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easy answers in complex portrait of teen angst

Home > Culture > Arts & Design

print dictionary print

No easy answers in complex portrait of teen angst

테스트

Childhood friends Gi-tae (Lee Je-hoon) and Dong-yoon (Seo Jun-yeong) hang out at their favorite haunt in a scene from “Bleak Night.” Provided by Filament Pictures


“Bleak Night,” a film academy graduation project by 28-year-old director Yoon Sung-hyun, is a deeply felt meditation on adolescent angst that centers on three high school boys and the intense friendship that eventually tears them apart. More than anything, it’s a look into that ever puzzling phase in our lives when everything seems bigger and more dramatic, when pain is more searing and joy is often overwhelming.

The film opens with the three high school buddies - the loudmouth bully Gi-tae (Lee Je-hoon), the introspective Bek-hee (Park Jeong-min) and the mature and confident Dong-yoon (Seo Jun-yeong) - hanging out at an abandoned railway station. They joke and toss baseballs together, and it’s clear that they are best friends who speak their own language and live in their own universe. Through their blunt and fragmented dialogue, the director gets the teen slang almost perfect, which helps support the thoroughly believable, organic plot.

The boys’ all-consuming friendship starts to turn sour when Gi-tae’s cocky, bullying behavior turns Bek-hee against him. From there, the loyalties between the three start to shift, and in the end Gi-tae alienates not just one but both of his best friends. Bek-hee transfers to another school and Dong-yoon quits school to study at home.

What’s interesting through this process is that Gi-tae, who at first is portrayed as the bully of the group, slowly takes the role of victim, eventually taking his own life.

Actor Lee Je-hoon’s portrayal of the fragile Gi-tae is the embodiment of the insecure teenager who covers up his need for attention and love by acting out.

Structurally, the movie plays with chronology, shifting back and forth in time. The teenage drama is wrapped inside a sort of murder mystery format, in which Gi-tae’s father tries to uncover the reason behind his son’s suicide by questioning the two boys.

The mystery movie feel is further underlined by the director’s use of hand-held cameras, giving the scenes more grit. It’s almost as if the camera is an awkward teenage narrator itself, observing what’s going on.

In the end, the father’s efforts appear to have been in vain, as the director refuses to point at a single answer behind Gi-tae’s death.

“Bleak Night” neither poses theories about teenagers and society nor offers any insight into why exactly Gi-tae did what he did. For this reason, the film might be frustrating for audiences who are not used to the absence of a clear motive or answer. However, it is exactly this kind of restraint that makes Yoon’s direction mature beyond his years. And in many ways, the vagueness of “Bleak Night” feels more credible than other mainstream teen films out there that try to filter out an answer that might not exist in the first place. Rather than relying on drugs, sex or violence to drive home a point about the recklessness of adolescence, the director invites us to think about the various aspects of teenage friendships, whether that be jealousy, idealism or a desire for acceptance.

Bleak Night

Drama / Korean
116 min.
Now playing


By Cho Jae-eun [jainnie@joongang.co.kr]


Related Korean Article[경향신문]

청소년의 분노를 담아낸 영화 ‘파수꾼’

잘 만들어진 독립영화 2편

2011년 한국 독립영화의 기운이 심상치 않다. 몇 년간의 침체를 벗어나 상업영화가 감히 꿈꾸지 못한 방식의 수작들을 내놓고 있다.

3월 들어 잇따라 선보이는 <파수꾼> 과 <애니멀 타운> 에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국내외 각종 영화제를 돌며 상찬받은 뒤 한국 관객과 만날 준비를 마쳤다.

▲올해의 발견 ‘파수꾼’
아들이 죽었다… 말해봐, 너희들은 알고 있잖아

2011년이 두 달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파수꾼> 은 이미 ‘올해의 발견’감이다. 한국영화아카데미가 졸업생을 대상으로 장편 프로젝트 제작을 지원하는 ‘장편영화 제작연구과정’ 3기 작품. 지금까지 연구과정 영화들은 한국영화아카데미가 배급했는데, <파수꾼> 은 CJ엔터테인먼트의 중저예산 영화 전문팀인 필라멘트 픽쳐스가 따로 배급한다.

한 아이가 또래들에게 무자비하게 구타당하고 있다. 이어지는 장면에서 아버지는 아들이 죽은 이유를 알기 위해 친구들을 찾아 나선다. 그러나 아들과 아주 친하게 지내던 두 친구 중 한 명은 전학갔고, 다른 한 명은 장례식에도 오지 않았다. 영화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세 고교생 사이에 있었던 사건과 감정을 재구성한다.

<파수꾼> 은 넓은 의미에서 ‘성장영화’다. 제목도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 에서 영감을 얻었다. 청소년은 성인과는 달리 마음에 갑옷을 미처 갖춰입지 못한 시기다. 사소한 시선, 무심한 말 한마디에 큰 상처를 받는다. 세 친구들도 그렇다. 두 명만 주고받는 눈짓 하나에 나머지 한 명은 그 의미를 추궁한다. 아무 뜻이 없다고 해도 믿지 않는다. 오랜 기간 쌓아온 우정이 무너지는 건 한순간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행동을 예측하기는 어렵다. 프로 바둑기사가 아마추어 기사의 듣도 보도 못한 수에 당황하는 것처럼, <파수꾼> 속 청소년들의 행동은 숙달된 관객의 예상을 매번 비껴나간다. 끈질기게 ‘진실’을 찾는 극중 아버지도 결국 세 아이들의 얽키고 설킨 사연을 이해하지 못한 채 끝내 방관자로 남는다.

이해할 수는 있어도 설명하기는 힘든 감정을 스크린에 온전히 구현한 건 각본·연출을 맡은 윤성현의 공이다. 윤성현은 의뭉스럽게도 인물들에 대한 정보를 빵부스러기처럼 조금씩 흘린 뒤 마지막 장면에 이르러서야 어쩌면 거대하고 어쩌면 사소한 진실을 관객에게 알려준다.

많은 좋은 영화가 그렇듯, <파수꾼> 도 드러내 말하지 않으면서도 창작자와 관객이 발디딘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파수꾼> 의 소년들은 그들이 몸담은 작은 집단에서 한 발자국만 벗어나면 아무 것도 아닌 권력에 도취돼 파국으로 치닫는다. 권력의 속성을 탐구한 성장물은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파수꾼> 은 지금 우리의 현실에 밀착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섬뜩하다.

(중략)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