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zing collaborators’ properties legal: Court

Home > National > Politics

print dictionary print

Seizing collaborators’ properties legal: Court

Confiscating properties of descendents of Koreans who collaborated with the Japanese during the 1910-1945 occupation is constitutional,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yesterday.

Seven of the nine justices of the court said the 2005 Special Act to Redeem Pro-Japanese Collaborators’ Property is lawful.

“The Special Act is aimed at upholding the spirit of the nation and realizing the constitutional ideology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the right purpose of the legislation,” the court said. “And the act is limited to only four kinds of collaborators, who should return their properties to the nation, so it doesn’t violate property rights.”

“The act does not mean that the government should confiscate all properties of descendents, including what the descendents earned by their own efforts or what their ancestors obtained in other ways, not received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the court said. “So the act does not amount to guilt by association.”

In September 2008, 64 descendents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filed an appeal to the court, saying that the law violates their property rights and amounted to guilt by association.

At the time, they argued that it wasn’t right to consider all of the assets of their ancestors as rewards from Japan for their collaboration.

But officials of the Investigative Commission on Pro-Japanese Collaborators’ Property, which was set up in 2006, have said that confiscating the properties is a constitutional duty to wipe out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Proceeds of the confiscations go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it is supposed to distribute them to former anti-Japanese freedom fighters and their descendants.

The law was passed in 2005 to confiscate properties of Koreans who collaborat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in four ways between the Russo-Japanese War of 1905 and the end of the World War II: working on the Eulsa Treaty of 1905, which deprived Korea of its diplomatic sovereignty; working as high-ranking officials for the colonial government; arresting or punishing independence activists; receiving a title from Japan.

When the state-run Investigative Commission on Pro-Japanese Collaborators’ Property ended its four-year term last July, it released a report recommending the government confiscate 9,645 square meters (103,818 square feet) of land and real estate from 168 descendants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Experts said the total size of properties to be confiscated is as large as Yeouido, Seoul, and is worth about 210 billion won ($191 million).

Since then, descendents of the collaborators have filed lawsuits against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Justice, the descendents have won only two out of 92 lawsuits. The government has won 14. Sixty-seven cases are ongoing, and nine cases were withdrawn.

By Kim Hee-jin [heejin@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일보]
헌재 “친일파 재산 국가 환수 합헌”

친일파가 일제 강점기 전후에 취득한 재산을 국가가 환수하는 것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다.

 헌재는 31일 민영휘 등 친일 반민족 행위자 6명의 후손 46명이 ‘친일반민족 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에 대해 낸 헌법소원 심판 청구 사건에서 재판관 5(합헌) 대 4(일부 위헌·일부 한정위헌) 의견으로 합헌 결정을 했다. “특별법은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우고 일본제국주의에 저항한 3·1운동의 헌법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는 판단이다.

 헌재는 ▶1904년 러·일전쟁 개전부터 1945년 광복 때까지 친일 반민족 행위자가 취득한 재산은 친일 행위의 대가로 얻은 것으로 추정하고 ▶이들의 재산을 국가에 귀속시키도록 하는 특별법 조항에 대해 위헌 여부를 판단했다.

 합헌 의견을 낸 김종대 재판관 등 5명은 ‘친일 재산’ 추정 조항에 대해 “친일 재산 여부를 국가가 일일이 입증하는 것은 어려운 반면에 개개인은 취득 내역을 잘 알 수 있고, 행정소송을 통해 친일 재산이 아니라는 점을 입증할 수 있기 때문에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동흡 재판관 등 4명은 “친일 행위와 관계 없이 수백 년 전 조상에게서 받은 토지도 1912년 일제가 토지 등록을 할 때 새로 취득한 것처럼 표시될 수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위헌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급입법을 하는 방식으로 친일 재산을 국가에 귀속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김종대 재판관 등 7명이 합헌으로 판단했다. 이들은 “소급 입법을 예상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정당화된다”며 “친일 재산의 민족 배반적인 성격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 계승을 선언한 헌법 전문 등에 비춰볼 때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이 나중에 재산을 박탈당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강국 소장 등 재판관 2명은 “헌법은 소급입법으로 재산권을 박탈하는 것을 어떠한 경우에도 허용하지 않겠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반대 의견을 냈다.

◆소급입법=어떤 법을 만들기 이전의 일까지 소급해 적용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말한다. 법적 안정성을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친일재산 국가 귀속법, 제정에서 합헌 결정까지

2005년 12월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06년 7월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 발족

2010년 7월   위원회 활동 종료.

        친일행위자 소유 토지 총 약 1300만㎡(2100억원 상당) 환수

2011년 3월   헌재, 친일재산 국가귀속법 조항 합헌 결정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