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arating the bitcoin from the blockchain

Home > Business > Finance

print dictionary print

Separating the bitcoin from the blockchain

테스트

From left: Lee Naree, a start-up ecosystem expert; Kim Seung-joo, a Korea University professor; Chung In-young, CEO of December & Company; and Kim Jin-hwa, co-founder of Korbit, discuss cryptocurrencies and bitcoin during a panel discussion celebrating the pub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8,” at the JoongAng Ilbo Building in central Seoul, Tuesday. [PARK SANG-MOON]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 are never far from the headlines. The value of bitcoin plummeted last week, causing panic among investor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continues to pressure exchanges to try and gain control of the unruly market.

Industry experts last Tuesday discussed whether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 are still valuable as the next big technology that will overturn the very fabric of our society from finance to culture, or just a temporary distraction, during a ceremony celebrating the relea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8,” a Korean-language book jointly authored by the Korea JoongAng Daily’s Business Desk reporters.

The panel members were: Kim Seung-joo, a professor in th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ecurity at Korea University; Chung In-young, CEO December & Company, a financial consultancy firm that utilizes robotic algorithms; and Kim Jin-hwa, co-founder and former co-CEO of Korea’s first bitcoin exchange Korbit. Lee Naree, a start-up ecosystem expert, moderated the discussion.

Some 30 or so business leaders and executives in the start-up and tech sectors attending the event included Simon Lee, founder and CEO of translation platform Flitto; Rhim Young-yik, CEO of AI and legal tech company Intellicon Meta Lab; Jung Maria, co-founder of cosmetic tech company Toun 28; Lim Moon-young, a tech journalist; and Han In-soo, director of Penta Security Systems.

The following are edited excerpts.



테스트

Top: Park Hye-min, chief of the Korea JoongAng Daily’s Business Desk and a co-author of the book, right, addresses the crowd. Middle: Guests mingle at the event. Above: The cover of th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8,” published on Jan. 10. [PARK SANG-MOON]

Blockchain or cryptocurrency?

Lee Naree: One of the reasons we became closer to blockchain is because of cryptocurrency. Among the people today there are surely some that have invested in it. What is blockchain and its relation with cryptocurrency?



Kim Jin-hwa: Blockchain is a technology that takes out the intermediary. It is the first system in history where mutual transactions recorded on data form a consensus between participants in a space called the internet while leaving out the intermediary.

In the past 20 to 30 years since the internet revolution, and in the last 10 years or so since the mobile revolution, what we have done is vitalize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is to come, the difference with the past is that we have now brought in machines that can play a game of Go, drive on their own and even make transactions among themselves.

If there continues to be an intermediary on the internet or on mobile, bringing in machines into the network will become meaningless, and the efficiency created through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men and machine, and machine and machine, will be reduced.



Kim Seung-joo: The first electronic thesis that came out was in 1998 by David Chaum. He actually made a company called DigiCash, which failed as it was way ahead of its time.

We call him the father of anonymity. When people make transactions on the internet they use credit cards, which can be traced. But Chaum wanted to secure anonymity. The function he was aiming for was something that couldn’t be traced back. Satoshi Nakamoto in 2008 added one more function. Because electronic currencies were made of digitalized information, they were easy to copy. Chaum tried to solve this problem the way a central bank would by managing a blacklist. Satoshi wanted to get rid of the bank. So he came up with a cryptocurrency that had no centralized trust institution and used the internet consensus protocol, which records a transaction as being validated when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say it is.

While there are many internet consensus protocols, Satoshi Nakamoto solved this problem via blockchain. The problem was that not everyone was able to invest in creating the ledger. So in order to create motivation it needed an incentive, which was cryptocurrency. We call the act of creating the ledger mining. Satoshi Nakamoto limited the number of bitcoins that were rewarded, creating a virtuous cycle.



The need for regulation

Kim Seung-joo:
Cryptocurrency could be created through other consensus protocols other than blockchain. But in that case it would be very impractical. To be practical it has to use Satoshi Nakamoto’s blockchain. But to use blockchain it needs to give an incentive. Some question if the reward has to be cryptocurrency, but a research study two years ago showed that the blockchain itself would collapse when cryptocurrency is taken out of the reward concept.

So are there technologies that can replace blockchain? There are. But to look at blockchain on its own, separated from cryptocurrency, that’s impossible.

When we evaluate cryptocurrency, we need to look into two things, the technological value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future commercial value of the cryptocurrency.

