는 리자가 남자들의 로망이 되려면 단지 아름답고 매력적인 정도가 아니라 쉽게 다가갈 수 없는 마력을 주어야 하죠. 주원씨라면 춤이라는 무대 언어를 통해 연극적인 리자로 탄생할거라 확신했어요. 리자에게는 대사나 연기보다는 아우라와 포스가 중요하거든요.”(고)



그래도 무대 화술이나 딕션이 만만치 않을텐데요.

김: 만만치 않죠. ‘고선웅식 화법’이 있다는데 도통 그게 뭔지 모르겠더군요. 처음엔 하도 떨어서 제가 양인 줄 알았어요.(웃음) 베테랑 배우들의 대사를 들으면서 ‘내가 방해하러 왔나’ 자괴감까지 들었어요. 그런데 연출님 시키는 대로 따라가다 보니 잘하지는 못해도 너무 재밌어지는 거예요. 대사 주고받고 눈빛 주고받는 게 춤만큼이나 매력적이었죠.

고: 하면서 알게 되는 거지 알아야 하는 건 아니거든요. 움직이다 보면 알게 되죠. 그래서 연기가 ‘액션’인 겁니다. 배우는 생각보다 행동이 먼저죠. 대본 분석보다 하면서 본능적으로 깨쳐가라는 게 제 방식이에요. 움직이면 바로 가슴으로 들어오는데 머리로 들어가면 복잡해지거든요. 그런 면에서 주원씨는 스폰지처럼 잘 적응하고 있어요.



“머리 아닌 몸으로 연기 적응중”

‘라빠르트망’은 미의 화신과도 같은 리자를 중심으로 여섯 남녀의 사랑이 얽히고설키는 이야기다. 서로 사랑하는 건 리자와 막스지만, 둘의 사랑은 여러 사람의 짝사랑이 작용해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다. 리자라는 이상적 여성을 동경하면서도 질투하는 평범녀 알리스(김소진 분)의 소심한 복수로 어긋나기 시작한 운명의 장난이 나비효과처럼 퍼져나간다.



둘의 사랑에 끼어든 알리스가 비극의 원흉이죠.

김: 20년 전 영화를 봤을 때는 알리스가 너무 싫었어요. 이제 와서 보니 알리스에게 너무 감정이입이 되요. 배우들끼리도 그런 얘길 했는데, 여섯 캐릭터가 다 제 안에 있는 것 같아요. 알리스의 콤플렉스와 말 못할 짝사랑도 느껴봤고, 막스처럼 여기저기 마음 갈 수도 있고. 한 사람 안에 그들이 다 있나 봐요. 그래서 누구든 공감하는 이야기겠죠.

고: 알리스가 그런 대사를 하쟎아요. 내가 먼저 사랑했을 수 있지 않느냐고. 누군가 사랑하면 아무것도 안 보이는 그런 차원인거죠.



세 여자 사이에서 흔들리는 막스도 용서가 안 되는데요.

고: 그런 남자 마음은 나도 잘 모르겠는데.(웃음) 글쎄, 어쩔 수 없이 휘둘린 것 아닐까요. 리자를 사랑한 만큼 원망했기에 다른 여자와 약혼했고, 다시 만나니 사랑했던 기억만 남아 쫓아가보니 알리스였지만, 알리스에게서 리자의 환상을 보는 사이 알리스가 심장에 들어온 거죠. 뒤늦게 거짓을 알고 분개하면서도 알리스에게서 리자를 향한 자신의 집착 같은 것을 발견하고 사랑하게 된. 뭐, 사랑이 그런거죠.

김: 막스의 욕정과 우유부단함이 문제 맞아요. 개인적으로 그런 남자 아무도 안 좋아해요. 저도 괜히 오지호씨에게 가까이 오지 말라고 구박하죠.(웃음) 그런데 스토리를 따라가다 보니 막스도 불쌍해요. 그렇게밖에 될 수 없는 상처가 있나보죠. 알리스도 리자보다 먼저 막스를 사랑했으니 그녀에겐 리자가 악역인 셈이고.



먼저 짝사랑하면 임자인가요. 실제 알리스 같은 여자를 사랑할 수 있나요.

