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wishes for the president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Three wishes for the president

테스트

Firstly, I hope that many jobs are added, the youth unemployment rate goes down and people can work until the age of 65 without worrying about retirement. Secondly, I hope our children can receive proper education to foster creativity, independence and ethics. Thirdly, I hope the country is reunified and separated families no longer have to cry.

If a genie named Park Geun-hye comes out of the magic lamp and offers to grant three wishes, these are mine. It would take magic to make any of these wishes come true. Moreover, President Park has only two years left in her term. But if she lays the foundation and the next president continues the efforts, they are not entirely impossible. I really wish President Park would begin paving the way in the remainder of her term.

But it is hard to expect these wishes to come true. The Republic of Korea is trapped in the mire of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s. The opposition party is protesting in the street, and citizens are staging candlelight rallies. “State authorship” became the scarlet letter. At this juncture, “save the economy” is an empty slogan. No matter how chaotic politics were, the economy used to go its way, but that was the bygone era. My three wishes are just dreams in this chaos.

President Park believes the current textbooks depict modern history from a defeatist perspective. If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acquire healthy nationalism, patriotism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defeatist view needs to be corrected. State authorship can be a solution. However, it is not the only way to change the defeatist historical view.

President Park’s “normalization of history” is not entirely based on her love for her father to change how her father is described in textbooks, as some may argue. She should know better that she is the president of this country and a symbol of national integration before she is the daughter of Park Chung-hee. If she is determined to change how her father is depicted in the textbooks, she must swallow it. She earned votes to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it is enough proof of those voters’ approval of Park Chung-hee. When economy is struggling, Park Chung-hee’s reputation is seen more positively.

Korea is in crisis. The president has many issues to confront, especially the serious slump Korean economy is in.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Chairman Moon Jae-in said that it was hard to understand why the president is obsessing over the issue of state-authored history textbook in such harsh economic conditions. The president needs to declare that she will back off from the history textbook issue and ask the opposition party to help in reviving the economy. She should ask them to resolve all the economic revitalization bills pending for the last 33 months.

The general election is scheduled for April 2016, and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is slated for December 2017. Once the wound is stitched up incorrectly, the scar will last at least two years. The country will live on, but it is certainly not the Republic of Korea we dream of.


JoongAng Ilbo, Oct. 28, Page 34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for the Joongang Ilbo.

KIM JUN-HYUN



















내가 대통령에게 바라는 세 가지
하나, 일자리가 많이 생겨 청년실업이 줄고 65세까진 맘 놓고 일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둘, 우리 아이들의 창의·자립·도덕을 키울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졌으면 좋겠다. 셋, 이산된 가족의 주름진 얼굴에 더 이상 눈물이 고이지 않도록 어서 빨리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
 ‘박근혜’란 이름의 요정이 요술램프에서 ‘슝’하고 나와 “당신의 소원을 들어드리겠다”고 한다면 이렇게 세 가지를 청하고 싶다. 하나하나가 요정이 아니면 당장 들어주기 힘든 일이어서 이런 상상을 해봤다. 더욱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남은 시간은 2년뿐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초석을 깔고, 후임 대통령과 그 후임 대통령이 하나씩 쌓아 올려 간다면 안 될 일도 아니다. 박 대통령이 남은 임기 동안 이런 일을 해내는 대통령이 되길 진정 바랐다.
 그러나 이제 기대난망이다. 대한민국이 ‘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이란 거대한 늪에 빠진 까닭이다. 야당은 기어이 거리로 나섰다. 시민들은 촛불을 들기 시작했다. ‘국정화’란 단어는 피아를 구분하는 주홍글씨가 됐다. 이 와중에 ‘경제를 살리자’는 구호는 공허하다. 정치가 아무리 개판을 쳐도 경제는 제 갈 길을 갔지만 이젠 그것도 추억이다. 이런 분열 속에서 세 가지 소원은 그저 꿈이다.
 박 대통령이 국정화를 밀어붙이는 건 현재의 교과서가 패배주의적 관점에서 현대사를 기술하고 있다고 생각해서다. 역사 교육의 목적이 건전한 민족의식과 애국심, 공동체의식을 체득하는 데 있다면 패배주의적 역사관은 분명히 바로잡아야 한다. 국정화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국정화가 패배주의적 역사관을 시정하고, 일부 교사들의 편향된 수업을 방지할 유일한 방안은 아니다. 이런 분열을 감수하면서까지 지켜내야 할 금과옥조는 더더욱 아니다.
 일부에서 주장하듯 박 대통령이 말하는 ‘역사 정상화’가 아버지 박정희에 대한 그릇된 서술을 바로잡으려는 딸의 효심 때문이진 않을 것이다. 딸이기 이전에 국민 통합의 상징이어야 할 이 나라의 대통령이란 사실을 그가 더 잘 알고 있지 않을까. 혹 바로잡아야 한다고 굳게 결심할 만큼 억울한 점이 있어도 박 대통령은 삼켜야 한다. 박 대통령이 대선에서 얻은 표로 많은 국민의 박정희 사랑은 증명된 것 아닌가. 경제가 어려워질수록 박정희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강화될 것이다.
 한국은 위기다. 대통령이 정면돌파할 문제가 지천으로 널렸다. 특히 경제는 심각하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왜 대통령이 국정화에 매달리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대통령은 선포하라. 내가 한걸음 물러설 테니 야당은 더 이상 경제 살리기에 뒷다리 잡지 말라고. 33개월 동안 발목 잡고 있는 경제활성화 법안들도 이젠 모두 해결하라고. DA 300
 내년 4월에 총선, 그 이듬해 12월엔 대선이다. 잘못 봉합되면 상처가 최소 2년은 간다는 얘기다. 그래도 나라는 굴러가리라. 그러나 우리가 꿈꿔 왔던 그 대한민국은 아닐 것이다.
김준현 경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