When biopharmaceutical companies release a new drug, it goes through various verifications such as human trials and releasing it to science magazines like Nature.

But currently we’re only talking about the future possibility of blockchain without objective verification.

That’s why until proper information is found, there’s a need to regulate the cryptocurrency market.



Controversial currency

Lee Naree:
Cryptocurrency is making a huge impact on the financial industry. Wouldn’t it be possible for start-ups to raise investment through an ICO [Initial coin offering]? From the business perspective, what are your thoughts?



Chung In-young: You said that cryptocurrency has a huge impact.

In the real world, there is a social consensus in pricing assets, a process that took several centuries. There’s even an academic consensus.

But in the case of cryptocurrency there is no social or academic consensus made on how to put a valuation on specific coins. That’s a huge problem.

So the people that handle real assets don’t want to handle this until a social consensus is reached.

The share value of a company is evaluating the worthiness of the company. But honestly there’s no answer to this and that’s why share prices fluctuate with some hitting the daily limits. Yet fundamentally there’s a consensus.

But there’s no such social consensus in the case of cryptocurrency.



Kim Jin-hwa: I would like to counter that argument. I agree that there’s no historical data. It’s a new market. But one could look at this perspective. They say gold has been around for 2,000 years. But it has only been recognized in the financial market since Aug. 15, 1971, when President Richard Nixon stopped the U.S. dollar from being tied to gold [at a fixed rate] and ended the Bretton Woods system. In the 1970s gold was valued at $30, raised to $800 in the 1980s and today at $1,300.

So the things that we believed to have been customs have a short history, which I would like to point out shows how feeble social consensus is.

I think the capital market value of cryptocurrency is completely in a different place. Our economic activities are focused on values that can be monetized.

Technology can be hard to monetize. In the last 20 years the internet has dominated the world. But the economic value of the internet is represented through the shares issued by companies that developed services using the internet.

By creating tokens instead of value being represented through the companies, the tokens issued through blockchain represent value.

If this expands, what happens is that we can express our gratitude for things we couldn’t previously place a precise monetized value on, such as caregivers or internet writers.

These people contribute important knowledge yet we don’t pay them.



Transparency and security

Lee Naree:
I am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a transparent and fair world through the combination o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There’s a belief that blockchain is something that will bring good. For the general public, it is outstanding on security and forgery doesn’t work. So does blockchain as a technology have value?



Kim Seung-joo: Instead of value, I see it as an interesting technology. As a person in security, the system is not unbreakable because it is well made but rather because there isn’t much interest in breaking it.

Blockchain itself isn’t impervious but powerful against forgery and modulation. While old central banks hold all of the ledgers, [in blockchain] each and every person has that ledger.

One needs to change all of the transactions in order to forge or modulate the ledger.

The biggest problem for blockchain is expansion.

If 30 people make a transaction in a second, one only needs to write 30 ledgers. But if that number grows to 200, 300, 10,000 or 3 million, the system would need to make 3 million ledgers in a second. It is hard to achieve that speed. So because there are those that realize they can make money by making ledgers, there are those that do it professionally. So that’s why there’s a saying that 80 percent of professional miners making the ledgers are in China. They are making them in the form of a factory.

But the problem is that miners that should be countering hacking through consensus, the market is swayed by these professionals.

Also, the blockchain algorithm itself is not mature. Recently there have been attacks on the algorithm itself. Every time there’s an attack, the algorithm changes. The blockchain algorithm itself isn’t stabilized.

I ask people to see blockchain technology as a stem cell.

It has a lot of potential but it has a lot of hurdles to go over.



Investment tips

Audience Member: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central bank takes the profit made from issuing a currency. In the case of cryptocurrency created via blockchain, who gets the profit?



Kim Jin-hwa: The profit of cryptocurrency is shared among token holders. It is a deflation currency that doesn’t collide with fiat currency. It is not a replacement but a complement [to fiat money].



Audience Member: Recently the Japanese market was hacked, which we all expected at some point. Can the hackers be found, and should we invest?



Kim Seung-joo: Bitcoin or NEM aren’t cryptocurrencies that have maximized their anonymity. There’s Monero, which is hard to trace. On the contrary bitcoin can be tracked down. But there are mechanisms that make it difficult.

The problem with today is that exchanges in Korea get hacked.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conducted a security inspection on 10 exchanges and none passed. The security level is low.

