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Korea outside of Pyongyang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rth Korea outside of Pyongyang (KOR)

KIM SU-JEO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Prohibition on sale of women and children crossing the border! Prohibition on accommodating and providing room and board to border crossers!” said warning signs on the Duman (Tumen) River in Baishan, Jilin Province along the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Behind the signs stretches barb wired fence twice the height of an adult. The signs in Chinese and Korean are indications of the violations of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border region for decades.

Dong-A University professor Kang Dong-wan, director of the Busan Hana Center, which helps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 in South Korea, recently published “North Korea Outside Pyongyang,” a book about the lives of the North Korean residents near the 1,500-kilometer (932 miles) North Korea-China border. The book has 999 photos.

From last June to August, he spent 40 days in the border region. When he saw North Korean residents while driving around, he stepped out and took photos. His 900-millimeter lens captured young men panning for gold, a young girl braiding her sister’s hair on the river bank, and the tired faces of residents mobilized for “early labor” before going to work and school.

The slogans on the buildings read: “Let’s be true sons and daughters of General Kim Jong-un”; “Shine the revolutionary accomplishments of comrade Kim Jong-suk”; “Hail for General Kim Jong-un, Sun of Juche Joseon.” The anti-American slogans that were supposed to be removed after the summit remained. “Extinguish the American aggressors, our prime enemy!” they read.

It is a time of reconciliation and peace. Kim Jong-un’s determination has reportedly changed North Korea. Last summer, the Blue House said that President Moon Jae-in was reading a book entitled “Time in Pyongyang Flows with Time in Seoul” during his vacation. A former Hankyoreh newspaper photojournalist documented the changes in Pyongyang following his numerous visits to North Korea. Those who argue that North Korea should not be viewed from outdated perspectives recommend this book.

Another developing theory argues that the demonization of North Korea by some Koreans has complicated the Korean Peninsula issue. Former and incumbent ministers, some North Korean defectors supporting the government stance and Korean-American Shin Eun-mi, who was deported a few years ago because of her pro-North Korean concerts, all publicly address the harm of demonizing North Korea.
“In North Korea, there is a Pyongyang resident card other than a regular identification card. Pyongyang is different from other places. Despite a number of summits, it doesn’t change the fact that Kim Jong-un is a dictator and North Koreans live in a gigantic prison. I captured the sights in the border region in my camera. If telling facts is demonizing, what do you call glamorizing the demon?” said professor Kang.

평양밖 북조선
‘월경 녀자와 어린이 판매 금지. 월경자 수용·숙식제공금지.’ 북한과 중국의 국경, 지린성 바이산 시가 두만강변에 세워 둔 경고판 문구다. 어른 키의 두 배 높이 펜스 위로 끝없이 뻗어 나간 가시 철망이 표지판 뒤에 서 있다. 중국어와 한글로 적힌 경고문은 북·중 국경지대에서 수십 년간 벌어지고 있는 탈북자 인권 유린의 증거이자 기록이다.
부산하나센터장으로 탈북민 정착을 지원하는 강동완 동아대 교수가 최근 펴낸 책,『평양 밖 북조선』에는 북·중 국경 1500㎞에 사는 주민들의 신산한 삶이 담겼다. 1000장에서 한장 모자란 999장. 모두가 하나된 마음으로 통일을 꿈꾸자는 뜻을 담았단다. 북한 신의주부터 옌지까지-.
강 교수는 지난 6월부터 7·8월 석 달 중 40여 일을 경계선에 섰다. 차를 타고 가다 건너편 북한 주민이 보이는 곳이면 내려서 셔터를 눌렀다. 압록강에서 사금 캐는 청년의 노동도, 해 질 녘 강가에 앉아 동생의 머리를 땋아주는 소녀의 마음도, 학교와 직장으로 가기 전 ‘조기 작업’에 동원된 주민들의 피곤한 얼굴도 900밀리 망원렌즈 렌즈 속으로 들어왔다.
렌즈에 잡힌 북녘의 주민들을 압도하는 것은 건물마다 붙어 있는 구호다. ‘경애하는 김정은 장군님의 참된 아들딸이 되자’ ‘김정숙 동지의 혁명업적을 빛내자’‘주체 조선의 태양 김정은 장군 만세’. 정상회담 후 사라졌다는 반미구호도 그대로다. ‘철전지원쑤 미제침략자들을 소멸하라’
이른바 ‘화해와 평화의 시대’다.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으로 북한이 변했다고들 한다. 지난여름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휴가 도서로 『평양의 시간은 서울의 시간과 함께 흐른다』를 소개했다. 전 한겨레 신문 사진기자 출신인 진 씨는 여러 차례 평양을 오가며 평양의 변화상을 소개하고 있다. 수십 년 타성에 젖은 눈으로 북한을 봐서는 안 된다고 얘기하는 인사들이 추천하는 책이다.
연장 선상의 또하나의 기류. 그동안 우리 사회 일부가 북한을 ‘악마화’해서 한반도 문제가 꼬였다는 논리다. 전·현직 장관도, 정부 입장에 동조하는 일부 탈북자도, ‘종북 콘서트’로 수년 전 추방 당한 재미교포 신은미 씨도 ‘북한 악마화 폐해’를 공론화하고 있다. 일종의 프레임이다.
“북한엔 공민증 외에 평양시민증이 있다. 평양은 다른 곳과 같지 않다. 수차례 정상회담에도 김정은이 독재자란 사실, 주민들은 거대한 감옥에 살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국경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카메라에 담았다. 사실을 얘기하는 것을 악마화라고 한다면, 악마를 미화하는 것을 무엇이라 얘기해야 하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