고: 내 주변엔 그런 여자 없어요. 나같은 놈을 상대로 누가 그러겠어요.(일동 박장대소) 만약 그런다면 너 왜 그러냐, 그러겠죠. 너 자체가 우주야, 너 있는 대로 살아라. 다른 사람을 닮을 필요 없잖아요. 외모를 바꿔 동경하는 누군가가 되려는 건 어리석은 짓이죠. 중요한 건 눈빛이 아름다워지는 거니까. 눈이 살아있고 아름다워졌을 때 그 사람의 존재감이 생기고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 생기는 건데, 알리스는 눈빛이 많이 흔들린 사람이죠.

김: 현실에서 그런 여자를 보면 짜증나지만, 김소진씨가 연기하는 알리스는 신기하게 밉지 않아요. 영화와 다르게 연극적인 자기 에너지로 풀어내는데, 그녀의 연기에 빠져들다 보면 슬퍼져서 제 연기가 안 될 정도죠.



원작은 열린 결말이고, 미국판 ‘당신이 사랑하는 동안에’(2004)는 할리우드답게 단호한 해피엔딩으로 반전시켰는데, 우리 결말은 좀 다르죠.

김: 제가 리자라면 미국판이 좋지만 작품으로 봤을 땐 우리 엔딩이 좋아요. 모두가 생각 한 번 해보게 물음표를 주니까.

고: 원작의 열린 결말이 너무 좋아서 우리는 리자에게도 가능성을 열어줬고, 그 다음은 알 수 없죠. 관객들에게 맡겨도 충분해요. 막스는 약혼자와는 안 되겠지만 리자와 맺어질지는 알 수 없죠. 알리스가 너무 인생을 흔들어 놨잖아요.

김: 리자와 2년 만에 만났으니 다시 잘 됐으면 싶네요.(웃음)



영화의 갇힌 프레임을 연극적 몽타쥬로

고선웅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푸르른날에’, 중국 고전 원작의 대작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등 굵직한 메시지를 던지는 순수 연극이 장기다. “미스터리 멜로물이 의외”라고 하니 “그동안 낯간지러워서 사랑 이야기를 안 했다”고 끄덕였다. “사랑을 냉정하게 보는 편인데, 나이 오십에 영화 ‘라빠르망’을 다시 보고 엄청 뜨거워졌어요. 사랑이 이렇게 어긋나는구나, 이 사랑을 어떻게 바라봐야 되나 싶었죠. 각자 목소리가 있는 이야기라 양식적으로도 시도할 가치가 있구요. 연극이란 작업이 일반적인 사랑이야기를 하기엔 아까운데, 이 이야기는 무대화시킬 만한 미학적인 부분도 있죠. 담론도 충분히 연극으로 보여졌을 때 의미가 있고.”(고)

정신없이 흩어진 퍼즐조각을 맞추며 미스터리가 점점 드러나는 영화의 매력을 과연 어떤 무대 미학으로 풀어낸다는 걸까. “내가 사랑하는 동안 다른 누군가 날 사랑한다는 생각은 못하는 이야기잖아요. 내가 사랑하는 사람만 보이고 날 사랑하는 사람은 안 보이는 상황을 영화의 갇힌 프레임이 아니라 연극의 열린 프레임으로 보여주는 거죠. 각자의 방에 사는 사람들이 스치고 만나고 멀어지는 것들을 연극적으로 몽타쥬하는 매력이 있어요.”(고)

메모와 편지, 공중전화 등 극중 인물들의 소통수단이 시대극 수준이지만, 그래서 더 가슴을 울릴 지도 모른다. “가볍게 금방 만나고 금방 헤어지는 인스턴트 사랑을 하는 시대”(김)가 상실한 무언가를 환기시켜 주기 때문이다. “공중전화 박스에서 서로 통화중이라 엇갈리고, 공원에서 하염없이 기다리고, 밤에 무작정 찾아가고. 그런 게 가진 페이소스랄까, 요즘엔 그런 게 없죠. 카톡 보고도 왜 답 안하느냐고 따지는 세상인데. 그리움을 상실한 시대란 거죠. 애타게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아날로그 사랑 이야기를 알파고가 바둑 두는 이 시대에 꼭 해보고 싶어요.”(고)


글 유주현 객원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