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ing the loophole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ixing the loopholes (kor)

Another half-baked labor policy from the liberal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add chaos to the business world still struggling from the side effects of a 16.4 percent hike in the minimum wage.

The legislature passed the government’s bill to reduce the maximum working hours per week from 68 to 52. The revised bill immediately threatens the livelihood of charter bus operators and bus drivers as an 11-hour break will become mandatory for all drivers regardless of their working hours, starting in September.

Charter buses are usually serviced for work and school commutes. When the new break time is imposed, a driver won’t be able to work in the morning if he or she had worked the evening before. That would nearly half their monthly paychecks. Bus companies cannot afford to recruit more drivers. In Gyeonggi, 13,592 chartered buses are registered, but there are only 12,009 drivers.

The required rest period for drivers of passenger vehicles is essential to prevent long-haul accidents on freeways. But chartered buses usually run short distances. The universal regulation will only raise fares and upset the transportation market.

The new work hours also worry manufacturers. The new rule did not amend flexible hour terms and only allowed maximum extra hours to three months a year. European and Japanese governments grant flextime for up to a year when work pours in. The United States does not impose a legal cap on working hours.

Korea Inc. cannot compete with Silicon Valley or the fast-rising technology hubs in China, where workers work through the night.
Innovation and invention requires nonstop work and devotion.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must fix the loopholes and unrealistic areas in the new legislation in order to minimize confusion and damage in the fields of business and industry.



두더지 잡기식 땜질 보완책이 거듭되고 있는 최저임금 급속 인상의 악몽이 근로시간 단축 정책에서도 그대로 되풀이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말 정부와 여당의 밀어붙이기로 주당 68시간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전세버스 업계와 운전기사들이 생존을 위협받게 된 것이다. 전세버스는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근로시간과 상관없이 오는 9월부터 11시간 연속 휴식을 의무화하도록 됐다.
문제는 현실성이다. 경기도전세버스 운송사업자들은 “전세버스는 주로 통근과 통학버스여서 11시간 휴식을 적용하면 저녁에 운전하면 아침에는 운전을 못하게 된다”고 밝혔다. 근로시간이 줄어 월 200만원 수준인 현재 임금이 100만원대로 줄게 된다. 사업자들로선 운전기사를 더 뽑아 하루 2교대 체제로 전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현재 경기도 전세버스는 1만3592대에 달하지만 운전기사는 1만2009명에 그쳐 만성적 기사 부족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휴게시간 의무화는 졸음운전에 따른 고속도로 대형사고 예방에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전세버스는 80%가 단거리 통근ㆍ통학버스여서 획일적 정책을 펴면 요금 인상과 운송 대란이 불보듯 뻔해진다.
기업들의 걱정도 태산이다. 근로시간을 줄이면서 ‘탄력근로제’로 보완해줘야 하지만 최대 3개월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유럽 주요국과 일본은 일감이 몰릴 때 집중적으로 일하는 탄력근로제를 최대 1년까지 허용하고 있다. 미국은 아예 근로시간 규제가 거의 없다. 이래서는 한국 기업이 밤 새워 일하는 미국 실리콘밸리ㆍ중국 중관촌(中關村)과 경쟁해 4차 산업혁명을 따라잡기 어렵다. 창의와 혁신이 필요한 일은 밤을 새우는 열정과 집중이 있어야 성과를 얻기 때문이다. 정부와 여당은 근로시간 단축이 구멍 투성이로 드러나고 있는 만큼 세부 방안을 전면 재검토해 혼란과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