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et without condit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eet without conditions (KOR)

YOON SEOL-YOUNG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It was like a chariot of fire running indefinitely. After Japan announced an export ban on July 1, Seoul and Tokyo have been stern on each other. The Korea-Japan trade authorities’ working-level meeting in Tokyo on July 12 was the trigger of the discord.

The Japanese officials didn’t even wear ties, and the title on the white board — “Working-level Info Session” — seemed quite condescending.

The meeting, which was the opposite of courteous, changed the mood in Korea. Those who considered a composed response to Japan’s economic retaliation for the Korean Supreme Court’s ruling ordering Japanese companies to pay for Koreans forced to work during World War II suddenly changed their minds and started to support a boycott on Japanese products. Around this time, Japanese programs began addressing the Korea-Japan discord as a major topic.

On July 18, Japanese Foreign Minister Taro Kono called in Korean Ambassador to Japan Nam Gwan-pyo and behaved rudely, cutting-off Ambassador Nam in the middle of the conversation. It was clearly intentional as journalists covered the moment. The foreign minister’s statement on the same day asked the Korean government to “correct its viola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but did not mention any repentance on its occupation of Korea or any sympathy for the pains Japan had caused victims.

Korea responded emotionally. The Blue House defined Japan not as a diplomatic partner but as a country to fight, branding those who deny the government’s position as “Japanese collaborators.” It even said, “It’s either patriotism or betrayal of the country.” President Moon said that he hoped Japan would return to diplomatic resolution, and warned the Japanese economy would suffer greater damage. Only the warning was delivered to Japan. There has been no voice calling for calm dialogue.

The emotional confrontation must stop and a cool-down must begin. On the court decision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it is fortunate that the Blue House has started making moves by ordering the Foreign Ministry to come up with a plan.

Japan must also show courtesy. Even if it thinks the Supreme Court ruling violates international laws, it does not to help resolve the issue if Tokyo interferes with the meetings between forced labor victims and offending companies.

In the end, the two leaders should meet and seek a resolution. Just as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met, Moon and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have to make a decision in a top-down way. The only possible venue is the South Korea-China-Japan summit to be held in China sooner or later. There, the two leaders should be able to meet “unconditionally” and talk frankly.


전제조건 없이, 만나야 한다
마치 끝모르고 달리는 ‘불의 전차’ 같았다. 7월 1일 수출규제 조치 발표 이후 한국과 일본이 서로를 대한 방식이 실로 그랬다. 지난 12일 도쿄에서 열렸던 한·일 수출당국간 실무회의는 갈등의 도화선이었다. 넥타이조차 매지 않은 일본 당국자의 모습, 화이트보드에 써 붙인 ‘실무적 설명회’라는 글자에선 ‘위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시선(上からの目線)’이 느껴졌다.
‘오모테나시(극진한 대접)’와는 180도 다른 회의 장면을 보고 한국 내의 분위기도 바뀌었다. ‘냉정하게 대응하자’던 사람들도 ‘불매운동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일본 TV에서 ‘한·일 갈등’을 주요 소재로 다루기 시작한 것도 이때 즈음부터였다.
18일 고노 다로 외상은 남관표 주일대사를 부른 자리에서 대화 도중 말을 끊는 ‘무례’를 범했다. 취재단이 있는 앞에서 다분히 의도적이었다. 같은 날 나온 외상의 담화문은 “한국 정부가 국제법 위반 상태를 시정하라”고 했지만, 어디에도 과거 식민지배에 대한 반성이나 피해자의 아픔을 공감한다는 말은 없었다.
한국도 감정의 날을 세웠다. 청와대는 “정부 입장을 부정하는 사람은 ‘친일파’”라거나 “애국이냐 이적이냐”라는 발언으로 일본을 외교의 대상이 아닌 싸워야 할 상대로 규정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외교적 해결의 장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 했지만 "일본 경제에 더 큰 피해가 갈 것임을 경고해둔다”는 더 센 발언에 가려졌다. 일본에선 ‘경고 발언’만이 메시지로 전달됐다. 한국과 일본이 서로 “내가 더 세다”고 으르렁댄 지난 한 달 동안 “차분하게 대화로 풀자”는 목소리는 설 곳이 없었다.
이젠 감정적 대립은 끝내고 ‘쿨 다운’에 들어갈 차례다.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청와대가 움직이기 시작한 건 다행이다. 청와대가 외교부에 대책 마련을 재촉했다고 한다. 일본 측도 성의를 보여야 한다. “만족할만한 답변을 가져오라”는 식은 곤란하다. 대법원 판결이 국제법 위반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더라도, 정부가 나서서 강제징용 피해자와 피고 기업의 만남까지 막는 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결국 두 정상이 만나서 풀어야 한다. 북·미처럼 한·일도 ‘톱 다운’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왔다. 당장 한국이나 일본 한쪽에서 만나기는 여건이 좋지 않다. 유일하게 기대할 수 있는 외교일정이 중국에서 열릴 차례인 한·중·일 정상회담이다. 그때는 두 정상이 ‘전제조건 없이’ 만나 허심탄회하게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 아베 총리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전제조건 없이 만나자”고 했듯 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