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rong prescrip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wrong prescription (KOR)

A year has passed since a heavily packaged set of bombshell real estate measures took effect. The measures called for heavier levies on gains from real estate trade made by owners of multiple homes in areas with expensive property prices like Seoul, and toughened loan requirements to subscribe to new apartment offerings.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im Hyun-mee claimed success during her report to the National Assembly last month. She pointed to benign numbers — the modest gain of 0.47 percent in average home prices across the n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hovering below the 0.61 percent average rise over the last five years. But her information is misleading. Apartment prices in Seoul jumped 6.8 percent over a year, higher than the 4.7 percent gain in the previous year. Prices soared 12.8 percent in a redevelopment district of Songpa, southern Seoul, and 14.4 percent in Bundang, a wealthy neighborhood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In the meantime, housing prices outside of the capital area fell 2.1 percent. In short, the polarization in home values has only grown.

Prices of apartments in popular neighborhoods in Seoul and Bundang have gone up because the rich now prefer to have a single expensive property instead of owning multiple homes subject to heavy taxes. Neighborhoods are eagerly sought because of their relative superiority in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price goes up because demand far exceeds supply. Market results do not take an expert to foresee. Last year’s real estate measures have entirely been focused on containing speculative demand and were unaccompanied by efforts to increase supply in needy locations.

The slowdown in construction supplies also hurt jobs. The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unemploy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ould be cut by 24,000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and 320,000 jobs would be lost in the field over the next five years due to the ongoing slowdown.

To stabilize home prices, redevelopment restrictions in highly-sought neighborhoods should be eased to increase supply. Without supply-end measures, taxes alone cannot bring lasting stability to the housing market.

JoongAng Sunday, Aug. 4-5, Page 34

집값 양극화시키고 일자리는 놓친 8·2 부동산 대책
‘규제 폭탄’이라 불리던 8·2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고 1년이 지났다. 서울처럼 집값이 비싼 지역에서는 다주택자에게 양도소득세를 무겁게 매기고, 청약 1순위 요건을 강화하며, 주택담보대출을 옥죄는 것 등이 대책의 주요 내용이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말 국회 보고에서 "대책이 성공적이었다"고 자평했다. 올 상반기 전국 평균 집값 상승률이 0.47%로 종전 5년 평균(0.61%)을 밑돌았다는 등의 이유였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과는 딴판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한 해 동안 6.8% 뛰었다. 그 전 1년(4.7%)보다 가파른 상승세다. 송파구(12.8%)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14.4%)는 두 자릿수 넘게 올랐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2.1% 떨어졌다. 집값의 양극화가 일어난 것이다. 김 장관의 보고는 낯 뜨거운 자화자찬이다.
서울과 분당 아파트값이 급등한 이유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 때문이다. 좋은 학교와 좋은 직장 부근에 집을 갖고 싶어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기왕이면 그런 곳 중에서도 공급이 묶여 집값이 오를 것 같은 지역에 매수세가 몰렸다. 이런 결과는 애초 전문가들이 전망한 대로다. 8·2 대책은 투기 수요만 억누르려 했을 뿐 필요한 곳에 공급을 늘리려는 노력이 아예 없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주택 공급 부재는 일자리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 부진으로 올 하반기에만 이 분야 취업자가 2만4000명 줄고, 향후 5년간 일자리 32만 개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투기 수요를 잡는 데만 치중했던 8·2 대책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집값을 잡으려면 수요가 몰리는 지역의 재건축 규제를 과감히 완화하는 등 제대로 된 공급 방안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교훈을 재확인했을 뿐이다. 시장 원리에 맞춘 공급 전략 없이 세금 몽둥이만 휘둘러서는 부동산 안정을 기대할 수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