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ader consensus needed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oader consensus needed (KO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 bent on its pro-labor polices, including minimum wage hikes and a universal enforcement of a 52-hour workweek — is set to endorse the conventions of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which have long been demanded by trade unions. Labor Minister Lee Jae-gap said the government will propose to ratify three of the four remaining ILO covenants that Korea has deferred since it joined the organization in 1991. The government will submit a bill for legislative review and approval after discussion with employers and unions, the minister said.

The ILO conventions are a set of recommendations on labor standards for employers and employees to refer to. They are not enforced because situations can differ by economic conditions and labor environments for each country. As the government’s labor practices need to be aligned with the international norms amid the commonplace free trade agreements, Korea cannot go on putting off ILO conventions by citing its market uniqueness.

Nevertheless, the Korean market is still too fragile to apply them. The labor community has been demanding all four keystone conventions be ratified by the National Assembly. But employers are demanding protections common in developed economies — such as allowing replacement workers during strikes and banning occupations of business sites or other illegal activities — before legalizing them in Korea.

Does the government really believe the labor sector will accept stronger punitive actions on illegal labor activities after the ILO mandates are ratified by the legislature? The militant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has even boycotted a tripartite labor panel to discuss moderation of the pace of minimum wage hikes. The ILO conventions are an even trickier issue. The government proposes to endorse three of the four conventions first. Yet as soon as they pass the legislature, volunteer trainees on industrial sites will be drafted to the military as their replacement duty would fall under “forced labor.” Such contradictory conditions are hardly known in Korea. Ratification before going over the terms with the public could cause great confusion.

Given the risk of social unrest, the government must approach the issue seriously. Otherwise, it could be suspected of pushing the policy to win union votes during the general election in April next year. No matter how it is backed by the labor community, it requires broader social consensus.

JoongAng Ilbo, May 23, Page 30

ILO 핵심 협약 비준, 사회적 합의가 먼저다
문재인 정부가 최저임금 과속 인상과 일률적 주 52시간제를 몰아붙이더니 이번에는 국제노동기구(ILO) 핵심 협약 비준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나서면서 경제의 불확실성을 가중하고 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어제 ‘ILO 핵심 협약비준 관련 정부 입장’을 통해 “아직 비준되지 않은 ILO 4개 핵심 협약 중 3개 협약에 대해 비준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국회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노사 의견 수렴을 거쳐 비준 동의안을 정기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묻지마 비준’이다. ILO 협약은 노동 관행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개별 국가에서 사용자와 근로자 합의를 전제로 추진되는 것이 마땅하다. 나라마다 경제 여건과 고용환경이 달라 일률적으로 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자유무역협정(FTA)이 확산하면서 노동 관행도 상대국과 같은 조건으로 맞추는 국제적 추세를 반영해야 하는 것도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ILO 핵심 협약을 한국의 특수성만 내세우며 한없이 유보하는 것도 능사는 아니다.
그런데도 유보돼 온 것은 왜일까. 한국에선 이들 제도를 도입할 여건이 아직 갖춰져 있지 않아서다. 그간 노동계는 4개 협약 모두 무조건 비준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경영계는 협약을 비준한 선진국과 같은 수준의 보완책을 요구했다. 파업 시 대체근로 허용, 사업장 점거 금지, 부당노동행위 폐지 등이다.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이들 제도가 전혀 도입돼 있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비준부터 하고 나면 노동계가 보완책을 받아들인다고 정부는 보고 있는 건가. 민주노총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경영계와 머리를 맞댔어야 할 최저임금 속도 조절 논의조차 거부했다. ILO 협약은 이보다 더 복잡한 문제다. 정부가 4개 협약 가운데 3개를 먼저 비준하겠다고 했지만, 협약 비준 즉시 산업기능 요원은 ‘강제노동’에 해당해 일을 그만두고 군 복무를 해야 한다. 이런 사실조차 국내에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을 만큼 핵심 협약 비준 준비가 안 돼 있다.
정부는 당장 심사숙고해야 한다. 전혀 준비되지 않은 단계에서 비준부터 했을 때 발생할 혼란을 감당할 수 있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혹여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이 정부의 지지세력인 노동계의 환심을 사려는 의도라는 오해까지 살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아무리 노동계를 일방적으로 두둔해도 사회적 합의도 없는 일방적인 조치는 혼란만 불러올 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