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cery prices carousel never stops spinning

Home > Business > Economy

print dictionary print

Grocery prices carousel never stops spinning

테스트

A farmer smokes a cigarette after finishing the harvest of his Napa cabbage crop in Haenam, South Jeolla, on June 3. As prices of Napa cabbage plunge, more than half the crops in Korea are being thrown away as farmers plow over their crops or only harvest good specimens. By Cho Yong-cheol


Going to the market is becoming a kind of game of chance, as rapidly fluctuating grocery prices confuse homemakers and offer both opportunity and hazards to farmers.

Take the case of Napa cabbage, which consumers were buying for more than 10,000 won ($9.30) a head last September. Today, you get that cabbage for 1,000 won and farmers who expanded their Napa cabbage crops last year are suffering.

Or take eggs. They’re suddenly expensive at exactly the same time that raw chicken prices are falling. How can that be?

There is no easy solution to stabilizing prices, but analyzing eggs, chickens, cabbage and watermelons shows how and why prices fluctuate. And discount store chains are doing more and more on-the-ground research to get ahead of the roller coaster prices.

Chicken before eggs

테스트

The cost of 10 eggs, which sold for 1,834 won last November, have climbed 16 percent in six months and 29 percent from a year ago to reach 2,135 won as of June 3, according to the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

And the price isn’t going down soon. According to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the price of eggs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June to August between 19 and 49 percent from a year earlier.

The price hike is the result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egg-laying hens. Farmers had to cull them because of the avian influenza (AI) outbreak last year, and the number of laying hens decreased by 1.7 percent compared to last year. KREI predicts that egg production will decrease by 2.5 percent this year.

At the same time, demand has increased. The sky-high price of pork in the aftermath of foot-and-mouth disease (FMD) over the winter is driving some consumers to buy more eggs as an alternative. Other consumers are buying eggs instead of fish because of concern over radiation from Japan.

However, despite also being affected by AI, the price of raw chicken has stabilized. As of June 3, the price of one kilogram (2.2 pounds) of raw chicken was 5,220 won, below January’s 5,518 won and a peak of roughly 7,000 won in March. Analysts are saying farmers “need to voluntarily control their [chicken] supply in the face of impending overproduction.”

Why are eggs getting more expensive while raw chicken prices fall? The key lies in the period of growth. Chickens grown for consumption can be bagged and sold after just 30 days, allowing for a rapid turnaround in production. In fact, the number of chickens grown for consumption in June has increased by 8.3 percent on-year according to KREI, making a full recovery to pre-AI levels, and then some.

Meanwhile, it takes roughly 18 months to raise an egg-laying hen. Naturally, getting the hen population back to pre-AI levels is slow going.

Many agricultural products with mismatches in supply and demand in the past have had long periods of growth. Farmers who grow produce like Napa cabbages can respond once a year to changing demand when they plant the crop. Such products have a greater danger of reaching extremes in price, and call for closer monitoring.

Imports also played a role in the diametrical movements of egg and chicken prices. In June, the volume of imported raw chicken reached 12,662 tons - an on-year increase of 12.1 percent - as the government eliminated tariffs on 50,000 tons of imports in April and May when the price of chicken began to increase after FMD hit other meat supplies.

However, there are virtually no eggs imported to Korea because they easily break. In fact, 99.7 percent of eggs in Korea were domestic as of 2009, according to the Korea Poultry Association. Because eggs are a basic ingredient in cooking, when domestic supply dwindles, eggs do not have a viable alternative - imports or otherwise - that can fill the void.

“The effect of the high price of pork after FMD spread in a chain reaction to other food items,” said a representative of a top food company. “Higher raw material costs are serving as pressure to increase product prices.”

Wanted: Watermelons

Hong Cheon-pyo, a farmer who has 11,281 square meters (2.8 acres) of watermelons planted in Nonsan, South Chungcheong, has a spring in his step when he goes out to tend his fields. The asking price for watermelons has exceeded 15,000 won per head, steadily climbing from a month ago.

The situation is a far cry from just four months ago, when Hong’s neighboring farmers said he was making a mistake by not planting Napa cabbages.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the price of winter Napa cabbage had reached 4,800 won - despite it being off-season for cabbage. Expecting prices to skyrocket, Hong’s neighbors planted Napa cabbages, a bet that proved wrong as a head of Napa cabbage now costs 900 won at Nonghyup Hanaromart.

