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egulation is ke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eregulation is key (kor)

The Kore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says Korea needs deregulation to ease social inequalities and stimulate start-ups. A study it conducted shows that if the top 100 global businesses were launched in Korea, 13 could not have even started and 44 would have been stalled or stopped by regulations.

As it turned out, entrepreneurs make up only 25.9 percent of the Korean business community — the lowest in 78 countries. Most public policies are designed to sustain established enterprises. Policies should be changed to encourage promising young enterprises and encourage them to restart even after early failures.

In short, the KCCI is suggesting the government help the market work more properly. The Korean market is small with companies dominating specific sectors. The dominant players lobby to ensure the playing field stays favorably tilted toward them and new competitors are blocked.

The regulatory system also serves them well. For instance, taxes are uniformly levied on liquor based on the price and not its quantity. As a result, premium whisky and traditional spirits can hardly grow because even bottling costs fall under taxation. Political causes also get in the way. Politicians must cater to the mom-and-pop stores more than large stores. Uber and other car-hailing services have trouble cracking the local market due to opposition from the local taxi industry. Policies serve existing industries instead of consumers.

The government must address the regulatory system in order to fix inefficiencies in the market. It must lift all regulations except for essential ones. This is the only way to promote creativity and pave the way for new markets. A government usually has momentum to carry out reforms in its early stages.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must not waste that opportunity.

JoongAng Ilbo, Nov. 18, Page 26


양극화를 완화하고 창업을 북돋우려면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대한상공회의소가 제시했다. 상의에 따르면 세계 100대 사업모델이 한국에서 창업했다면 13개는 시작도 못하고 44개는 사업 일부가 불가능하다. 한국의 자수성가형 기업가 비율은 조사 대상 78개 국 중 최저수준인 25.9%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많은 정책이 늙은 기업의 연명을 돕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며 "잠재력이 큰 어린 기업이 성장궤도에 들어가도록 정책구조를 바꾸고 재도전이 가능한 사회안전망을 갖출 것"을 조언했다.
시장을 시장답게 하자는 제언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시장은 규모가 작아 많은 산업이 과점 단계다. 그러다 보니 기존 기업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새 기업의 진입을 막는 유무형의 장벽을 쳐놓는 경우가 많다. 규제 시스템도 이를 뒷받침한다. 대표적인 게 술의 양에 관계 없이 가격에 비례해 세금을 매기는 주류 종가세다. 병값과 마개값까지 세금에 반영되니 고급 위스키나 전통주가 발달하지 못한다. 정치적 고려도 과도하게 작용한다. 대형 할인점이 진출하려면 법규보다 그 지역 재래시장 상인들의 반발을 무마하는 게 더 중요하다. 우버나 카풀앱은 택시 업계 등 이해관계자의 반발로 아직 국내에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가 소비자 후생의 극대화가 아니라 공급자끼리의 이해관계 조정이라는 엉뚱한 방향으로 새버리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시장을 효율화하려면 '포괄적 네거티브 시스템'으로의 규제 개혁이 급선무다. 할 수 있는 것만 적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안 되는 것 빼곤 다 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규제 샌드박스'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창의성이 생기고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다. 수많은 기득권자의 반대를 극복할 수 있는 건 정권 초인 지금뿐이다. 정부와 정치권의 관심을 촉구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