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ubts over aging Wolseong reactor

Home > Business > Industry

print dictionary print

Doubts over aging Wolseong reactor

The grave troubles at the Japanese nuclear power plant in Fukushima following a massive earthquake and tsunami last week is sparking controversy over whether Korea should extend operations of its No. 1 reactor at th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in Gyeongju, North Gyeongsang.

“As seen from the continuous explosions of reactors in Japan, there are growing concerns among residents near Wolseong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not extend the life of the reactor,” said Kim Ik-joong, chairman of the Gyeongju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yesterday.

“No one can guarantee the safety of this reactor,” he said, “because it is already old and all we can do to prevent any possible disaster from happening in advance is to close the facility at an appropriate time.”

The No. 1 reactor in Wolseong, with 679 million watts of capacity, started operation in 1983 and was supposed to be shut down next year.

But in 2009, Korea Hydro & Nuclear Power (KHNP), a subsidiary of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ske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permission to extend operations for another decade. While the ministry has yet to make a decision on the extension, which is expect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KHNP has already suspended operations of the reactor to replace pressure pipes, probably in anticipation of an extension.

“The Fukushima No. 1 reactor [that started operation in 1971] was to close down in February this year, but the Japanese government gave permission to extend operations for another 10 years, which was one of the reasons why the explosion turned even more catastrophic,” Kim said, noting that a group of Gyeongju residents will visit the Blue House and the Technology Ministry this month to express their concerns.

An official from the KHNP said that it was up to the ministry to make a final decision and it could not make any predictions.

Meanwhile, the Wolseong reactor isn’t the only one getting old. Currently, there are 21 nuclear reactors in operation in Korea, and three in Gori, Busan, and one in Wolseong have either been extended or sought extensions. The No. 1 reactor in Gori was permitted an extension in 2007 despite opposition from environmentalists.

Although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nuclear reactors, there will be no alteration in the plans to build two new reactors in Gori, construction of which will be completed in 2013 and 2014.

“Without additional power reactors, Korea may face blackouts during peak hours in summer and winter,” said an official from Kepco.


By Lee Eun-joo [angie@joongang.co.kr]

Related Korean Article[연합]
원전주변 주민 "남 일 아니다" 우려
"철저한 대비" 한목소리..원전유치 찬반 갈등도 심화

(전국종합=연합뉴스)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대지진과 지진해일(쓰나미) 여파로 후쿠시마(福島)현 원전에서 잇단 폭발이 일어나고 방사능 유출 공포가 확산하면서 국내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에서도 "남 일이 아니다"며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당장 큰 동요는 없다. 하지만, 원전 지역 주민들은 우리나라에서도 강진이 날 수 있으니 원전의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관련 정보의 공개를 통해 투명성을 높이고, 대피훈련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등 안전 확보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지역의 환경단체는 수명이 다한 원전의 연장운전에 반대하고, 원전 유치를 추진 중인 지역에서는 원전 유치를 거부하는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원전, 국내엔 어디에 몇 개 있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모두 22기의 원전이 있다. 이 중 가장 최근인 지난달 28일 가동에 들어간 부산시 기장군 신고리 원전 1호기를 포함해 산업 및 가정용 전력을 공급하는 상업 원전이 21기에 이른다.

신고리 1호기를 비롯해 같은 기장군의 고리 1∼4호기, 인근 경북 경주의 월성 1∼4호기, 전남 영광군의 영광 1∼6호기, 경북 울진군의 울진 1∼6호기다.

나머지 1기는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하나로)다.

상업 원전 21기의 국내 총 설비용량은 1만8천716㎿로 전체 발전설비 용량의 24.6%를 차지한다.

◇불안 속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목소리

6기의 원전이 있는 영광원전 주변의 홍농읍 성산리 마을 주민은 일본 지진과 이에 따른 원전 폭발 사고 얘기를 꺼내면서 바로 눈앞에 보이는 원전이 과연 안전한가라는 의문을 던졌다.

주민 김모(68)씨는 "우리나라 원전이 일본 원전보다 더 안전하다고 들었지만 눈만 뜨면 원전의 거대한 돔 건물이 보이는데 불안하지 않다고 하면 거짓말일 것"이라며 "우리나라라고 지진이 일어나지 않으란 법은 없지 않은가"라고 되물었다.

