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nality of evil’ in Ahn’s case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The ‘banality of evil’ in Ahn’s case

테스트

Twenty-three years after being sentenced to three years in prison for assisting a student activist’s suicide, fellow activist Kang Ki-hoon was acquitted last week in a retrial. When asked what he felt toward the officials who handled his case more than two decades ago, he said, “I was reminded of ‘the banality of evil’ by Hannah Arendt.”

Arendt, a German-American political theorist, came up with the concept of the “banality of evil” after observing the trial of Adolf Eichmann, a German Nazi war criminal. Eichmann, one of the major architects of the Holocaust, argued he had only followed orders, and Arendt concluded that great evil could be executed by ordinary people who accepted the premises of their state and, therefore, participated with the view that their actions were normal. She concluded that evil was not the actions by fanatics or sociopaths, but ordinary people who simply followed orders.

The moment Ahn Hyun-soo won a gold medal, I was reminded of Arendt’s comment, as mentioned by Kang. Almost all Koreans have something to say about Ahn’s becoming a Russian citizen.

Who should be held accountable? The Korea Skating Union at the center of public criticism? The coaching team suspected of creating factionalism? Other skaters who allegedly fixed the Olympic Games against Ahn? The former mayor of Seongnam who dismantled Ahn’s team? Or Viktor Ahn, as he is now known in Russia, who, in the words of many news reports, took revenge on his homeland?

When I watch short track speed skating races on TV, I can see how relative position matters. If short track racers decide to coordinate their race, they can block a competitor from moving forward. If I were the coach, I would have asked for one skater to sacrifice themselves for another, choosing another to move forward. For the coach, the goal is a gold medal for Korea, not the glory of an individual skater.

And it is solely the authority of the coach to decide who will play which role. From his point of view, it is fair to decide which skater will make the sacrifice this time and which skater will make it next time. It would be a serious problem if one skater was picked to win consecutive gold medals. The individual skaters are not the issue.

The investigation into Ahn’s case will find that no one was responsible. Ahn’s departure from Korea will be concluded to have been his individual choice and no one will be held accountable.

The murderer who was responsible for killing six million people was executed without ever realizing what he had done was evil.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destroyed a young man’s life 23 years ago were only following orders. We sometimes see victims, but there is never a culprit.

This is not the time to worry about another Ahn case. More worrisome is the future, when we may not have another skater as talented as him.

The author is a culture and sports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Feb. 19, Page 31

By SOHN MIN-HO















23년 전 남의 유서를 대신 썼다는 죄로 옥살이를 한 강기훈씨가 지난주 무죄 판결을 받았다. 당시 정부 관계자에게 어떤 마음이냐는 질문을 받자 그는 “한나 아렌트가 말한 ‘악의 평범성’이 생각난다”고 답했다.
1961년 한나 아렌트는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을 지켜보고서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이라는 개념을 처음 언급했다. 아우슈비츠 학살의 주범 아이히만이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며 결백을 주장하는 모습을 보고, 한나 아렌트는 “악행은 체제에 순응하며 자신의 행동이 평범하다고 여기는 보통 사람에 의해 행해졌다”고 단정했다. 악은 반사회적 정신병자의 행동이 아니라, 시키는 대로만 하는 우리네 일상에 있다고 갈파한 것이다.
안현수 선수가 금메달을 따는 순간, 강기훈씨가 끄집어낸 반세기 전 유대인 철학자의 명제가 떠올랐다. 온 국민이 시방 안현수가 러시아로 귀화한 이유를 놓고 한마디씩 거든다. 자, 누구에게 죄를 물을까. 여론의 뭇매를 맞는 빙상연맹? 줄세우기를 시켰다는 코치진? 안현수를 짬짜미했다는 선수들? 안현수 소속팀을 해체한 성남시장? 아니면, 외신 보도처럼 ‘조국에 복수를 한’ 빅토르 안? TV로 지켜본 쇼트트랙은 기록보다 순위가 중요한 경기였다. 쇼트트랙의 팀플레이는 결국 A선수가 다른 나라 선수의 진로를 막으면 B선수가 치고 나가는 것이었다. 내가 감독이었어도 A선수에게 희생을 명령했을 것이다. 대신 B선수에게 치고 나가는 역할, 즉 금메달의 영광을 맡겼을 것이다. 감독에게 중요한 건, 조국의 금메달이지 선수 개인의 영광이 아니어서다.
누구에게 어떤 역할을 맡길지는 순전히 감독의 권한이다. 감독 입장에선 이번에 A선수가 희생하고 다음에 B선수가 희생하면 공평한 처사다. B선수만 금메달을 독점하는 게 팀에는 더 문제일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개인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우리는 안현수의 금메달 앞에서 화를 내서는 안 된다. 부끄러워야 한다. 조직이 개인보다 우선인 사회에 우리는 너무 익숙해져 버렸다. 조직의 실패는, 조직이 부여한 역할을 개인이 수행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A선수가 희생을 거부했을 때만 감독에게 책임이 있다.
이번에도 책임자는 찾아내지 못할 것이다. 안현수가 한국을 떠난 건 조직을 이탈한 개인의 선택으로 정리될 것이고, 책임 추궁은 꼬리에 꼬리를 물다 흐지부지될 것이다. 유대인 600만명을 학살한 살인마도 제 죄를 알지 못하고 처형됐다. 23년 전 한 인생을 망가뜨린 정부 관계자도 ‘명령대로 했을 뿐’이었다. 간혹 피해자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가해자는 없다.
지금은 제2의 안현수 사태를 걱정할 때가 아니다. 더는 안현수 같은 재능 있는 선수가 없을지 모를 내일이 더 걱정이다. 손민호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