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ealth insurance loophol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health insurance loophole (KOR)

Cheap health insurance in Korea is being exploited by overseas residents, as well as foreigners, who have resided in Korea. Foreigners or emigrated Koreans are entitled to individual state insurance as long as they have resided in Korea for more than six months. The residence requirement was extended to six months from the previous three months in December to toughen the criteria.

Their premium rate does not differ from the average 113,050 won ($95) every unsalaried Korean pays a year for national insurance coverage. Their medical expenses in 2018 reached a whopping 205.1 billion won. The individual insurance policy system needs a fix to address the widening deficit from loopholes and inefficiency.

What causes the biggest problem is Koreans living oversea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y do not tell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at they are leaving when they depart Korea. Their entitlement is suspended a month after they leave the country, but is revived as soon as they return. Students studying abroad or long-term travelers pose a lesser problem, but permanent overseas residents or citizens are no different from Korean nationals on paper if they do not report their residency to the authorities.

There is a bigger loophole. Premiums for non-employee health policies are set on the first day of every month. Therefore, if a person enters the country on the second day of the month and leaves within the month, they do not have to pay a cent for the coverage.

Such free-ride medical benefits for Koreans living abroad are even posted on social media. According to Democratic Party Rep. Jeong Choon-sook, there were 104,309 Koreans last year — or 228,381 over the last three years — who enjoyed such health care benefits in Korea.

They used up 42 billion won of public health funds. A Korean in his 50s, who is living in a foreign country, had a liver treatment during his eight-day visit to Korea, which cost the country over 10 million won.

Even if the authorities force them to pay the premium, many of them pay up to a month’s premium — about 13,000 won a month — at most, and leave the country. The health authority must come up with more efficient measures to confirm the residential status of Koreans living overseas in order to not waste government budgets.

JoongAng Ilbo, May 21, Page 30

구멍뚫린 건보 재정, 악용 막을 대책 시급하다
건강보험이 해외 거주자의 먹잇감이 됐다. 외국인에게만 아니라 해외 거주 한국인한테도 그렇다. 외국인이나 재외국민(대부분 영주권자)은 한국에 들어와 6개월 지나면 지역건보 자격이 생겨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지난해 12월 거주 요건(종전 3개월)을 강화한 게 이렇다. 보험료도 전체 가입자의 평균보험료(11만3050원) 정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들은 2017년 낸 돈(보험료)보다 의료비로 2051억원을 더 썼다. 물론 의료 이용이 적은 외국인 직장가입자까지 포함하면 전체로는 2490억원의 흑자를 본다. 그렇더라도 지역건보 적자는 어떻게든 손 볼 필요가 있다.
이들보다 더한 얌체족이 장기체류 내국인이다. 출국하면서 해외 이주 신고를 하지 않은 이들이다. 출국 한 달 후 건보 자격이 정지됐다가 입국하면 바로 회복된다. 유학생·장기여행객 등이 대표적인데, 이들의 건보 이용이야 별 문제 없다고 본다. 문제는 해외 거주 영주권자·시민권자다. 영주권·시민권 취득 사실을 한국에 신고하지 않으면 건보법상 내국인과 다름없다.
더 큰 구멍이 있다. 건보료는 매달 1일 기준으로 부과 대상자를 결정한다. 그런데 2일 입국해서 치료 받고 그 달에 출국하면 건보료를 한 푼도 안 낸다. 현지 SNS에서 편법을 알려준다는 얘기도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 정춘숙 의원에 따르면 이런 사람이 지난해 10만 4309명, 최근 3년 22만8481명에 달한다. 건보 재정이 420억원 들어갔다. 50대 해외거주자(C형간염)는 입국 후 6번 진료 받고 1000여만원의 건보재정을 쓰고 8일만에 출국했다. 물론 통계에는 유학생·여행객 등이 들어있지만 50대 환자 같은 이가 적지 않을 것이다.
이들에게 보험료를 물린다고 해도 한달치만 물고 출국하면 그만이다. 그것도 1만3000원 가량에 불과하다. 이런 조치는 하나마나하다. 이참에 장기 체류 내국인이 사는 국가에서 영주권·시민권 취득자 명단을 받아서 '6개월 거주' 규정을 적용하는 등의 근본 대책을 세워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