So should it be regulated like banks? If so it would be thrown in with established institutions, which would hinder growth.

One thing that should be certain is when an accident happens there has to be a guaranteed level of compensation. But there’s no such regulations for cryptocurrency exchanges and some even have an accountability exemption clause.

People should store [cryptocurrency] on a separate storage facility like a USB drive. Under the conventional system, the ledger is handled by central institutions, which also take on responsibility for security. Under the blockchain system everyone takes on security responsibilities. To make investments one should look carefully at the compensation regulations and save everything to a USB drive.



Chung In-young: We have to think about why the so-called kimchi premium and sushi premium have formed. I think it starts from the different perception that we have compared to those living in Western society.

Our history in accepting democracy and capitalism is short.

This means that there’s a higher social trust in Western economies that you earn as much as you put into your work. Here in Korea we don’t have that confidence that if we work hard and if we raise our capacity through studying, our income will match our effort.

In the course of 50 years of economic development, there’s an underlying consciousness that rather than putting effort into the work we do to make an earning, there’s a desire to earn through investment. That same sentiment has led to the excessive speculation on cryptocurrency and that’s why the government is regulating it.

Also, there’s a socialist sentiment as a foundation settled in Koreans that makes them more envious when someone next to them makes a huge profit.

These social and complex situations are likely a motivation in raising the value of cryptocurrencies.



Lee Naree: There are two common traits of major stock investors. One is they tell you to look at the company’s fundamentals. Look at the fundamentals of companies like Samsung Electronics and Microsoft.

The second thing is to look at the natural instinct of people. Those that go against the current like salmon are the ones that profit.

I think tech development is similar in that sense. Technological trends that feels as though they would overhaul the world like the internet, iPhone and sharing economy have made my heart rush with excitement.

Blockchain technology seems to have that same excitement. Even if it’s only a dream, someone crazy enough could come up with a crazy result.

BY LEE HO-JEONG [lee.hojeong@joongang.co.kr]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암호화폐의 가치가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은 패닉에 빠졌다. 하지만 정부는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1월 30일 오후 코리아중앙데일리가 주최한 ‘경험 가능한 미래 : 4차 산업혁명 2018’ 출판기념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우리 사회 각 분야에 영향을 줄 중요한 미래 기술이 될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혼란에 불과한 것인지에 대해 토론했다.

토론에는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로보어드바이저 업체인 디셈버앤컴퍼니 정인영 대표, 국내 첫 가상화폐 거래소 ‘코빗’의 공동창업자인 김진화 대표가 참여했다. 이나리 스타트업 생태계 전문가가 토론회의 진행을 맡았다.

전문가들은 최근 이슈가 됐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분리 가능성에 대해 둘을 분리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또 블록체인이 엄청난 가능성을 지닌 기술이라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이날 출판기념회에는 번역 플랫폼 ‘플리토’ 이정수 대표, 인공지능 법률 서비스 회사 ‘인텔리콘 메타 랩’ 임영익 대표, 맞춤형 화장품 톤 28의 정 마리아 공동대표, 임문영 인터넷 저널리스트 , 한인수 펜타 시큐리티 이사, 전기차 서비스 스타트업 ‘이비온’ 유병훈 대표, 현대자동차 사내스타트업팀 송영욱 책임연구원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업계 CEO와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다음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한 토론회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정의


이나리 : 우리나 블록체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가상화폐 때문이다. 오늘 오신 분들 중에도 분명 가상화폐에 투자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 블록체인은 무엇이고 가상화폐와는 어떤 관계인가.

김진화 : 블록체인은 중개자를 없애는 기술이다. 당사자들끼리 인터넷이라는 공간에 거래 내역에 대한 비가역적인 데이터 기록을 남기고 그에 대해 합의하는 역사상 최초의 시스템이다.

지난 20, 30년 간의 인터넷 혁명, 그리고 지난 10여 년 간의 모바일 혁명을 통해 우리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했다.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이 이전과 다른 점은 거기에 기계를 개입시킨다는 점이다. 기계들이 바둑을 두고, 스스로 운전을 하고, 자기들끼리 거래를 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거기에 중개자를 둔다면 네트워크에 기계를 개입시키는 것이 무의미해질 것이다. 또 이런 기술을 활용함으로 얻어질 효율성도 감소하게 될 것이다. (그건 마치 인간의 보행속도보다 빨리 가려고 만든 자동차 앞에 빨간 깃발을 든 기수를 둬서 자동차라는 문명의 이기의 능력을 억지로 제어하는 것과 같다.)

