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estion of fairnes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question of fairness (KOR)

The Incheon Metropolitan Council passed an ordinance endorsing financial compensations to people who received damages due to the Incheon landing and subsequent battles in the port city in September of 1950 that later helped UN-backed forces retrieve the capital Seoul during the Korean War. The war reparations, 69 years after the battle, could stoke questions about fairness.

The city council last Monday passed an ordinance designed to compensate Incheon residents for their losses during the war. The motion was brought by a ruling Democratic Party (DP) councilman. The city statute proposes compensating surviving residents or descendants from Wolmi Island who lost homes in the battle. About 100 islanders are estimated to have died and those in their 30s or 40s mostly fled the island off the coast of Incheon. The bill is based on a fact-finding national committee report from 2008 that advised residents of Wolmi Island be compensated for their suffering due to the U.S.-led amphibious invasion operation, which took place without evacuating the residents first. The Incheon Council put the ordinance forward in 2011 and 2014 but struck it down both times, calling it an affair that should be addressed in a national context rather than regionally. The council passed the bill this time based on an interpretation from the government that the affair falls under local government jurisdiction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The seven members of the council’s plann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that voted for the ordinance are DP members.

Han In-deok, the leader of a group of Wolmi Island residents, welcomed the news as they have fought for 70 years to find ways to return home. The island has little room left for residents as it hosted U.S. troops and now is a theme park. But few parts were unscathed during the three-year war. One military expert pointed out most parts of Belgium, the Netherlands and Poland were wrecked during UN attack on Nazi-occupied territories, but none were ever compensated. The entire country and people were scarred by the war, and damage payments for a certain region could become controversial, he added.

A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has been deliberating since last year on restoring the reputation of those who led the Donghak peasant rebellions in the 19th century. The committee was established under a special law in 2004 and finished its duty in 2009 after registering 10,000 people as descendents of the victims. The committee was revived last year upon a petition from DP lawmakers representing the rural regions, who claimed there had been 200,000 to 300,000 victims. There had been questions about whether it was necessary to spend tax funds to dig up and restore names of those who had died from events 124 years ago.

The internet is brewing with debate. Revisiting the past despite the myriad of ongoing troubles could stir unnecessary division and complaints.

JoongAng Ilbo, March 22, Page 30

인천상륙작전 피해보상…임진왜란도 보상할건가
인천시의회가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으로 인한 월미도 주민 피해를 보상키로 했다. 전쟁 69년 만에 국가가 주민 피해를 보상하는 유례없는 일이다. 그러나 형평성 논란과 함께 자칫 사회적 갈등만 불러일으키는 과잉대책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인천시의회는 18일 안병배 더불어민주당 인천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과거사 피해주민 생활안전 지원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인천상륙작전 당시 유엔군 포격 등으로 피해 입은 월미도 원주민 또는 상속인에게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월미도에서는 당시 주민 100여 명이 목숨을 잃고 30~40세대가 탈출했으나 정확한 피해 규모는 집계되지 않았다. 조례 제정의 법적 근거는 지난 2008년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월미도 원주민에게 합당한 보상’을 권고한 것이다. 인천시의회는 2011년, 2014년에도 각각 조례안을 마련했으나 ‘지방자치단체 업무가 아닌 국가 업무’라는 이유로 무산됐었다. 올해 법제처가 ‘지자체 업무’로 유권해석을 해 조례 제정에 이르게 됐다. 조례를 통과시킨 기획행정위원회 7명 전원이 민주당이다.
한인덕 월미도 원주민 귀향대책위원장은 “70여년간 고향을 찾지 못한 억울함이 일부 해소됐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실제 월미도에는 인천상륙작전 이후 미 군부대가 주둔하고 공원이 조성되는 등 원주민의 귀향길이 막혔었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 대부분의 국토가 초토화됐고, 피해를 입지 않은 국민이 없다는 점에서 과도한 피해보상 적용이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 군사전문가는 “제2차 세계대전에도 연합군의 군사작전으로 나치독일군에 점령됐던 벨기에, 네덜란드, 폴란드가 쑥밭이 됐지만 이 때문에 피해보상을 했다는 기록은 본 적 없다. 한국전쟁으로 피해를 본 것은 전 국민이었는데 유독 인천상륙작전 과정에 대해서만 피해를 보상하라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앞서 문체부 소속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가 지난해부터 벌이고 있는 동학농민혁명 유족 등 사업도 논란이 되고 있다. 2004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돼 활동을 시작한 심의위는 1만여 유족을 등록하고 2009년 활동을 종료했다. 그러다 2017년 특별법 개정과 함께 활동을 재개했다. 호남 지역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동학혁명 희생자가 20~30만명에 이르는데 1만여명 등록은 너무 적다”며 등록기간 제한을 해제한 개정안을 상정해 통과시켰다. 당시에도 124년 전 조선왕조에서 벌어진 일을 대한민국 정부가 세금을 써가며 명예 회복하는 것이 합당하냐는 비판이 많았다.
인터넷에는 “이런 접근이라면 한강 다리 끊겨 피난 못 간 서울시민이나 임진왜란 유족들도 보상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냉소적 반응이 다수다. 거기에 연일 과거 역사를 현실에 소환해 정치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만드는 데 대한 우려도 크다. 최근 잇단 ‘친일논쟁’ ‘공영방송의 이승만 폄훼 발언’‘근현대사 바로 세우기’ 등도 마찬가지다. 그 재소환의 과정에서 “현재의 정치적 신조에 갇혀서 과거를 해석하는, 위험한 역사정치”(김명섭 연대 교수)의 가능성은 없는지 묻고 싶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