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normal after the viru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new normal after the virus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deputy editor of the popular culture team of the JoongAng Ilbo.

Scars and chaos from the Covid-19 are deep. A picnicker who visited the Sansuyu Village to view spring blossom has been tested positive. Shopping malls are empty and pharmacies selling face masks are crowded. College students taking online classes are complaining about the situation. People working from home are struggling with young children as the new school year has been delayed and lament about how they have to constantly cook.

“When can we go back to the routine?” As the Covid-19 crisis lasts longer, people wish to go back to the normal routine. Unfortunately, experts are skeptical. According to a report by Imperial College London’s Professor Neil Ferguson’s team published on March 16, the best option is to maintain social distance and slow down the spread of the virus.

Social distancing means everyone reducing contact with others by decreasing 75 percent of school, work and household activities. For example, you would meet a friend once instead of four times. Whenever intensive care hospitalization surges, the infection rate should be lowered through social distancing. Until when? Until the “unknown future” when a vaccine is developed or a considerable portion of mankind becomes immune.

Lee Wang-jun — chairman of the board of Myungji Hospital and head of the Covid-19 emergency response team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 wrote on Facebook on March 22, “We should not make a strategy by expecting the end. Now, we should prepare for the new normal of the time of epidemic.” He defined Covid-19 as an epidemic of the civilization that returned 100 years after the Spanish flu and claimed that a social philosophy and creative disease control strategy were needed for the longer run.

MIT Technology Review’s editor-in-chief Gideon Lichfield shares the position. In an article titled “We’re not going back to normal” on March 17, he argued “This isn’t a temporary disruption. It’s the start of a completely different way of life,” and people should learn to live in the state of pandemic.

What will happen to our lives when the old routine does not return? First, industrial changes are inevitable. Tourism, which was highlighted as the industry without smokestack, may lose its attraction. “At home” industries such as at-home workouts will grow along with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More restaurants will focus on delivery and takeout rather than sit-down service.

Changes in child care structure, the restructuring of work and life and the adjustment of income and spending of individuals are dramatic and ominous.

Protecting the vulnerable — the first ones to be exposed to the wave — will be the challenge. We need the wisdom to prepare for the “new normal.”

코로나19 이후의 '뉴 노멀' 강혜란 대중문화팀 차장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상처와 혼돈의 골이 깊다. 산수유 마을에 꽃놀이 간 상춘객이 확진자로 돌아왔다. 텅 빈 쇼핑몰엔 마스크 파는 약국만 붐빈다. 온라인 강의를 듣는 대학생들은 “○○사이버대학에 다니고 나의 성공시대 시작됐다~”는 로고송으로 처지를 푸념한다. 재택 근무 직장인들은 개학이 연기된 초‧중‧고 자녀들과 씨름하며 ‘돌밥돌밥’(돌아서면 밥 차리고, 돌아서면 밥 차리고) 한숨이다.
“언제쯤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사람들이 너나없이 품는 소망이다. 유감스럽게도 전문가들은 비관적이다. 예컨대 지난 16일(현지시간)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소속 닐 퍼거슨 교수팀이 내놓은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선은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바이러스 확산 속도를 늦추는 것 뿐이다.
이 때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란 모든 사람이 외부와의 접촉, 즉 학교‧직장‧가사 활동을 75% 줄이는 것이다. 이를테면 일주일에 네 번 만날 걸 한번 보는 식이다. 중환자실 입원이 폭증할 때마다 이런 식으로 감염율을 낮춘다. 언제까지? 백신이 개발되거나 상당수 인류가 면역 체계를 갖출 때, 즉 ‘알 수 없는 미래’까지 말이다.
“끝을 예상하고 전략을 짜면 안 된다. 이제는 감염병 시대의 ‘뉴 노멀’을 준비해야 한다.” 대한병원협회 코로나19 비상대응본부 이왕준 실무단장(명지병원 이사장)이 22일 페이스북에 쓴 말이다. 그는 이번 코로나19를 “스페인 독감 이후 100년 만에 돌아온 문명사적 전염병”으로 규정하면서 중장기전에 알맞은 (사회)철학과 창의적 방역전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미국 기술전문지 ‘MIT 데크놀로지 리뷰’의 기드온 리치필드 편집장도 비슷한 입장이다. 17일 ‘우리는 노멀(정상)로 돌아가지 않는다’라는 글에서 그는 “이것은 일시적인 혼돈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시작”이라며 우리가 “팬데믹(pandemic) 상태에서 사는 법”을 익혀야 한다고 썼다.
더 이상 일상이 돌아오지 않을 때 우리 삶은 어떻게 될까. 일단 산업적 변화는 불가피할테다. 굴뚝 없는 산업으로 각광 받은 관광업이 구시대 ‘굴뚝 산업’ 신세가 될지 모른다. 영화계의 극장개봉 공식은 이미 깨지기 시작됐다. 홈 트레이닝 등 ‘방구석 산업’은 1인 가구와 함께 성장해 갈 것이다. 홀 서비스 대신 배달과 밀키트(손질만 하면 되는 가정간편식)에 주력하는 식당도 늘 것이다.
양육의 새로운 구도, 일과 생활의 재편, 소득과 소비의 재조정 등 각자에게 닥칠 파고는 높고 불길하다. 이 파고에 가장 먼저 노출될 취약계층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지도 과제다. ‘뉴 노멀’을 대비하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