김승주 : 전자화폐에 대한 논문을 처음 발표한 건 1988년 데이비드 차움이었다. 그는 디지캐시라는 회사도 세웠다. 너무 시대를 앞서가는 바람에 망하긴 했지만.

우리는 그를 ‘익명성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신용카드로 구매를 하면 기록이 남는다. 이에 차움은 기록을 추적할 수 없는 기술을 추구했다.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는 2008년 거기에 한 가지 기능을 더했다.

전자 화폐는 디지털 정보이기 때문에 복사하기가 쉽다. (100원짜리 전자화폐를 10번 복사하면 1000원이 되는 것이다. ) 차움은 이 문제를 중앙은행이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는 방식으로 풀려고 있다. 하지만 사토시는 은행마저 없애고 싶어했다. 그래서 중앙 기관이 없는 가상화폐를 만들었다. 이는 참여자 대다수의 동의를 통해 인정받는, 거래 기록을 통한 인터넷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여러 가지 인터넷 합의 프로토콜 가운데 사토시는 블록체인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장부를 만들지는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화폐라는 인센티브를 만들었다. 장부를 만드는 행위를 우리는 채굴이라고 부른다. 사토시는 인센티브로 받는 비트코인의 개수를 제한해서 선순환 구조를 만들려고 했다.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의 분리, 그리고 규제의 필요성


김승주: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이 아닌 다른 합의 프로토콜을 이용해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럴 경우엔 굉장히 비실용적이 될 것이다. 실용적으로 하려면 사토시의 블록체인을 써야 한다. 그런데 블록체인을 쓸 경우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 어떤 이들은 인센티브를 굳이 가상화폐로 줘야 하는지에 묻는다. 하지만 최근 연구는 보상 시스템에서 가상화폐를 제외한다면 블록체인 자체가 붕괴된다는 걸 입증했다. 블록체인을 대체할 기술이 있는가를 묻는다면 그런 기술은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자체만 놓고 가상화폐를 분리할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그건 불가능하다.

(비유하자면 사토시라는 주방장이 블록체인이라는 뛰어난 짜장면 레시피를 만들었다. 손님이 많이 왔으면 해서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 즉 쿠폰을 만들었다. 그러니 사람들이 몰린다. 짜장면 맛있으니 자주 오고 쿠폰도 받아가니, 가게도 잘되고,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 그걸 본 다른 짜장면집 주인들도 각자 다른 레시피를 만들었다. 그런데 요즘은 쿠폰이 돈이 된다고 해서 사람들이 짜장면 집에서 짜장면은 안 먹고 쿠폰만 사재기를 하는 것과 같다.)

우리는 어떤 가상화폐의 가치를 평가할 때 블록체인의 기술적 가치와 가상화폐의 미래 상업적 가치를 함께 살필 필요가 있다. 제약회사에서 신약을 선보일 때도 임상실험을 하거나 네이처 같은 과학 잡지에 관련 내용을 발표하는 등 검증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현재의 블록체인은 객관적인 검증 과정 없이 미래 가능성만을 보고 이야기 한다. 시장에 올바른 정보가 주입될 때까지 가상화폐 시장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

끊이지 않는 논쟁

이나리: 가상화폐라는 이슈가 금융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스타트업들이 ICO(가상화폐 공개)를 통해 투자 유치를 하는 게 가능할까?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보나.

정인영 : 가상화폐가 금융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하셨지만 나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현실 시장에는 자산 평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있다. 이는 수세기에 걸쳐 이뤄진 것이다. 학문적인 합의도 이뤄진다. 하지만 가상화폐의 경우 각각의 코인을 어떻게 평가할 지에 대한 사회적, 혹은 학문적 합의가 없다. 이는 큰 문제다. 그래서 현실 시장의 자산을 다루는 사람들은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기 전에는 가상화폐를 다루고 싶어하지 않는다.

(가상화폐라는 말도 문제가 있다. 암호화폐가 더 정확하다. 사실 화폐보다 커런시라는 말이 더 정확하다. 과연 크립토 커런시, 즉 암호화폐를 화폐라고 부를 수 있느냐는 지적이 있는데 그건 화폐라는 단어가 연상시키는 것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금융 관련 단어들 중엔 금융적 개념이 잘못 번역된 것들이 많다. 일본식, 미국식이 섞여서 금융의 개념을 잘못 형성시켰다.)

