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ised to fail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oised to fail (KOR)

With only ten days left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datory 52-hour workweek, the government, ruling party and the Blue House accepted a proposal from the Korea Employers Federation (KEF) to set a 6-month grace period ahead of the bold experiment. The government’s decision to accommodate the request from KEF reflects deepening concerns about confusion over implementing the polic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deserves criticism for a lack of preparations for the new workweek. Minister Kim Young-joo adhered to the position that she would correct problems if they aris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Such a lax attitude cannot but spark complaints from the public. It wonders if the government is trying to use our companies as some sort of guinea pigs for an intrepid experiment.

Despite the 6-month time they gained before the government will check for compliance, 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e sector must fix expected shortcomings of the new regulation. The ministry and the National Assembly must amend uniform ordinances of the Labor Standards Act to fit reality.

The most urgent thing to do is expanding the time frame for flextime. In Korea, it is limited to 2 weeks or 3 months at maximum. But the United States, Japan and France allow companies to run flextime in a longer time frame — up to one year —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production when demand sharply increases and slow production when not. Though an appendix to the revised Labor Standards Act mentions the need to find ways to extend the time frame for flextime, involved parties have yet to begin discussions.

As the KEF suggested, the government and the legislature must expand the scope of extendable workhours because certain industries must allow their employees to work for longer periods due to their unique character as in the case of petrochemical and steelmaking. In construction, too, employees cannot work in bad weather conditions. The same applies to the broadcasting and moviemaking industries, because they have to concentrate on work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government must rethink the policy on a fundamental level. Our current workweek system is primarily based on factory workers. You can’t apply a 52-hour workweek to workplaces in the era of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cess of new industries do not hinge on the absolute amount of workhours, but on the quality of their performances. It is time to thoroughly review the whole process.

JoongAng Ilbo, June 21, Page 30

주 52시간제 시행을 열흘 앞두고 어제 당·정·청이 한국경영자총협회의 '6개월 계도 기간' 건의를 수용했다. 현장의 혼란을 감안한 현실적인 선택이다. 고용노동부의 준비 부족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김영주 고용부 장관은 "시행해 보고 보완할 부분이 있으면 보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국민을 정책 실험 대상으로 삼느냐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정부도 기업도 6개월간 시간을 벌었지만 보완할 게 한둘이 아니다. 고용부와 국회가 적극 나서 법령을 현실에 맞게 고쳐야 한다. 무엇보다 시급한 게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 기간 확대다. 한국은 2주 또는 3개월에 불과하지만 미국·일본·프랑스는 1년의 단위 기간을 두고 탄력적인 대응을 허용한다. 주문이 몰리면 일을 더하고 나중에 쉴 수 있어야 한다. 개정 근로기준법 부칙에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 기간 확대 등 개선 방안을 강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본격적인 논의조차 없었다.
경총의 제안에 포함된 것처럼 '인가연장근로'의 허용 범위도 확대해야 한다. 산업의 구조적 특성상 근로시간 총량 자체를 한시적으로 늘려야 하는 경우가 있다. 석유·화학·철강업의 대정비·보수작업이나 조선업의 시운전이 그런 경우다. 건설업도 기상 악화로 인한 공기(工期)가 지연되면 날 좋을 때 몰아서 작업해야 한다. 인력 대체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장시간 촬영을 해야 하는 방송·영화 제작업도 마찬가지다. 근로시간의 총량이 정해진 탄력적 근로시간제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더 본질적인 고민도 필요하다. 현행 근로시간 제도는 공장형 노동 과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직무 패러다임이 확 바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노동시간으로 근로 절대량을 따지는 것은 낡은 잣대다. 업무의 성취나 질로 생산성을 판단하는 직무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노동시간 규율체계의 근본적 재검토를 시작할 시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