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vy Jones’ Locke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avy Jones’ Locker (KOR)

KWON HYUK-JOO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Korea is surrounded by sea. Countless ships from many powerful nations have been sunk in these waters during numerous wars.

Since there is no proof, let’s just say it’s a legend. Korea is in the perfect place — both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 for a myth about a treasure ship. There is a tale that led to many of these myths, the “Golden Lily” operation that Japan ran in the 1930s. Imperial Japan took treasures from Asian countries to pay for the Pacific War, claims Sterling Seagrave in his book “Gold Warriors.”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ships that sank in the sea near Korea while transporting those treasures. The Japanese forces withdrew before they could take all the treasure hidden in Korea after their defeat in the war.

The legends encouraged treasure hunters. Since the late 1990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search for treasure has boomed. Treasure hunters searched for the Japanese ship Chozan Maru, which sank in the waters off Gunsan in 1945. It is said to be a treasure transport ship. That’s not all. The Shima Maru, which was allegedly transporting 10 tons of gold bullion and sank near Gunsan, and Kow Shing of Qing China, which sank in the West Sea in 1894 after an attack by Japanese forces, have also been the subjects of huge searches. There were rumors that 600 tons of silver were onboard the Kow Shing.

But nobody has ever found any treasure. The wreckage of the Shima Maru and Kow Shing were found, but they did not contain treasure.
The elusive treasure ships have been used to fuel financial crimes. In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e Lee Yong-ho scandal saw the stock price of a company manipulated through a treasure ship excavation project.

Lately, the fate of armored cruiser Donskoi has stirred the country. It sank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in 1905. There were rumors that it carried 150 trillion-won ($133.7 billion) worth of gold coins and bullion.

Some aspects of the story were immediately suspicious — 150 trillion-won worth of gold bullion would be about 3,300 tons, more than last year’s total global production of 3,160 tons.

The Donskoi controversy has taken a turn. According to the police, a key figure has fled abroad after being involved in fraud. Financial authorities are checking whether stock prices were manipulated using the treasure ship. If speculation is proven to be true, nearly 100,000 people could suffer the damage.

Interestingly, the scandal broke as the economy is struggling, just as the previous search for treasure ships peaked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What if the economy were thriving?” I thought. Economic recovery is needed for many reasons.

JoongAng Ilbo, Aug. 1, Page 31

보물선 권혁주 논설위원

국토를 에워싼 바다. 여러 차례 전쟁 속에서 그 바다에 가라앉은 수많은 열강의 배들…
아직 사실로 확인된 예가 없으니 그냥 ‘전설’이라고 하자. 우리나라는 보물선의 전설이 퍼지기에 천혜의 조건을 갖췄다. 지리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그렇다. 여러 전설을 낳은 근원 설화도 있다. 1930년대부터 일본이 펼쳤다는 ‘황금 백합’작전이다. 전쟁 비용을 대려고 일본 왕실 주도로 아시아 각국에서 보물을 수탈했다는 게 작전의 내용이다(『야마시타 골드』, 스털링 시그레이브 등 지음) . ‘보물 수송선이 한국 근해에 침몰했다’느니, ‘패전한 일본군이 한국에 감췄던 보물을 미처 챙기지 못하고 부랴부랴 철수했다’는 등의 얘기는 모두 황금 백합 작전에서 비롯됐다.
전설은 보물탐사가들을 낳았다. 외환위기 직후인 90년대 후반부터 보물탐사 붐이 일었다. 1945년 군산 앞바다에 가라앉은 일본 선박 초잔마루(長山丸)호 등을 찾아 나섰다. 황금 백합 작전의 보물 수송선이라는 배다. 금괴 10t을 싣고 가다 역시 군산 인근에서 침몰했다는 시마마루(島丸)호, 1894년 서해에서 일본군에 격침된 청나라 ‘고승호’도 탐사 대상이었다. 고승호에는 은 600t이 실렸다는 설이 돌았다. 하지만 아직껏 금은보화를 건졌다는 얘기는 없다. 시마마루호와 고승호는 실제 배를 발견했으나 기대했던 엄청난 보물은 없었다.
보물선은 범죄에 이용되기도 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 터진‘이용호 게이트’다. 보물선 발굴 사업을 미끼 삼아 주가를 띄운 사건이었다. 여기에 권력형 비리가 연루됐음이 드러나면서 ‘게이트’로 비화했다.
요즘은 돈스코이호로 인해 세상이 시끌벅적하다. 1905년 러일전쟁 때 침몰한 순양함이다. 항간엔 “150조원 상당의 금화ㆍ금괴가 실렸다”는 말이 퍼졌다.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대목이다. 금괴 150조원어치면 요즘 시세로 따져 3300t이다. 지난해 전 세계 금 생산량(3160t)보다 많다. 믿기 어려운 양이다.
돈스코이호 파문이 새 국면으로 접어드는 모양새다. 핵심 인물이 사기 사건에 연루돼 기소중지자 신분으로 해외도피 중이라는 사실을 경찰이 파악했다(본지 7월 31일 2면). 금융 당국은 보물선을 빌미로 주가 조작 등을 한 것은 아닌지 들여다보고 있다. 가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피해자가 10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묘하게도 이번 건은 경기가 바닥일 때 터졌다. 보물선 탐사가 봇물 터졌던 외환위기 직후처럼 말이다. 문득 ‘경제가 활활 돌아갔다면…’하는 생각이 든다. 이래저래 경제는 살리고 볼 일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