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one-day outing for the statu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one-day outing for the statue (KOR)

JUNG HYO-SIK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Ilbo.

From August 14, the Old Korean Legation in Washington D.C. held a special exhibition of historical materials showing efforts to maintain Korea’s independence 130 years ago. Exhibited were postcards, New Year’s greeting cards and documents from a church. They were found during the fireplace restoration in a second-floor office in April 2016. One of them was a postcard from Danville Military Institute (1890-1939). Lee Chae-yeon, the fourth minister to the United States from 1890 to 1893, visited the school to invite American military instructors to enhance Korea’s military and bought the postcard.

Danville is at the southwestern end of Virginia and takes about 4 and half hours by car to reach today. Lee visited this school because King Gojong secretly ordered him to arrange for the dispatch of 200,000 American troops to drive out Chinese forces for Joseon. First minister Park Jeong-yang had a one-on-one meeting with U.S. President Grover Cleveland but was called back after 11 months due to Qing pressure. Successive ministers Lee Ha-young, Yi Wan-yong and Lee Chae-yeon remained committed to the goal.

Second acting minister Lee Ha-young was almost successful. With the help of the Department of State, he borrowed $2 million with Incheon, Busan and Wonsan Ports as security, and the deployment bill was voted in the Congress and the Senate. However, because of the Monroe Doctrine, the deployment to Korea did not pass. Lee returned the remaining money after spending $160,000 on banquets and lobbying, and the diplomacy ended fruitlessly (“Fifty Years of Diplomacy with the United States” by Moon Il-pyung). Moreover, Lee Ha-young, a Jungchuwon advisor, and Yi Wan-yong, one of the five Eulsa traitors, failed to get help from the United States to maintain Korea’s independence and later became Japanese collaborators, leading the transfer of Korea’s sovereignty to Japan.

On August 15, the statue of the Girl of Peace came to the Old Korea Legation after passing the Japanese Embassy in the United States. It came to Washington, D.C. in November 2016 but a permanent location could not be found. It was kept in storage for 33 months and finally saw the light of day. The statues are installed in four locations: Los Angeles, South Field, Michigan, Brookhaven, Georgia, and Manhattan, New York, but the Japanese government is interfering with the installation in the U.S. capital. The installation committee will seek public locations in Washington, D.C. by the end of the year, and as an alternative, Maryland and other nearby locations will be considered. How about the Old Korea Legation? The place where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was not prevented could be a place to console the victims. It is also meaningful as the legation was restored through efforts of Korean citizens and Korean Americans.

대한제국공사관이 소녀상의 안식처가 되면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워싱턴 대한제국공사관은 14일부터 130년 전 조선독립을 유지하려 애썼던 사료를 공개하는 특별전을 열었다. 2016년 4월 2층 공관원 집무실 벽난로 복원공사 도중 틈새에서 나온 엽서와 연하장, 미국 대통령이 다니던 언약의 교회 자료들도 공개됐다. 일종의 타임캡슐에서 나온 자료인 셈이다. 이 중 하나가 지금은 커뮤니티 칼리지로 바뀐 댄빌 군사학교(1890~1939) 엽서다. 4대 공사 이채연(1890~93)이 부국강병을 위해 미국 군사교관을 초빙하기 위해 직접 이곳을 방문해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댄빌은 버지니아주 서남쪽 끝에 위치해 지금도 자동차로 4시간 30분이 걸린다. 이 먼 곳을 찾은 건 청군을 몰아내려 미군 20만 파병을 성사시키라던 고종의 밀명 때문이었다. 초대공사 박정양(1887~88)이 클리블랜드 대통령을 단독 접견한 뒤 청의 압력으로 11개월 만에 소환되자 2대 이하영-3대 이완용-4대 이채연까지 여기에 매달렸다.
2대 이하영 서리공사 때 성공하는 듯도 했다. 1차로 국무부의 도움을 얻어 인천ㆍ부산ㆍ원산항을 담보로 뉴욕은행에서 당시 금액 200만 달러를 빌렸고, 상·하원에 파병안 표결까지 부쳤기 때문이다. 하지만 먼로 독트린(불개입 원칙)에 따라 조선에 대한 파병안은 부결되고 만다. 이하영이 연일 연회를 열며 로비자금으로 쓴 16만 달러를 제외한 잔금을 반납하며 파병 외교는 수포로 돌아갔다.(문일평,『대미관계오십년사』) 게다가 조선 독립 유지에 미국의 도움을 얻는 데 실패한 이하영(중추원 고문)과 이완용(을사5적)은 나중에 친일파로 변신해 주권을 일제에 넘기는 데 앞장섰다.
마침 15일에는 ‘평화의 소녀상’이 주미 일본대사관 앞을 갔다가 대한제국 공사관 앞으로 나들이한다. 2016년 11월 워싱턴에 온 뒤 안식처를 찾지 못하고 33개월 창고에 갇혔다가 잠시 빛을 보게 됐다. 로스앤젤레스(글린데일), 미시간주 사우스필드, 조지아주 브룩헤이븐, 뉴욕 맨해튼 등 이미 4곳에 소녀상이 설치됐지만, 미국 수도만은 소녀상 설치를 막겠다는 일본 정부의 방해 공작 때문이다. 건립추진위는 올해까지 워싱턴 DC 내 공공장소에 소녀상 설치를 추진해본 뒤 메릴랜드주 등 인근 지역을 차선책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러기보다 대한제국공사관은 어떤가. 국권 침탈을 막지 못한 이곳이 "미안하고 미안하다. 잘못했다"고 위안부 소녀상에 위로할 수 있는 장소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 국민과 미국 교민들이 힘을 모아 되찾은 공사관이라서 의미도 크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