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uble below the surfac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rouble below the surface (KOR)

YUM TAE-JUNG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When the iron door leading to the underground cable tunnel was opened, black cables about 50-60 centimeters-thick (19.6-23.6 inches) were stacked up and stretched out. As I walked along the cables under the dim lights, I felt like I was in a movie. I thought I may be able to enter the world of Pellucidar by Edgar Rice Burroughs that I had read as a child. A KT employee who guided me during the visit said that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ble tunnels in Korea, and if a problem arose there, it would be a disaster.

The recent fire in an underground tunnel at KT’s switching center in Ahyeon, western Seoul, and the underground hot water pipe rupture in Goyang, Gyeonggi, reminded me of my visit to the underground cable tunnel in Gwanghwamun, central Seoul, more than 10 years ago. As our daily lives become more convenient thanks to the communication cables, hot water pipes and gas pipes, more structures are built underground.

In addition to infrastructure, underground development is expanding. Seoul is promoting underground spaces connecting Gwanghwamun, City Hall Station, Euljiro and Dongdaemun Digital Plaza. It is a project modeled after the Underground City in Montreal, the biggest of its kind in the world. The 32-kilometers-long (19.9 miles) Underground City has more than 1,700 stores as well as restaurants, theaters and museums.

Whil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underground space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reality cannot keep up. Maintenance is under different agencies for different facilities, overseen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nd local governments. They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When sink holes were spotted across the country in 2014, the government announced in April 2015 that it would build a comprehensive map of underground spaces by 2019 for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facilities. Completion by next year won’t be feasible and it may not be possible until 2020 or lat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comprehensive map will be accurate, as it is not entirely based on actual measurements. In addition to infrastructure, information on the soil stratum and rock formation are also necessary, and I wonder how much of this information is even available. The collapse of Sangdo Kindergarten in Seoul in September was caused by an ignorance of ground information.

People are growing more anxious about the underground spaces and call for proper management.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passed a bill on underground safety maintenance in October, outlining a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structures and ground subsidence. The North Jeolla Province Council also recently passed a bill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Ulsan, an industrial city with many underground structures, plans to establish an underground safety committee within the month.

While local governments legislate and form committees to manage underground spaces, their efforts may be limited. As recent disasters have show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systems on a national scale are urgently needed. Through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underground information, we need to prevent underground facilities from becoming time bombs.

JoongAng Ilbo, Dec. 10, Page 34

지저세계 시한폭탄 염태정 내셔널팀장

지하 통신구로 연결되는 철문을 열자 지름 50~60㎝ 돼 보이는 검은색 케이블이 층층이 쌓여 길게 뻗어 있었다. 흐릿한 불빛 아래 케이블 옆으로 난 좁은 길을 따라 걷는데 영화 속 세계에 들어온 듯했다. 계속 걸어가면 어릴 적 읽었던 소설 『지저세계 펠루시다』로 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상상도 했다. 안내를 맡은 KT 직원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통신구 가운데 하나다.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정말 큰일 난다”고 했다.
최근 줄줄이 터진 서울 KT 아현지사 지하통신구 화재, 경기도 고양 지하 온수관 파열 사고를 보면서 10여 년 전 갔던 서울 광화문 지하 통신구가 떠올랐다. 통신선과 온수관ㆍ가스관을 비롯해 우리의 생활이 편리해지면 질수록 땅 밑에는 더 많은 설비가 깔려야 한다. 인프라 설치뿐 아니라 지하 개발도 확대일로다. 서울시는 광화문ㆍ시청역ㆍ을지로ㆍ동대문디지털프라자를 잇는 지하 공간 개발을 추진 중이다.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는 세계 최대 지하도시 언더그라운드 시티(Underground city)를 본뜬 사업이다. 총 길이 32㎞에 달하는 언더그라운드 시티에는 1700개 상점과 식당ㆍ극장ㆍ박물관 등이 있다.
지하 공간 활용ㆍ관리는 점점 중요해지는데 현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 시설에 따라 관리 주체가 국토교통부ㆍ행정안전부ㆍ지방자치단체 등 제각각이다.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지 않다. 2014년 전국 곳곳에서 지반 침하가 발생하자 정부는 이듬해 4월 효과적인 지하 설비 관리를 위해 ‘2019년까지 지하 공간 통합 지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내년 구축은 물 건너갔고 202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합지도는 실제 측정이 아닌 기존 자료를 디지털화하는 것도 많아 정확도에 대한 의심도 있다. 인프라 설비뿐 아니라 건축물의 토대가 되는 지하의 토층ㆍ암반층 정보도 필요한데, 역시 얼마나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지난 9월 서울 상도유치원 붕괴는 지반 정보를 제대로 몰랐거나 알면서도 무시한 결과다.
지하 공간에 대한 시민의 불안은 커진다. 땅속을 제대로 관리해 달라는 요구가 높아진다. 서울시의회에서는 10월 ‘서울특별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조례안’이 나왔다. 지반침하 및 지하시설물의 종합적인 안전관리체계 수립이 골자다. 전북도의회에서도 최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조례’가 발의됐다. 땅밑 설비가 상대적으로 많은 산업도시 울산광역시에서는 이달 중 ‘지하안전위원회’가 출범할 예정이다.
지자체들이 땅속 관리를 위한 조례를 만들고, 위원회를 구성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최근 줄 이은 사고에서 보듯 국가 차원의 지하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지하는 깜깜한 곳이지만, 정보마저 깜깜해서는 안 된다. 땅 밑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해 지하설비가 시한폭탄이 되는 건 막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