Hong avoided that mistake when he was signed on to plant watermelons on a contract by a representative of E-Mart, the nation’s largest discount store chain. Four months ago E-Mart locked down some 1.65 million square meters of fields around Nonsan and Daegu for the contract cultivation of some 1 million watermelons.

E-Mart predicted the supply of watermelons this summer would decrease by 20 to 30 percent from an average summer. Lee Ho-jeong, E-Mart’s buyer in charge of watermelons, postulated this from decreasing sales of watermelon seeds.

In February, Lee visited seven large-scale seed markets around the nation and discovered that farmers were buying 30 percent fewer watermelon seeds than in previous years. Checking E-Mart’s regional suppliers, Lee confirmed that many farmers had switched from watermelons to Napa cabbages. Predicting that there will be a watermelon crunch, Lee hurried to lock down farmers on contract for watermelons.

Watermelons are a key summer product for discount stores. Among some 70,000 items sold at E-Mart, watermelons are the single biggest seller in June, and total revenue is affected if stocks run low.

E-Mart utilized its previously cultivated network of regional suppliers, such as Nonsan’s own Agro-Fisheries Trade Corp., to sign up farmers like Hong without having to search for them individually.

Although E-Mart sourced watermelons through contract farming last year, it had failed in quality control. Customers said E-Mart’s watermelons were as “bland as water” and demands for refunds flooded the chain’s customer complaint lines.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ummer, E-Mart is implementing a two-tier sugar content test, before harvest and at the packing stage, and the watermelon must exceed 11 brix, a unit of sugar content.

E-Mart has 11 buyers specializing in sourcing fruit. Each buyer is in charge of about three different fruits that do not overlap in season. A big part of their job is predicting the size of the harvest.

On-the-ground research to better predict this year’s yields, contract farming and exclusive specialization all came from lessons learned the hard way last year. In 2010, unusual weather patterns affected all fruits, undercutting supplies and driving up prices.

“Watermelon prices will be more expensive than last year this June, but E-Mart will be able to source them at 30 percent less than the going price,” said Lee. “It’s because we focused on setting up a response system through the belief that if it can be managed, it’s not a crisis.”

Such a management system is needed in a wider scale, as fruit prices are expected to skyrocket during this year’s Chuseok holidays, which falls more than a fortnight earlier than usual, on Sept. 12. “Most of the 30,000 boxes of pears I shipped last year had been for the Chuseok season, but I fear that I might not even be able to ship half the amount by this year’s Chuseok” said Choi Jong-gi, a 64-year-old pear farmer who owns a 66,000-square-meter pear orchard in Naju, South Jeolla. “I’ve been trying to hurry the ripening by heating my greenhouses, and have already spent some 100 million won on heating bills.”

To combat a fruit crunch that is expected to raise prices by 15 to 20 percent over last year’s record-breaking prices, Lotte Mart, the third-largest discount store in Korea, has expanded their sourcing farms beyond key fruit growing regions such as Mungyeong and Andong in North Gyeongsang and Chungju in North Chungcheong, to regions that can meet earlier delivery dates such as Jangsu and Muju in North Jeolla and Geochang in South Gyeongsang. Lotte Mart has also increased its volume of fruit imports.

“Basically, bad spring weather has pushed back the flowering period, and we expect less than half the fruits as in previous years,” said Shin Kyung-hwan, Lotte Mart’s buyer in charge of fruit. A further concern is fruit prices nose-diving immediately after Chuseok, as demand contracts while fruit that has just ripened hits the market.


By Lee Soo-ki, Jeong Seon-eon [joyce@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중앙선데이]

심으래서 심었더니 헐값…관료는 현장 모르고 농민만 골병

[농정실패 현장 르포] 석 달 전 1만원 하던 배추밭 갈아엎는 해남

#1. 3일 오전 9시 전남 해남군 배추밭
해남군 땅끝 마을에서 10여㎞ 떨어진 산이면 예정리 마을엔 아직 아침 안개가 채 가시지 않고 있었다. 5940㎡(1800평) 넓이의 밭에는 30㎝ 크기의 배추 1만여 포기가 고랑을 따라 늘어서 있었다. 해남은 대표적인 배추 산지 가운데 하나다. 수확 작업에 안성맞춤인 날씨였지만 인부들은 보이지 않고 트랙터만 한 대 덜렁 서 있었다.
“시작합시다.”

