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talk about KB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t’s talk about KBS (KOR)

KBS — under fire for its biased editing and broadcasting — has prompted conservative legislators and civilians to seek separate TV fees for the national broadcaster. Main opposition Liberty Korea Party (LKP) set up a special committee targeting KBS that is aimed at charging separately for channels run by the national broadcaster.

The public broadcaster enjoys fixed revenue in TV fees, as a 2,500 won ($2.22) monthly payment is bundled up in electricity bill or apartment maintenance bills at households across the nation with TV antennae. The military regime under President Chun Doo Hwan arranged the combined charge system for KBS in 1984 amid a consumer boycott of the public broadcaster for acting as the mouthpiece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This became an issue as KBS gradually lost the public’s confidence as a public broadcaster. Its documentaries and dramas often drew controversy for biased views or misrepresentation, as well as vulgarity. Last year, it angered conservative viewers for airing a liberal group head’s comment that likened North Korea’s hereditary rule over three generations to President Park Chung Hee and his daughter,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A talk show hosted by leftist entertainer Kim Je-dong also came under fire last month for glorifying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KBS also live broadcasted Defense Minister Jeong Kyeong-doo’s controversial comment that suggested the South Korean people should forgive North Korea for its sinking of the Cheonan naval ship, which killed 46 South Korean sailors, for a better future with North Korea. The progressive comments and views coming from a public broadcaster targeting the broad population have gone too far.

KBS should have apologized and vowed fairness. But senior executives are suspected of trying to lobby to prevent it from being penalized for the controversial programs. It is no wonder that some organizations are campaigning to boycott KB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opposition should not use the case for political gain. The conservative party also influenced KBS for its own political interests when it was the governing power. The issue should be led and addressed through public consensus. The separation of TV fees for KBS should be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where people now prefer to watch programs through online or streaming platforms rather than TV.

JoongAng Sunday, Jan. 5-6, Page 30

오죽하면 수신료 분리 징수 얘기까지 나오겠는가
KBS 프로그램의 편파,왜곡 시비가 수신료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어제 ‘KBS의 헌법 파괴 저지 및 수신료 분리징수 특위’ 를 발족하고 수신료 강제 징수 금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수신료(월 2500원)는 전기요금이나 아파트 관리비 청구서 등에 함께 청구돼 징수된다. 5공 시절이던 1984년 수신료 납부 거부운동이 범국민적으로 확산되자 징수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수신료 문제가 재점화된 건 무엇보다 KBS가 공영방송으로서의 공정성과 균형을 잃고 있다는 지적 때문이다. KBS의 시사프로나 드라마를 둘러싼 편파,품위 논란은 수시로 반복되고 있다. 작년엔 ‘북한 김정은의 3대 세습이 박정희·박근혜 대통령과 다를게 없다’는 일부 단체 대표의 주장을 여과없이 내보내 논란을 낳았다. '오늘밤 김제동' 프로의 지난달 '김정은 찬양 인터뷰' 논란은 아직까지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미래를 위해 북한의 천안함 폭침을 일부 이해하자’는 국방장관의 인식을 최근 전달한 매체도 KBS였다. 출연자들의 역사인식, 국가·안보관의 문제 이전에 이런 발언들이 공영방송을 통해 버젓이 전파를 타고 있는 상황 자체가 납득이 되지 않는다.
정상적이라면 시청자에게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다짐하는게 정도다.그러나 KBS는 고위 간부를 동원해 프로그램의 징계를 논의 중인 심의위원들에게 청탁을 했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KBS 공영노조) . 이런 지경이니 아예 '수신료를 내지말자'는 운동을 벌이는 시민단체까지 생겨난 것 아닌가.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야당도 이를 정략적으로만 이용하려 들어선 안된다. 한국당도 집권당 시절 공영방송의 공정성 문제를 묵과했거나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원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공영방송의 제자리 찾기'란 대국적 견지에서 공론화를 통해 해법을 도출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수신료의 법적 근거는 'TV 방송을 수신하는 수상기를 소지한 자는 수신료를 납부해야 한다'(방송법 64조)는 조항이다. 그러나 오늘날 TV 수상기는 PC 모니터, 유튜브 시청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급변한 미디어 환경 변화를 감안해서라도 수신료 분리 징수 문제를 전향적으로 논의해볼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