5기의 원전이 들어선 고리원전 지역에 사는 기장군의 조모(46)씨의 반응도 비슷하다. 그는 "원전 선진국 일본에서 자연재해로 원전사고가 나 주민들이 충격을 받았다"며 "원전이 안전하다는 말을 그대로 믿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이곳에서는 노후 기종인 고리 1호기의 수명을 10년 연장하는 것에 대해 주민들이 합의했지만 다시 생각해봐야겠다는 여론도 없지 않다.

이미 원전 4기를 가동하고 2기를 추가 건설 중인 경주에서도 수명이 다해가는 월성원전 1호기의 계속운전이 추진 중이고 방폐장까지 건설되고 있어 주민들은 걱정이다.

신영해(57.경주시 양남면)씨는 "우리나라에 큰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는데 원전 측에서 어떤 대책을 가졌는지 궁금하고 불안하다"며 "일본의 노후 원전에서 사고가 났는데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을 늘려서는 안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지난달 20일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 연구시설에서 백색비상이 발령되기도 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지역에 사는 김모(45.여)씨는 "원전이 그냥 안전하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시민이 믿을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전 2기가 건설되고 있는 울산 울주군 나사마을의 신창도 이장은 "신고리 3, 4호기에 이어 5, 6호기의 건설승인도 난다는데 불안하다"며 "한 해에 몇 번씩은 지진해일이나 방사능 물질 유출 대비훈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근 송정마을의 김동훈 이장은 "일본 원전 폭발사고를 보면서 많은 주민이 불안감보다는 오히려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대처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졌을 것"이라며 "내진설계가 강화해 안전장치를 제대로 갖춘 원전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환경단체, 노후원전 수명연장 중단 촉구..원전유치 찬반논란도

월성원전은 설계수명이 30년으로 내년에 수명을 다하는 1호기의 10년 운전연장을 추진 중이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이와 관련,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는 올해 2월에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10년간 수명연장이 허가됐고 결국 큰 사고로 이어졌다"며 "교과부가 올해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인데 월성 1호기는 조기에 폐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울산환경연합은 인근의 부산시 기장군에서 수명이 연장돼 재가동 중인 고리원전 1호기를 겨냥, "수명을 연장한 고리 1호기를 폐쇄하라"며 "원전으로 둘러싸인 울산 인근에서 강진이 발생할 경우 지금 일본이 겪는 피해를 능가하는 재앙이 닥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원전유치를 둘러싼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원전유치를 놓고 영덕, 울진 등 경쟁 중인 강원도 삼척시는 우리나라의 지진발생 빈도나 규모 등을 들어 "후쿠시마 원자로는 가동한 지 40년이 넘은 노후기종으로 신규 한국형 원자로 등 현대 원전과는 안전성 면에서 차원이 다르다"며 "예정대로 원전유치 계획을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삼척핵발전소백지화위원회는 지난 15일 삼척시청 앞에서 가진 회견에서 원전유치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하면서 일본 원전 폭발사고에도 부지심사 강행하는 한국수력원자력 규탄했다.

◇정부 "국내 원전은 안전"..한수원 주변주민 설명회 추진

국내 원전은 규모 6.5의 지진, 0.2g의 지반 가속도(지진으로 실제 건물이 받는 힘)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강진 가능성이 낮은 한반도 지질 특성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최상의 대비 태세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우리나라에서 드문 규모 6.5의 지진이 해당 원전의 바로 밑에서 나더라도 냉각수 등의 유출이 전혀 없는 상태를 안전 기준으로 삼았다고 한다.

또 원자로에서 냉각수를 직접 끓여 만든 수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비등형 원자로 방식의 후쿠시마 원전과 달리 국내 원전은 별도로 증기발생기가 있는 가압형 원자로 방식으로 건설됐다. 증기발생기에서 물이 수증기로 바뀌면서 열이 방출되고, 남은 물이 차가워지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백원필 원자력안전연구본부장은 "한국의 원전도 일본 경우처럼 매우 강력한 지진이 발생한다면 전력공급과 냉각시스템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판경계면에서 멀리 떨어진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한수원 고리본부에서는 기장군과 울주군 주민을 대상으로 국내원전이 안전하다는 설명회를 추진하는 등 주민불안 해소에 나서기로 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