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ck of fiscal philosoph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ack of fiscal philosophy (KOR)

KIM DO-NYUN
The author is an economic policy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State finance needs to be used when necessary. The point is where it is used. Now, I don’t see the rules that determine this,” said former deputy prime minister for the economy Jin Nyum at a fiscal health forum in Seoul on Dec. 21. The fault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e pointed out, could be confirmed as I investigate the discord between bureaucrat-turned-YouTuber Shin Jae-min and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I had a chance to think about how the government approaches fiscal policie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denied Shin’s claims that the Blue House attempted to force the ministry to issue deficit-financing bonds and manipulate the national debt-to-GDP ratio in order to make the former Park Geun-hye administration look bad. The ministry based the denial on its argument that even if the government issued 4 trillion-won ($3.56 billion) bonds, it would only add 0.2 percent to the national debt-to-GDP ratio. The ministry also claimed that it did not issue additional bonds and that the presidential office’s suggestion was not coercive.

But questions remain about whether a 0.2 percent increase in the debt-to-GDP ratio is really insignificant and if it is OK as bonds were not issued in the end. Aside from these issues, financial experts focus on a more fundamental question: it is a lack of fiscal management philosophy at the Blue House. Experts believe that it must have been difficult for Finance Ministry officials to refuse the suggestion from the Blue House. Prof. Ock Dong-seok of Incheon University said that it is common sense to manage finance, not to increase debt, as it could add additional tax burdens to the citizens. I am worried that the government treats debt too lightly.

What would have happened if the Finance Ministry officials really accepted the Blue House’s suggestion in late 2017? As the ministry explained, its impact on the debt-to-GDP ratio might have been negligible. But I think the opportunistic fiscal management to get debts for a short-term market boost and populist welfare programs might have further prevailed.

If you want to spend more, but earning is limited, you would have to go into debt— that applies to households and nations alike. As debts can add tax burdens to future generations, it is better to reduce it if possible. I think what Shin really wanted to say was that the government was far from being frugal.

JoongAng Ilbo, Jan. 3, Page 29

'신재민 폭로'에서 드러난 재정 철학의 빈곤 김도년 경제정책팀 기자
"재정은 써야 할 땐 써야 한다. 문제는 어디 쓰느냐다. 지금은 이를 정하는 원칙이 보이지 않는다."

진념 전 경제부총리가 지난달 2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건전재정포럼에서 한 얘기다. 그가 지적한 현 정부의 실책을 최근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과 기재부 간 진실 공방을 취재하며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부가 재정 정책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계기가 됐다.
기재부는 현 정부가 박근혜 정부의 국가채무비율을 높이려고 적자국채(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 발행을 시도했다는 신 전 사무관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적자국채(4조원 규모)를 발행해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0.2%포인트 정도만' 늘어날 뿐이라는 이유에서다. 결과적으로 추가 적자국채 발행이 없었다는 점도 반박 이유로 들었다. "청와대 의견 제시가 '강압적인' 게 아니었다"고도 주장했다.
'0.2%포인트 정도만'이라고 치부할 수 있는지, '결과적으로' 추가 적자국채 발행이 없었다고 해서 면죄부가 될 수 있는지 따져볼 게 한둘이 아니다. 이를 차치하고라도 재정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건 더 근본적인 문제다. 청와대의 빈곤한 재정 관리 철학이다. 전문가들은 기재부 실무자들이 상부 의견에 반대해 국가채무를 줄여야 한다고 설득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옥동석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는 "나랏빚을 늘리면 국민 부담도 늘기 때문에 되도록 이를 늘리지 않는 방향으로 재정을 운영하자는 것이 상식"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나랏빚 내는 것을 비상시 '마이너스 통장' 뚫는 일처럼 가볍게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됐다.
적자국채 발행 논쟁이 있던 2017년 말 기재부 실무진이 청와대 의견을 덥석 받아들였다면 어떻게 됐을까. 기재부 발표처럼 국가채무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을 수 있다. 그러나 단기적인 경기 부양, 포퓰리즘적 복지 확충을 위해 얼마든지 빚을 내도 된다는 '기회주의적 재정 운용' 행태는 더욱 만연해졌을 공산이 크다.
써야 할 곳은 많은 데 벌이에 한계가 있다면, 결국 빚에 기대야 하는 것은 가계나 국가나 크게 다르지 않다. '빚'은 미래 세대에 부담을 준다는 측면에서 가능하면 줄이는 게 좋다. 이번 사태에서 확인한 정부는 알뜰살뜰 살림을 챙기려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는 것, 그게 신 전 사무관이 진짜 하고 싶었던 얘기 아닐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