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alf-cooked econom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half-cooked economy (KOR)

KIM DONG-HO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Half-cooked rice leaves bitter memories. When you eat it, you feel like you should have waited until the rice was fully cooked. I cannot help feeling like I am eating half-cooked rice when I look at the economic policie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Korea is not a leading economy, but copying welfare policies from advanced countries makes the economy unstable.

Sakong Il,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Global Economics, said Korea’s situation resembled the “trap of half-cooked developed countries.” He claims that the government values income distribution over growth. Next year’s budget shows that “dividing the pie” is being made the priority over “making the pie bigger.” In the 470 trillion won ($415.1 billion) budget, 35 percent, or 162 trillion won, has been allocated to welfare spending.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which is in charge of financial policies, said that taxes are expected to generate 60 trillion won in surplus over the next five years. The ministry is perhaps trying to accommodate the administration’s direction. It is saying that concerns over the expansionist fiscal policy are unnecessary, as the budget is sufficient.

It is true that dividing the pie is the basic role of the state. It is its function to relieve the disparity of wealth in the market economy and protect those falling behind: these are systematic devices — incomes are subject to income and corporate taxes. People pay additional taxes on spending, property and transfer taxes for buying and selling assets. Inheritance and gift taxes are as high as 50 percent. The government collects taxes without doing anything with them.

The Korean economy is rapidly plummeting, as key industries are losing vitality. China has taken a lea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year, annual growth is fixed at 2 percent. Aside from the semiconductor industry, exports are dropping. A grim reality is approaching.
It is difficult to walk back promises of a greater share in the pie. But in order to not fall into the trap of a half-cooked developed country, the speed of change should be controlled. Realistic approaches toward the minimum wage and reducing work hours are basic essentials. The endless company-bashing in this administration in the name of economic democratization needs to end.

The economies of Argentina, Venezuela and Greece were ruined during attempts to mimic developed countries. It is hard to revive a ruined economy.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remain powers through constant innovation. Their driving forces are labor reform and deregulation aimed at a new industrial structure. Deputy Prime Minister for Economy Hong Nam-gi, who said there is no crisis as of yet despite the economy sinking to low growth levels, should think more broadly about the economy. If the pie doesn’t grow, there will be no pie to share.

JoongAng Ilbo, Nov. 13, Page 31

‘설익은 선진국 함정’ 설익은 밥은 씁쓸한 기억을 남긴다. “뜸 들 때까지 기다릴걸….” 뒤늦은 후회는 소용이 없다. 문재인 정부 들어 돌아가고 있는 경제정책을 보면 딱 설익은 밥을 먹는 꼴이란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선진국도 아니면서 선진국 뺨치는 복지정책을 추구하면서 경제가 불안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공일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은 한국의 이런 처지를 ‘설익은 선진국 함정’이라고 명명했다. 이 정부가 성장보다 분배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얘기다. 내년 예산만 봐도 그렇다. ‘파이 키우기’는 뒷전이고 ‘파이 나누기’만 앞세운다. 전체 470조원 중 복지 예산은 35%(162조원)에 달한다. 나라 곳간을 지키는 기획재정부는 정권 코드 맞추기인지 “5년간 세수 초과 60조원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주머니가 두둑하니 각종 수당을 늘리는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한 우려는 접으라는 얘기다.
파이를 나눠주는 건 국가의 기본 역할이 맞다. 시장경제로 인해 발생한 부(富)의 편중을 완화하고 낙오자를 보호하는 기능이다.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도 있다. 돈을 벌면 소득세ㆍ법인세를 내고 소비를 하면 부가가치세, 재산을 보유ㆍ처분하면 재산세ㆍ양도소득세를 낸다. 재산을 상속ㆍ증여해도 최고세율 50%가 부과된다. 정부가 가만히 있어도 세금이 쑥쑥 들어오는 구조다.
문제는 소는 누가 키우냐는 점이다. 우리 경제는 주력 산업이 활력을 잃고 4차 산업혁명에선 중국에도 뒷덜미를 잡히면서 급속히 하강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연평균 2%대 성장률이 고착화하고 있다. 그나마 반도체를 제외하면 수출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외양간에 있는 소 다 잡아먹고 나면 먹을 소가 없는 암울한 현실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이미 약속한 파이 나누기는 돌이키기 어렵다. 그래도 설익은 선진국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속도 조절이라도 해야 한다.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현실화는 기본이다. 경제민주화라는 미명하에 이 정부 들어 끝없이 진행되는 기업 배싱이 함께 중단돼야 한다.
아르헨티나ㆍ베네수엘라ㆍ그리스 등은 어설픈 선진국 흉내를 내다 경제를 망쳤다. 한번 망가진 경제는 복구가 어렵다. 반면 미국ㆍ일본ㆍ독일ㆍ영국ㆍ프랑스 등은 끊임없는 혁신으로 강대국 자리를 지키고 있다. 새로운 산업구조에 맞는 노동개혁과 규제 혁파가 그 원동력이다. 2%대 저성장의 늪에 빠졌는데도 “위기가 아니다”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후보자는 더 길고 더 넓은 안목으로 경제를 책임져야 할 것이다. 파이를 키우지 못하면 나눠줄 파이도 없다.
김동호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