산이농협의 오광준 과장이 신호를 보내자 트랙터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뒤에 끌고 가는 칼날이 돌아갈 때마다 배추가 뽑혀 나와 쓰러졌다. 밭 주인은 애써 키운 배추를 갈아엎는 모습이 보기 싫은지 곧 모습을 감췄다. 이곳은 산이농협이 올 3월 10a(300평)당 최저 62만4000원을 보장해 준다는 계약 아래 배추를 심은 밭들 가운데 일부다. 최근 배추값이 폭락하자 수확을 포기한 것이다. 오 과장은 “그나마 농협과 계약재배한 농가는 농협에서 손실을 떠안은 덕에 큰 손해를 보지 않은 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농협 계약재배 비중은 낮다. 해남군의 경우 전체의 20% 수준이다. 전국적으로 농협의 계약재배 물량은 9%대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농민이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지난달 말 정부는 배추값 안정을 위해 1만t을 자율 감축하는 대책을 내놨다. 오 과장은 “공급을 줄여 가격 하락을 막겠다는 고육지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계약재배하지 않은 농가는 45만원밖에 받지 못하는데도 신청이 밀려 비닐하우스 위주로 선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돈은 농축산물가격안정기금(농안기금)에서 지원한다. 농협이 집계한 신청 물량은 44만t을 넘어섰다. 오 과장은 “5t트럭 한 대 분량(2000포기)의 배추를 수확해 포장하는데 인건비 35만원과 운반비 45만원이 든다”며 “팔아봐야 원가에도 못 미치니 그냥 폐기하고 일부 비용이라도 건지려는 농민들이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석 달 동안 공들여 키운 배추를 모두 갈아엎기까지 세 시간도 걸리지 않았다. 안개가 걷히고 뜨거운 햇살이 비치자 대부분의 배추가 누렇게 변했다. 그는 “배추는 수분이 80%가 넘어 밭에 그냥 둔다고 밑거름이 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병충해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2. 같은 날 오후 1시 해남의 다른 배추밭
차로 15분 정도 이동하자 수확이 한창인 배추밭이 나타났다. 5t 트럭 다섯 대가 연달아 배추를 실어 날랐다. 그런데 좀 이상했다. 사람들의 손길이 지나간 곳에도 절반 정도의 배추가 남아 있었다.“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수확하지 않아요.”

15년째 배추를 취급한다는 산지수집상 박진기(56) 사장이 말했다. 버려진 배추를 살펴봤다. 박 사장이 다가와 식칼로 절반을 쪼개 준다. 연노란색의 배추 속은 싱싱한 물기를 머금어 달콤했다.

박 사장은 “지난해 ㎏당 700원 할 때는 이보다 못한 배추도 모두 거둬갔지만 지금은 100원도 안 해 좋은 것만 골라 수확한다”고 말했다. 그는 “두 달 전만 해도 서울 대형마트에서 포기당 1만원씩 팔리던 배추가 이젠 처치 곤란한 쓰레기 취급을 받고 있다”고 허탈해했다. 박 사장은 전국 각지의 농민과 계약한 배추밭 20만 평을 돌며 배추를 수확해 김치공장에 납품한다. 이른바 ‘큰손’이다. 봄에서 여름 사이에는 해남 외에도 충남 해미, 경북 문경에서 월동 배추와 봄 배추를 수확한 뒤 찬바람이 불면 김장 배추를 수확하러 강원도 태백으로 이동한다. 그는 “농산물값 파동 못지않게 현장을 모르는 관료들이 뒷북을 치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 호통을 치면 농식품부에서 농협중앙회를 닦달하고, 그러고 나서야 유통공사 등이 현장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올 초까지 배추값이 내리지 않자 농협이 뒤늦게 물량 확보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급해서 그랬는지 지역농협에 물량 확보를 맡긴 게 아니라 중앙회가 직접 나섰지요. 매일 서류만 보던 사람들이 현장을 아나요. 농민들과 연결이 안 되니 중간상인에게 주문했지요. 그래서 t당 150만원 정도이던 시세가 170만원으로 올랐습니다. 가뜩이나 높은 가격을 더 높여놓은 셈이지요. 그거 아마 냉동창고에 남아 있을걸요. 재작년에도 김장 물량을 확보한다고 5t 트럭으로 500대 분의 고랭지 배추를 냉동창고에 쟁여 뒀다가 가격이 생각 외로 일찍 안정되자 그냥 폐기한 적도 있어요. 사무실에 앉아 있으니 팔아야 할 타이밍을 제대로 잡을 수 있겠어요?”

