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a currency crisi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a currency crisis (KOR)

The Turkish currency crisis is sprawling and spreading, and there’s no end in sight to the lira’s freefall. The government’s emergency actions to stabilize the lira by increasing liquidity helped little. The lira has lost 46 percent of its value against the U.S. dollar so far this year and more than 20 percent over the last two weeks. Foreign tourists rushed to luxury stores for half-price bargains in lira. Luxury-hungry Koreans have been frantically hunting for bargains on Turkish shopping websites.

The Turkish crisis is spreading into other emerging markets. A liquidity and financial crisis, as in the case of Asian currency crisis in 1997 and the Wall Street-triggered global meltdown in 2008, can be highly contagious. The Turkish crisis has aggravated the woes of debt-ridden emerging markets. The Argentine central bank lifted the main interest rate by 5 percentage points to 45 percent after the peso slipped to a new low against the dollar.

The Turkish currency, weighed down by political, fiscal and interest rate vulnerabilities, received another blow after Turkish President Recep Tayyip Erdogan invited sanctions from U.S. President Donald Trump over a detained U.S. pastor. The confrontation with Washington, however, is just a trigger. Turkey’s current-account deficit has been ballooning due to its weak industrial base, and its indebtedness became risky due to rising U.S. interest rates. The dangerous mix of higher interest rates and the U.S. dollar puts the other highly-indebted emerging economies of Argentina, South Africa, Mexico, Brazil and Russia — and their currencies — at equal risk.

Although South Korea has less to worry about thanks to a comfortable stock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and a sizable current-account surplus, it is not entirely safe. Its foreign debt against gross domestic product hovers at 41 percent, which is close to as dangerous a level as Turkey’s 70 percent, Hungary’s 64 percent, and Argentina’s 54 percent. The danger can be contagious. The authorities must be fully prepared to fend off danger before it spreads to Korean shores.

JoongAng Ilbo, Aug. 16, Page 30

터키 위기, 강 건너 불 구경거리 아니다
터키 통화 폭락 사태가 예사롭지 않다. 14일(현지시간) 국제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 대비 터키 리라화 가치는 하락세를 멈추지 않았다. 전날 터키 정부가 유동성 공급 확대를 골자로 외환시장 안정대책을 발표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올 들어 리라화 가치는 이미 40% 이상 폭락했다. 돈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자 터키의 명품 가게에 외국인 관광객이 몰려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한국에서도 터키 명품 가게를 통한 직구 열풍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터키 위기가 강 건너 불구경거리로 끝날 것 같지 않다는 게 문제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그랬던 것처럼 외환위기는 급속도로 파급된다. 터키 위기는 안 그래도 불안한 흐름을 보였던 신흥국 외환시장 불안에 기름을 붓고 있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올 들어 계속되는 통화가치 하락과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13일 하루 만에 기준금리를 5%포인트나 올렸다. 현재 기준금리는 45%에 달한다. 그래도 페소화 폭락은 계속되고 있다.
터키 위기는 미국인 목사 억류를 놓고 미국이 터키에 경제제재를 가하자 에도르안 터키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이 대립하면서 촉발됐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 이유에 불과하다. 터키는 대외부채가 많고 이렇다 할 산업경쟁력이 없다. 미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자 경제가 취약한 신흥국부터 자본이 유출되면서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아르헨티나ㆍ남아프리카공화국ㆍ멕시코ㆍ브라질ㆍ러시아가 모두 통화 불안에 휩싸인 이유다.
문제는 외화 부채가 많은 한국도 안심할 수 없다는 점이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화 부채 비중은 41%에 달한다. 터키(70%)ㆍ헝가리(64%)ㆍ아르헨티나(54%) 못지않게 높은 수준이다. 언제든 위험이 전이될 수 있는 상태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우리로선 유비무환의 자세로 신흥국 통화 불안 사태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