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ismic risk(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seismic risk(국문)

Our country has been shaken by the recent series of powerful earthquak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surrounding Gyeongju in North Gyeongsang. The southern coast is home to 70 percent of Korea’s nuclear reactors. As the meltdown in Fukushima after the 2011 mega-scale quakes and tsunami in eastern Japan showed, leaks and other crises stemming from nuclear reactors could translate into bigger damages than those solely from natural disasters.

A government report has named the Yangsan fault as the source of the recent tremors. The Ilgwang fault near Busan and Wolseong County near Gyeongju have also been pointed to as active zones with potential for earthquakes. The report was drawn up by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fter three years of study from 2009 to 2012 and handed to fire department authorities for reference.

What is shocking is that the fault zones overlap with Korea’s nuclear reactors. Eight reactors sit near the Ilgwang fault, and two additions under construction in the Gori complex are just 5 kilometers (3 miles) away. The Wolseong complex, which houses six reactors, is not far from the Ulsan fault. People are stunned to learn that nuclear facilities have been built on such quake-prone areas.

The public-sector response after discovering the existence of active fault lines is equally surprising. The state-run institute concluded that the Yangsan fault had become active but held back the information out of fear of triggering social unrest. The government kept assuring that the Yangsan fault was safe from seismic activity every time it pitched building a new reactor.

Geologist Lee Ki-hwa in 1983 first warned that the Yangsan fault had the potential to trigger an earthquake, but his theory was challenged by others. The government did not conduct precise geological studies when it built 14 reactors around the area, and now, another two are being built in the Gori complex.

Safety should come first in the construction of nuclear reactors, and safety is built on public trust. The government must share all information, including geological studies, in relation to nuclear reactor policy. It must conduct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fault lines around the southern coast and must not complain about the lack of budget and manpower when public safety is at stake.

The ground below must first be safe to ensure the safety of nuclear reactors. Only clear and scientific actions can appease public anxiety.

Engineering of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s must also be reinforced. We need to come up with and install entirely new safety systems in at-risk zones.


JoongAng Ilbo, Sept. 23, Page 34


"원전 밀집지에 활성단층 존재"
정보공개하고 정밀조사 나서야
원전안전기준 새롭게 마련할 때


경주 주변에서 1주일 새 규모 5.8의 역대 최대 지진과 규모 4.5의 여진이 발생하면서 국민은 불안하다. 경주를 포함한 동남권이 국내 최대의 원전 밀집지역이기 때문이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사태에서 보듯 자연재해 자체보다 2차적으로 생긴 원전 손상이 더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동남권에 밀집한 원전의 안전 문제에 국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 외에 인근의 일광단층과 월성단층도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활성단층’이라는 정부보고서가 작성됐다는 경향신문 보도는 그런 점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지난 2009년부터 3년간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해 2012년 소방방재청에 보고한 자료가 바탕이다.
한반도 지도에서 원전 배치도와 ‘활성단층’을 겹쳐보면 놀라운 결과가 드러난다. 원전 8기가 몰려 있고 2기가 추가 건설 예정인 고리원전이 일광단층에서 직선거리로 불과 5km 떨어진 곳에 있다. 원전 6기가 집중된 월성원전은 울산단층에서 멀지 않다. 지질학적으로 안심하기 힘든 지역에 원전이 이렇게 밀집 배치한 것은 국민을 놀라게 하기에 충분하다.
활성단층의 존재도 문제지만 그 후속조치는 '인재' 수준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2년 정부 용역연구를 수행하면서 양산단층이 활성화됐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사회적 파장을 고려할 때 좀 더 신중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라니 기가 찰 노릇이다. 정부가 인근에 새로운 원전 건설을 할 때마다 양산단층이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이라는 주장은 1983년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가 처음 제기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아 학계에서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는 사안이기는 하다. 그럼에도 정부는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밀 단층 조사도 없이 이 일대에 원전을 14기나 세웠으며 지금도 신고리 원전 5·6호기를 추가 건설 중이다. 원전은 안전이 생명이며, 안전은 국민의 믿음을 얻어야 완성된다. 정부는 이번을 계기로 앞으로 지질 조사 자료를 포함해 원전과 관련한 정보를 국민 앞에 공개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보안을 앞세워 숨긴다고 능사가 아니다. 투명성을 높여야 국민의 믿음을 얻을 수 있다.
정부는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을 시작으로 일광단층과 월성단층 등 동남권 지역에 대한 정밀 지질조사를 신속하게 시작해야 한다. 예산이나 인력 타령을 할 때가 아니다. 예비비라도 긴급 투입하고, 전국의 전문가 풀을 활용해야 한다. 필요하면 해외 전문가의 도움이라도 받아야 한다. 지질학적인 안정성 여부부터 파악해야 원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확한 대책을 세울 수 있다. 이는 불안해하는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조치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대처 매뉴얼도 재점검하고 내진 관련 시설의 보강도 서둘러야 한다. 한반도 지진시대라는 새로운 상황에 맞춰 원전 안전 시스템을 새롭게 설정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