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 Pyongyang trick Washington?

Home > Think English > Readers' Opinion

print dictionary print

Did Pyongyang trick Washington?

Kim Hyun-ki, the Washington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The United States has been aware of a secret North Korean uranium enrichment facility called Kangsong since 2013 and wanted to address it during the summit in Singapore. In pre-meeting negotiations, the United States discussed the issue in depth with North Korea, according to my sources in Washington.

Highly enriched uranium used to make nuclear weapons is far harder to detect than plutonium. That is why the United States is desperately searching for it and North Korea is desperately hiding it. David Albright,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wrote in a report that the nuclear facility in Kangsong was built before the one in Yongbyon and is more than twice as big. It is understandable considering the intelligence capacity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nuclear ambitions of North Korea.

But questions arise from here. The United States was sure from pre-summit negotiations that North Korea would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Kangsong in Singapore and thought it would be part of Kim Jong-un’s drastic decision. However, it didn’t happen. Did Pyongyang trick Washington?

With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set to visit Pyongyang for a third time this week, U.S. media outlets have started reporting on Kangsong. The news wouldn’t be possible if the White House and intelligence agencies intentionally provided tips. Does this mean Washington is putting more pressure on Pyongyang, or have the two sides made an agreement? We have to wait and see.

What’s clear is that North Korea’s acknowledgement of Kangsong and frank reporting of its highly enriched uranium during Pompeo’s visit will be a yardstick for its willingness to denuclearize and determine whether negotiations can continue. If not, the North Korea issue will likely be buried by other events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9, U.S. President Donald Trump will choose a replacement for retiring Supreme Court Justice Anthony Kennedy. On July 16, he will meet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for their first summit in Helsinki, Finland.

Meanwhile, special counsel Robert Mueller is closing in on Trump in his Russia investigation. Putin’s testimony of Trump’s innocence is emerging as a far more desperate issue than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With slow progress on the Korean front, the issue is quickly being eclipsed by news on immigration, trade wars and midterm elections.

The United States is not rushing denuclearization because, in the worlds of Trump, it’s like “rushing the turkey out of the stove. It’s not going to be as good.” And North Korea is likely to go slow and sidestep by broaching unrelated issues such as the return of fallen U.S. soldiers’ remains from the Korean War. Denuclearization is entering a vacuum, and for South Korea, that is the worst-case scenario.

But South Korea has already suspended its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the United States and paused various development programs for high-tech weapons. Renovations of 90 to 100 bases on the border have been postponed. If inter-Korean relations progress, front-line military facilities will have to adapt, and the demolition will incur additional costs, according to government estimates.

It all sounds absurd. Why is South Korea preparing for arms reduction when there is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North Korea is hiding its nuclear weapons and expanding its program, while the United States is caught up on other issues? Without denuclearization, the removal of sanctions, establishment of U.S.-North relations, norm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discussions of arms reduction are all inconceivable. I am really curious about what Pompeo will have in his hands when he returns from Pyongyang. But I am more worried about where South Korea’s unrealistic and unlimited hope will lead.



김현기 중앙일보 워싱턴 총국장

미국은 북한의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 '강성'의 존재를 5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 그리고 싱가포르에서 담판을 지으려 했다. 사전협상 과정에서 미국은 북한과 이 문제를 심도 있게 협의했다. 워싱턴의 핵심 관계자가 털어놓은 이야기다.

핵무기 원료가 되는 고농축우라늄(HEU)은 '악마의 디테일'이다. 생산시설과 보유량 추정이 플루토늄에 비해 극히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이 사활을 걸고 찾고, 북한이 사활을 걸고 숨긴 이유다. 본지 보도 이후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은 보고서를 통해 "강성이 영변보다 먼저 지어졌다"며 규모도 영변의 2배 이상이라고 콕 집어 규정했다. 여기까지는 미국의 정보력, 북한의 과거 핵 야욕 등을 감안했을 때 이해가 간다.

의문은 여기부터다. 미국은 북한과의 사전협상을 통해 북한이 '강성'의 존재를 싱가포르에서 공표하는 걸 자신했다. 김정은의 '통 큰' 결단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돌연 무산됐다. 어쩌다 북한의 기만술에 말린 것일까.

그리고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3차 방북(5일)을 앞둔 요 며칠 사이 미 언론들이 '강성' 관련 보도를 일제히 쏟아내기 시작했다. 백악관, 정보기관에서 작정하고 흘리지 않는 한 나오기 힘든 내용이다. 북한에 대한 미국의 '재압박'일까, 아니면 북·미 간 '재합의'가 이뤄졌다는 신호일까. 두고 볼 일이다.

하지만 분명한 건 북한이 이번 폼페이오 방북 시 '강성'의 존재를 밝히고 HEU 보유 규모를 제대로 신고하느냐가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가늠하는, 달리 말하면 협상이 계속될 수 있을지를 결정할 것이란 점이다. 그렇지 않으면 북한 이슈는 미국 내에서 급격하게 다른 변수에 묻힐 가능성이 크다.

당장 트럼프는 9일 앤서니 케네디 연방 대법관의 후임을 지명한다. 미국에선 대법관 지명이 엄청나게 큰 뉴스다. 이어 16일에는 헬싱키에서 미·러 정상회담을 한다.

러시아의 2016년 미 대선 개입에 대한 뮬러 특검의 칼날이 트럼프를 향해 성큼성큼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로선 푸틴의 '결백 증언'이 어찌 보면 북한 비핵화보다 몇 배는 절박할 수 있는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지부진한 북핵 이슈는 이민법·무역전쟁·중간선거 이슈로도 급격히 대체되고 있다. 유권자, 전문가그룹, 의회 모두 마찬가지다.

즉 미국은 당분간 "(북한 비핵화를) 서두르면 스토브에서 (요리가 안 된) 칠면조를 서둘러 꺼내는 것과 같다"는 궁색한 변명으로 버티고, 북한은 미군 유해 송환 같은 '비핵화 곁가지'로 생색내고 협상의 동력만 유지하는 '우보(소걸음)' 작전으로 버틸 공산이 점점 커지고 있다. '비핵화 진공 상태'다. 우리로선 이도 저도 아닌 최악의 시나리오다.

그런데도 우리는 한·미 연합훈련, 국군 단독훈련 중단도 모자라 각종 첨단무기 개발사업, 북한군과 마주하는 최전방 90~100개 군부대 시설 공사 일정까지 속속 보류 중이다. 남북 관계가 진전되면 최전방 지역의 군사시설에 변동이 생길 수 있는데, 그때 가서 철거하면 '비용'이 추가로 들기 때문이란다.

어처구니없는 얘기다. 북한이 비핵화는커녕 핵 은폐, 심지어 확장에 나서고 있다는 정황까지 나오고, 미국은 무기력하게 딴 데 정신이 팔려 있는 상황인데 우리만 군축 준비를 한다니. 비핵화 없인 제재 해제도, 북·미 관계 수립도, 남북 관계 정상화도, 군축 논의도 있을 수 없는 법이다. 방북 귀환길 폼페이오 손에 뭐가 들려 있을지도 궁금하지만 현실을 벗어난 우리만의 '무한 희망'의 끝은 어딘지 더 궁금하고 걱정되는 요즘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