한 회사의 주가는 회사의 (미래) 가치를 평가한 결과물이다. 하지만 주가 역시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하루에도 상,하한선까지 상당한 변동폭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컨센서스는 있다. 하지만 가상화폐의 경우엔 그런 사회적 합의가 없다.

김진화 : 나는 반론을 펴고 싶다. 새로운 시장이기 때문에 역사적인 데이터가 없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금이 2000년이나 됐다고 하지만 금융 시장에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1971년 8월 15일, 미국 닉슨 대통령 금태환을 중지하면서부터다. 즉 브레튼우즈 체제가 끝난 이후에서야 금이 금융 시장에서 자산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당시 금은 온스 당 30달러였다. 80년에는 800달러, 현재엔 1300달러다.
우리가 관습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의 역사도 실제로는 짧다. 나는 사회적 합의라는 것 역시 얼마나 허약한 것인지를 말하고 싶다.

나는 가상화폐의 시장 가치가 전혀 다른 곳에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경제 활동은 화폐화할 수 있는 활동에 맞춰진다. 기술 자체는 화폐화하기 어렵다. 지난 20년 동안 인터넷이 세상을 지배했지만 인터넷 경제의 가치는 응용서비스를 개발한 회사가 발행한 주식으로 표시된다.

회사를 통해 표시되는 가치 대신 블록체인에서 발행한 토큰(코인)이 가치의 표상이 된다면 우리가 이전에는 화폐화할 수 없어서 가치를 산정하지 못했던 돌봄노동이나 인터넷에서 글을 써서 중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행위에도 고마움의 표시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가상화폐를 통해 머니타이제이션에 대항하는 토크나이제이션이 시작되는 것이다.)


투명성과 보안


이나리: 개인적으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를 통해 (인류가 꿈꿔왔던) 투명하고 공정한 세상이 실현될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블록체인은 좋은 것이라는 그런 믿음이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블록체인은 보안에 탁월한 장점이 있고 사기가 잘 통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과연 블록체인은 그렇게 가치 있는 기술인가.

김승주: 나는 블록체인이 가치 있는 기술이라기보다 재미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보안 쪽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시스템이 잘 만들어져서 깨지지 않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관심이 없기 때문에 안 깨진 것이라고 본다. 블록체인은 해킹에 강한 것이 아니라 위변조에 강하다.

블록체인은 중앙은행이 아닌 개개인이 장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해킹이 어렵다. 문제는 확장 속도다. 만일 1초에 30명이 거래를 한다면 30개의 장부만 만들면 된다. 하지만 그 수가 20명, 300명, 1만명, 300만명으로 늘어난다면, 시스템은 1초에 300만개의 장부를 만들어야 한다. 그 속도를 따라가기 어렵다. 그래서 장부를 만들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직업적으로 장부를 만드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장부를 만드는 채굴꾼의 80%가 중국에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그들은 공장식으로 장부를 만들고 있다. 참여자들의 합의에 의해 해킹을 방어해야 하는데 현재 시장은 이런 전문 꾼들에 의해 좌우된다.

또한 블록체인 알고리즘 자체도 아직 성숙되지 않았다. 알고리즘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 공격이 있을 때마다 알고리즘은 바뀐다. (실제로 2017년 나온 공격 기법의 경우 아직 해결책이 안 나왔다.) 알고리즘 자체가 안정돼 있지 않다. 나는 블록체인 기술을 줄기세포 정도로 보라고 말한다. 블록체인은 가능성이 많지만 넘어야할 장애물도 많다.

(가상화폐의 출발은 익명성과 탈중앙화다. 그런데 문제가 생기니 실명 거래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익명성을 포기하는 것이다. 거래소를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실 사토시가 구상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에는 거래소라는 개념이 없다. 채굴해서 비트코인을 얻으라고 한 것이지 거래해서 돈 벌라고는 안 했다. 거래소는 중앙집권적이다. 사토시의 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다. 분산화된 거래소에 대한 얘기가 나오지만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우리는 가상화폐를 볼 때 어떤 블록체인 기술을 갖고 있고, 블록체인의 어떤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해서 어떤 점에서 인정받았는지를 봐야 한다.)


가상화폐 투자를 위한 팁


청중1: 현재 시스템 하에서 중앙은행은 화폐를 발생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되는 가상화폐의 이익은 누가 가져가나.

