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for a new icon of excitement

Home > >

print dictionary print

Time for a new icon of excitement

Koreans’ shoulders are sagging more and more. Life is a series of challenges, but people increasingly confess how they are suffering. Koreans are supposed to be festive. We are born with the festive gene, and we love dancing and singing. But with only two months left in the year 2015, Koreans are not having fun because there is no hope. The Pandora’s box opened and released greed, jealousy, envy, diseases and all the evils of the peaceful world. But hope remained at the bottom of the box to keep people’s lives going. But now, we have lost hope. How do we live now?

The politicians who are paid by taxpayers are dividing the nation over state authorship of history textbooks. In heavy rain, rallies for and against the government-authored history textbooks were held in downtown Seoul on Saturday. Those who support the state-authored textbooks claim that it is a protective measure to suppress the history of rebellion of North Korea supporters.

Opponents argue that the accusation of being North Korea supporters and justifying with economic reasons are classic tricks the government uses to escape blame. When the state-authored textbook is published in 2017, the next administration may not uphold it. We need to wait and see whether history will repeat itself, but the citizens who are busy making a living are worried about raising children, getting a job and preparing for retirement.

The economy has become defunct, with a red light on. Technicians are working hard to repair it, but they may not be capable of fixing it. The patient is still in pain, but the doctor claims that he was all treated and should not worry.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remains serious. Koreans want to have fun rather than get involved in complicated problems.

Let’s look at what Koreans enjoyed. The Saemaul Movement made Koreans excited and hopeful to get out of poverty. “Let’s live wealthily” was so obvious that it did not require complicated theories. Koreans could not go on starving and get out of extreme poverty if we worked hard. The 2002 World Cup also put the country in a festive mood. Even in heavy rain, Koreans gathered to cheer for team Korea, which advanced to the semifinal round. They made a miracle happen. Koreans can make the impossible possible when we get excited and enjoy.

One of the key ideas that made the United States a superpower was “manifest destiny.” It was the belief that was widely held in the mid-19th century that the United States was destined to explore and expand throughout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It justified expansionism and territorial claims and played a major role in urging people to migrate to the newly discovered lands in the West. Americans headed west and created what would become the United States today.

The Saemaul Movement and 2002 World Cup are icons of dynamic energy treasured in Koreans’ memories. Now, we need a new icon of reinvigoration and excitement. We need your help on this, President Park.

The author is a researcher at the Unification Research Institute, JoongAng Ilbo.

JoongAng Ilbo, Nov. 9, Page 34

by KO SOO-SUK


국민의 어깨가 점점 처져간다. 사는 것이 원래 고해(苦海)라 힘들지만 요즘 부쩍 힘들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한국 사람들은 ‘신명나는 민족’이다. 신명은 한국인의 대표적인 문화유전자다. 그래서 춤추고 노래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2015년이 두 달이 남은 지금 국민들은 신명나지 않다.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면서 온갖 욕심· 질투· 시기· 각종 질병 등이 퍼져 평화로웠던 세상은 험악해졌지만 상자 안에 남은 희망으로 사람들은 힘들어도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그 희망마저도 없어진 것이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나?
국민들로부터 월급을 받는 정치권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로 국민들을 분열시켜 놓고 있다. 비가 억수같이 쏟아진 지난 7일 서울 도심에는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에 대한 찬반 집회와 기자회견이 잇따라 열렸다. 찬성하는 단체들은 “종북세력의 역사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대한민국 보위조치”라고 주장했고, 반대하는 단체들은 “종북몰이와 민생타령은 정부가 늘 써먹은 위기 탈출 속임수”라고 맞섰다. 우려되는 것은 2017년에 국정화 교과서가 나오더라도 정권이 바뀌면 또 어떻게 될 지 모른다. 역사가 반복될 지 두고 봐야겠지만 먹고 살기 바쁜 국민들은 자식· 취업· 노후 걱정 등으로 한숨만 나오고 있다.
경제는 빨간 신호가 켜진 채 고장나 버렸다. 기술자들이 고치려고 달려들었지만 실력이 부족한지 영 신통치 않다. 환자가 아파 죽겠다고 하는데 의사는 치료했으니 걱정하지 말라는 격이다. 청년 실업도 마찬가지다.
국민들은 얽히고 설킨 일에서 허우적거리는 것보다 신명나게 살고 싶어한다. 과거 우리가 신명났던 일을 더듬어보자. 지긋지긋한 가난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새마을운동은 국민들을 신명나게 했다. ‘잘 살아보세’는 복잡한 이론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었다. 국민들은 열심히 일만 하면 더 이상 배를 곯지 않았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2002년 월드컵도 국민들을 ‘신명의 바다’에 빠뜨렸다. 국민들은 비가 억수같이 쏟아져도 서울광장에 모여 미친듯이 응원했다. 그리고 꿈의 4강 신화를 이루었다. 기적을 만들어 낸 것이다. 한국인은 신명나면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어낸 민족이었다.
미국을 초강대국으로 만든 원동력 가운데 하나가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 이다. 19세기 중반에 미국의 팽창기에 유행한 이론으로, 미국은 북미 전역을 지배하고 개발할 신의 명령을 받았다는 주장이다. 미국의 팽창주의와 영토약탈을 합리화했지만 남북전쟁이 가져온 혼란을 새 땅을 찾아 먼 서부로 이주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미국인들은 당시 ‘Go West’를 외치며 신명나게 서부로 달려 오늘의 미국을 만들었다.
새마을운동· 2002년 4강 신화는 한국인들의 추억 속에 간직해야 할 ‘신명 아이콘(Icon)’ 이다. 이제는 새로운 ‘신명 아이콘’이 필요하다. 박근혜 대통령님, 국민들은 신명나게 살게 해 주세요.
고수석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