그는 중간 유통상인을 가격파동의 주범으로 지목하는 것이 못내 억울하다고 했다. 농민과의 계약재배를 통해 수급을 조절하는 순기능도 한다는 것이다. 그는 “농협 계약재배 물량이 늘고 시세가 안정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면 중간상인에게도 이익”이라고 주장했다. 폭등과 폭락이 되풀이되면 웬만한 자금력으로는 한 방에 무너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배추값의 고공행진이 이어질 줄 알고 최근까지 물량을 쥐고 있던 일부 상인은 수십억원의 손해를 보았다는 얘기도 귀띔해줬다.

“농협에서 농민과 도시 소비자들이 직거래할 수 있는 유통 채널을 많이 만들어야 해요. 계약재배도 늘려야 값이 안정될 텐데 잘 안 움직입니다. 어차피 월급받고 일하는 직원들로선 돌아오는 게 없는데 자기 일처럼 뛰어다닐 이유가 있나요. 윗사람과 공무원 눈치나 볼 뿐이죠.”

굼뜬 관료조직이 문제 키워
배추는 한국 농정의 난맥상을 드러내는 바로미터다. 배추는 너무 추우면 재배가 안 되지만 기온이 너무 높아도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그래서 8월에 강원도 고랭지에 심어 11월까지 출하하는 김장 배추, 9월에 심어 이듬해 2월 중순까지 수확하는 월동 배추, 3월에 심어 6월 중순까지 거두는 봄 배추로 나눈다. 김장 배추는 태백·영월 등이 주산지고, 월동 배추와 봄 배추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충남 서산·해미, 전남 해남·보성 등에서 재배한다. 전국에서 연중 재배되는 채소라 제대로 수급관리를 하지 못하면 파동이 오는 것이다.

지난해 여름 잦은 비로 김장 배추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자 소매 가격이 포기당 1만5000원까지 뛰었다. 월동 배추 역시 강추위로 수확이 시원치 않아 올 3월까지 배추값이 1만원 이상을 유지했다. 정부는 배추 수입을 늘리는 한편 봄 배추 재배를 장려했다. 농협중앙회에서는 전국에 300만 주 분량의 배추 씨를 무료로 보급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노지 봄 배추 재배면적은 7308㏊로 지난해보다 20% 증가했다. 비닐하우스에서도 수박·참외 대신 배추를 심는 곳이 늘었다. 하지만 봄 배추 수확이 본격화하면서 가격은 폭락했다. 2006년과 2009년에 이어 최근 5년 새 세 번째로 일어난 배추 파동이다. 값이 오르면 공급을 늘리고, 결과적으로 6개월 뒤에는 갈아엎는 일이 1~2년에 한 번꼴로 되풀이된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채소특작과 김도범 계장은 “배추는 자라는 데 오래 걸리지 않고, 저장이 어려운 특성 때문에 가격 변동이 심한 편”이라며 “올 초에 배추값이 너무 높은 상태가 이어지면 물가 문제 등이 생기니 봄 배추를 좀 더 재배하라고 홍보했는데 경기 침체로 식당 김치 소비 등이 줄어드는 바람에 공급량이 너무 많이 넘쳤다”고 설명했다. 그는 “배추값 문제는 김치가 완충작용을 해줘야 한다”며 “김치업체들이 저온저장 창고를 늘리도록 일부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배추 수출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농정 관계자들은 냉탕·온탕을 오가는 관료 조직의 근시안을 지적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