김진화: 가상화폐의 이익은 토큰을 소유한 사람들끼리 나눈다. 인플레이션이 없다. 그래서 법정화폐의 헷지 수단이 된다. 가상화폐는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수단이다.

청중2: 일본에서 가상화폐가 해킹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보통 사람들은 모두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다. 해커들을 잡을 수 있을까. 그리고, 지금 가상화폐에 투자해도 될까.

김승주: 비트코인이나 넴은 익명성이 극대화된 가상화폐가 아니다. 그런 가상화폐로는 모네로가 있다. (북한 해커들이 모네로를 해킹해서 김일성 대학에 보냈다는 기사가 나오는 것은 그 때문이다.) 비트코인은 추적이 가능하다. 하지만 추적을 어렵게 하는 장치도 있다. (일본 정부가 블랙리스트 만들어 추적하겠다고 하지만 돈세탁만 전문적으로 하는 사이트를 몇 군데 거치면 추적을 못 할 수도 있다.)

일반 검색 엔진으로 검색할 수 없는 (딥 웹 같은) 인터넷 영역들이 있다. 그런 곳에서 해킹 툴이나 마약, 포르노 등이 거래된다. 해커들은 추적을 피하기 위해 그런 곳에서 가상화폐를 사용한다. 오래 전부터 그랬다.

그런데 가상화폐가 주목을 받고 가치가 높아지면서 가상화폐 거래소가 집중 타겟이 됐다. 한국의 거래소들도 해킹을 당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보안성 검사를 했는데 거래소 10개 곳 중 한 곳도 통과를 못했다. 보안 수준이 낮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 은행처럼 이들을 규제해야 할까. 하지만 제도권으로 들어가게 되면 성장성이 낮아질 것이다.

한 가지 확실하게 해 두고 싶은 것은 사고가 날 경우의 배상 규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가상화폐 거래소 대부분은 그런 규정이 없고, 심지어 해킹으로 인한 사고에 대한 면책 조항이 있는 경우도 있다.

소비자들은 USB 같은 별도 저장장치에 저장해야 한다. 기존의 (중앙집중형) 시스템에서 장부는 중앙기관이 관할했으며, 보안 책임도 중앙이 졌다. 하지만 블록체인에서는 개개인이 보안을 책임져야 한다. 투자를 할 때 배상 규정을 확인하고, 모든 것을 USB에 저장해야 한다.

정인영 : 최근 정책 입안자들로 인해 투자자들은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코인의 가치가 얼마인지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일반인들도 코인을 사야할지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우리는 왜 소위 ‘김치 프리미엄’, ‘스시 프리미엄’이 생겼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나는 서구 사회와 다른 우리 사회 특유의 인식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사회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받아들인 역사가 짧다. 열심히 일하면 그만큼 돈을 벌 수 있다는 사회적 신뢰가 서양보다 약하다. 한국은 열심히 일하고 공부해서 역량을 키우면 소득도 그에 따라 올라갈 것이라는 확신이 없다.

지난 경제발전 50년 역사 동안 돈을 벌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기보다 어떤 기지를 발휘해서 (투자를 통해) 돈을 벌어야 한다는 인식이 바탕에 있다. 이런 생각이 가상화폐에 대한 과도한 투기를 낳았고, 정부가 이를 규제하려고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저에는 사회주의 적인 면이 있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주변 사람들이 큰 돈을 벌었다고 하면 부러워하지 않나. 이 같은 사회적 환경과 인식이 가상화폐의 가치를 높인 계기가 됐을 수 있다.

이나리 : 주식투자의 달인들의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들이 말하는 한 가지는 기업의 펀더멘탈을 보라는 것이다. 삼성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회사의 펀더멘탈에 주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인간의 본성을 보라는 것이다. 주가가 두 배 올랐을 때 팔지 않고, 반대로 50% 떨어졌을 때 팔지 않고 더 사는 것처럼, 인간의 본성을 연어처럼 거꾸로 거슬러 오르는 사람만이 돈이 번다. 기술 발전도 비슷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인터넷이 들어왔을 때, 아이폰이 등장했을 때, 그리고 공유 경제로 대변되는 커다란 변화를 만났을 때 나는 가슴이 뛰었다. 이런 기술 변화들은 모든 것을 새로 정의하고 새로운 의미를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기술에 그런 느낌을 받는다. 비록 꿈에 불과할지라도, 어떤 미친 사람이 미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호정 기자 lee.hojeong@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