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rong approac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wrong approach (KOR)

HWANG EUI-YOUNG
The author is a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city of Seoul spotted overheated housing prices in Seoul and began a speculation crackdown on Aug. 13. However, real estate brokers in Gangnam, Yongsan and Yeouido don’t seem to care. “With the joint crackdown and additional regulations, the housing price will only go up,” they say. They are sarcastic about additional regulations on expanding speculation zones. Housing prices are laughing at government measures.

In fact, the rate of apartment price increase in Seoul last week was 0.18 percent, the same as the previous week, according to a Korea Appraisal Board. With growing anticipation for integrated development, the price of some apartments in Yongsan and Yeouido rose by more than 100 million won ($89,174) in a month. The industry views it as a sort of “learning effect.” Before and after the real estate control measures on June 19 and Aug. 2 last year, the government used some threats such as site inspections and issued regulations. The housing price staggered for a while, only to increase again.

The latest increase in the housing price in Seoul, including Gangnam, is due to various factors. Firstly, the demand control that does not reflect the market mechanism of supply and demand is one of the causes. Regulations such as collecting surplus profits from reconstruction and reinforced safety inspections blocked the way to increase supplies and the scarcity value of apartments in Gangnam increased.

A more fundamental cause is the overflowing demand. Seoul has a concentration of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culture, industry and education. So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would want to move to Seoul once the housing price goes down. The number of people looking for houses exceeds the number of available houses. Without resolving the surplus demand, the housing price issue cannot be resolved. Appropriate supply measures are needed.

The government needs to reconsider the stance of blaming speculators. Experts say that it is hard to distinguish actual demand and speculation. The psychology to live in areas with a better living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expectation to enjoy profit from price increase is human nature. There are many areas in Seoul that are classified as adjustment target and overheated speculation, and 11 districts, including Gangnam, Mapo and Yongsan, have “triple shackles” including the designation of a speculation zone. To buy a house, the housing loan is limited to one per household, and for a loan of more than 300 million won, a financing plan needs to be submitted to the district office.

The government, city of Seoul and National Tax Service are on the lookout. If housing prices go up, maybe they should consider why their policies have failed.


JoongAng Ilbo, Aug. 20, Page 29

정부를 비웃는 집값 황의영 건설부동산팀 기자
"정부가 합동단속에 이어 추가 규제까지 내놓으면 집값이 더 오르겠네요."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서울 집값이 과열 조짐을 보인다는 진단과 함께 지난 13일 대대적인 투기 단속에 들어갔다. 하지만 강남·용산·여의도 일대 부동산 중개업자들은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투기지역 확대 같은 추가 규제 예고에도 오히려 냉소적 반응을 보인다. 정부 조치를 비웃기라도 하듯 집값도 요지부동이다.
실제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18%로 전주와 같았다(한국감정원). 통합개발 기대감이 커진 용산·여의도에는 한 달 새 1억원 넘게 오른 아파트가 잇따랐다. 이는 일종의 '학습 효과' 때문으로 업계는 본다. 지난해 6·19 대책과 8·2 대책 전후에도 정부가 현장 점검 등 '엄포용' 카드를 쓴 뒤 규제책을 내놓으면 집값이 잠시 주춤하다가 오히려 더 오르는 흐름을 반복했다.
최근 강남을 비롯한 서울 집값이 오르는 건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우선 시장의 수요와 공급 측면을 간과하고 쏟아낸 수요 억제책을 들 수 있다. 다주택자에게 "사는 집이 아니면 팔라"고 압박한 양도세 중과제는 서울 '수요 쏠림'을 부채질하고 탈(脫)강남의 퇴로를 막아놨다. 집을 팔고 싶어도 팔 수 없게 만든 것이다. 여기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안전진단 기준 강화 같은 규제로 공급이 늘어날 길을 틀어막아 강남권 아파트의 희소가치만 높였다.
보다 근본적 원인은 넘치는 대기 수요에 있다. 서울은 교통·문화·산업·교육 등 모든 인프라가 집중된 곳이다. 이 때문에 경기·인천 거주자도 서울 집값이 조금만 내려가면 진입하려고 한다. 집을 구하려는 사람은 많은데 집이 한정된 것이다. 이런 '초과수요'를 해소하지 못하면 집값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적절한 공급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툭하면 '투기세력 탓'이라는 인식도 정부는 되씹어 봐야 한다. 전문가들은 "실수요자와 투기세력을 구분하기 어렵다"고 한다. 주거환경과 교육여건이 좀 더 나은 곳에 살려는 심리, 기왕이면 집값이 올라 시세차익을 얻길 기대하는 것은 인간적 본능이다. 또 서울 전역은 이미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묶여 있고, 이 중 강남권을 비롯한 마포·용산 등 11개 구는 투기지역까지 '3중 족쇄'가 채워져 있다. 집을 사려 해도 주택담보대출 건수가 가구당 1건으로 제한되고, 3억원 이상이면 구청에 자금조달계획서를 내야 한다. 국토부와 서울시, 국세청까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런데도 집값이 뛴다면 '정책 실패 요인이 뭘까' 한번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