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e is not a strategy

Home > Think English > Readers' Opinion

print dictionary print

Hope is not a strategy

Nam Jeong-ho,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Should we trust him?”

We are back at this fundamental question after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left his third visit to Pyongyang empty-handed. Can we trust the sincerity of Kim Jong-un’s will to denuclearize?

U.S. President Donald Trump, Pompeo and President Moon Jae-in are responsible for the current state. As if they were possessed, they were all charmed by Kim and complimented the dictator. President Moon said Kim was frank and polite, and Trump called him a smart tough guy. Pompeo said Kim was bright.

It was Pompeo who changed the most. A few months earlier, he had openly advocated regime change in the North, but he defended Kim after a one-on-one meeting.

Pompeo graduated from West Point first in his class and has a law degree from Harvard. He is known to be honest, open and straightforward. When he was CIA director, he was in a long meeting with high-level officials, and when asked what adversaries do if the United States used a strategy, he responded, “They wouldn’t have a meeting like this.” A devout Christian, he is a local church deacon and teaches Sunday school. Someone with such a personality often makes a mistake of trusting others easily. As the ears of Trump, Pompeo’s misunderstanding is bound to make a difference to the overall North Korea policy.

South Korean and American leaders have been working with a belief that North Korea would keep the promise to denuclearize, based on the very subjective — and suspicious — grounds that Kim Jong-un is sincere. Of course, it is too early to judge his sincerity. But you should not adhere to a misperception.

First, it is a misjudgment to assume that someone smart and polite is honest. In international politics, lies can be justified for national interests. British Prime Minister Neville Chamberlain was famously deceived by Hitler’s promise for peace and failed to prevent World War II. U.S. President John F. Kennedy also told downright lies. Until three days before attacking Cuba to bring down the Castro regime, he denied the plan to use force.

It is wrong to believe that Kim Jong-un’s determination for denuclearization would never change. Sanctions on North Korea are crumbling. The fish caught by North Korean boats in the West Sea are reportedly handed over to China directly. As North Korea is banned from exporting clothing, small and hard-to-trace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buttons and zippers are sold to China. It is not strange that Kim has changed his mind now.

Machiavelli wrote in The Prince, “A wise lord cannot, nor ought he to, keep his promises when such observance would place him at a disadvantage, and when the reasons for which he gave his word no longer exist.” In a realistic flow of thoughts, who could blame Kim for using tricks? So it would be right to assume that Kim could have lied or changed his mind. We should prepare for that case. Even if Kim uses cleaver tactics to delay, a Plan B should be prepared.

How about Korea drafting a desirable denuclearization timeline or a phased compensation pla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can initiate a roadmap with experts’ participation or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Only then can we push the recalcitrant state to move towards denuclearization. That would also be a way to prevent internal discord over speeding up inter-Korean exchanges. Assuming that Kim’s declaration that he is committed to denuclearization is sincere is probably nothing more than wishful thinking. Hope is not a strategy.




남정호 중앙일보 논설위원

"믿어야 하나."

세 번째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빈손으로 나오면서 우리는 근본적 물음 앞에 되던져졌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밝힌 비핵화 의지의 진정성을 믿을 수 있는지 말이다.

이 지경이 된 데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폼페이오,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 탓이 크다. 뭐에 씌었는지 김정은만 만나면 죄다 홀딱 빠졌다. 이들은 “솔직담백하고 예의가 바르다”(문재인), "똑똑한 터프가이"(트럼프), "명석하다"(폼페이오) 등등 듣기 민망할 정도로 독재자를 칭찬했다. 

그중에서 가장 달라진 건 폼페이오다. 몇 달 전까지 북한 정권 교체마저 대놓고 주장하더니 독대 뒤엔 김정은 변호에 앞장서 왔다. 

그는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5년간 기갑부대 장교를 지낸 군 출신이다. 무인답게 정직하고 담백하며, 직설적인 것으로 이름나 있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 시절 무척이나 지루했던 한 회의에서 일어난 일화는 유명하다. 최고위층이 "우리가 이 전략을 쓰면 적은 어떻게 나올까"라고 묻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이따위 회의는 절대 안 할 겁니다"고. 게다가 그는 주일학교 교사에다 교회 집사인 독실한 기독교 신자다. 이런 성품의 소유자는 남을 쉽게 믿는 실수를 곧잘 저지른다. 누구보다 트럼프의 귀를 잡고 있는 폼페이오인지라 그의 착각은 대북 정책 전체를 흔들 수밖에 없다. 

어쨌거나 한·미 지도자들은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킬 거란 믿음 아래 일을 벌여 왔다. 김정은에게 진정성이 있다는 극히 주관적이고 애매한 근거하에 말이다. 물론 그의 진심을 속단하긴 아직은 이르다. 그럼에도 몇 가지 잘못된 가정에 매달려선 안 된다. 

우선 똑똑하고 예의 바르기에 정직할 거로 여기는 것부터 큰 오산이다. 국익 앞에선 거짓도 정당화되는 게 국제 정치판이다.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체임벌린 영국 총리가 히틀러의 평화 약속에 속아 결국 2차대전을 막지 못했다는 건 유명한 얘기다. 존 F 케네디 미 대통령도 새빨간 거짓말을 늘어놓곤 했다. 카스트로 정권 타도를 위해 쿠바를 침공하기 3일 전까지 무력 사용 계획을 부인했다. 

비핵화와 관련된 김정은의 결심은 결코 안 바뀔 거로 믿는 것도 잘못이다. 요즘 곳곳에서 대북제재가 허물어지고 있다. 서해상에서 북한 배가 잡은 물고기를 바로 중국 쪽에 넘긴다고 한다. 옷 수출이 막히자 단추·지퍼 등 부피가 작아 단속하기 힘든 의류 부자재들이 대신 중국으로 팔린다. 김정은의 맘이 변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다.

정치사상가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이렇게 가르쳤다. "훌륭한 군주는 신의를 지키는 게 해가 되거나 상황이 달라졌을 경우 이를 지켜서는 안 된다"고. 이런 현실적 사고의 흐름 속에선 김정은이 속임수를 썼다고 어찌 탓하겠는가. 그러니 김정은의 거짓말 또는 변심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고 대비하는 게 정답이다. 그가 교묘한 지연 작전을 펴더라도 비핵화를 이룰 플랜B를 마련해야 한다. 

우리라도 바람직한 비핵화 일정이나 단계별 보상책을 마련하는 건 어떤가. 정부 주도로 전문가의 지혜를 모으든, 여야 합의로 단일안을 마련하든 로드맵을 그리자는 얘기다. 그래야 이를 근거로 북한 등을 떠밀어 한 발짝이라도 비핵화를 이룰 수 있다. 남북 교류의 과속 논란 등을 둘러싼 남남갈등을 막는 길이기도 하다. 김정은의 비핵화 선언에 진정성이 담겨 있다고 보는 건 낙관적 기대일 뿐이다. "희망은 전략이 아니다(Hope is not a strategy)."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