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cking with the Constitu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ucking with the Constitution (kor)

The fiasco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correcting its outline of a rewrite of the 1987 Constitution a few hours after its release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the liberal party’s real motive for pursuing constitutional reform. In its original outline, the party removed the word “free” from Article 4, which defines the national policy direction of pursuing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basic free democracy principles. The party restored the word “free” four hours later after the outline’s release and claimed it was a typographical error. But skepticism lingered.

The issue of leaving out the word “free” from the democratic order has long been disputed among liberal scholars. As the party’s floor spokeswoman Je Youn-kyung explained, a reunified Korea may not be able to stick to its political system of free democracy once it becomes one with North Korea, which has lived under a socialist system for more than a half a century. The unified Koreas may have to choose a different or unique hybrid system of free or socialist democracy with respect to North Koreans. The constitutional reform drafted by an advisory commi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which also stirred controversy over being left-leaning, also took out the word “free” in its proposal.

Representative democracy differentiates itself from fascism through the universal right to a vote and free and equal elections. A free democracy differs from communism through the guarantee of multiple political parties to fend off dictatorship and with respect to a free market economy. This is our hard-won national identity, which the majority of our population cannot agree to yield. The genuine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should not be misinterpreted because past military regimes abused the ideas to glorify their monopoly on power through anticommunism dogma. Few in our society think our national identity should change upon unification. This may explain why more than 70 among 120 DP members opposes the move of taking out the word “free.”

The DP’s outline had other questionable details such as employing social economic concepts and turning land into a public asset. It also attempted to include mentions of the candlelight vigils that ousted a former president and placed President Moon Jae-in in power in the new Constitution without waiting for any historical evaluation or public consensus.

The Constitution is our fundamental guidance on national governance and civilian rights. It must encompass universal values and be agreed to by all the people. What the broad population has agreed and demanded from a new Constitution is correcting an over-powerful and centralized presidency, not changing our national identity. It is outrageous for the DP to attempt just that simply because it is in power. The DP hardly would have thought its idea could be accepted by an opposition-led legislative. It may have floated the idea for negotiating purposes or strengthening support from its left-leaning voting base. But the Constitution is too valuable to be used as a bargaining chip.

JoongAng Ilbo, Feb. 3, Page 30


어제 당론으로 확정된 더불어민주당의 개헌안 내용과 발표 과정의 해프닝을 보면 우려와 탄식이 절로 나온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는 헌법 4조에서 ‘자유’를 빼기로 했다고 발표했다가 4시간 만에 현행대로 유지한다고 번복한 것이다. 민주당 측은 ‘실수’라고 해명했지만 개헌 당론 확정을 위한 의원총회 결과를 전하면서 제윤경 원내대변인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보다 넓은 의미의 민주적 기본질서로 수정키로 했다”라고 했던 것을 생각하면 단순한 착각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실제로 ‘자유’가 빠진 ‘민주적 기본질서’는 지금까지 일부 진보역사학자들이 꾸준히 주장해온 ‘도그마’다. 제 대변인이 설명한 대로 보다 넓은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인데, 오늘날 남한의 정치체제인 자유민주주의를 통일 이후에도 무조건적으로 수용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통일 이후의 정치체제는 통일된 국가의 모든 국민, 즉 북한 주민의 의견까지 들어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인민민주주의 등 다양한 형태의 민주주의 체제 중에서 국민이 선택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좌편향 논란이 됐었던 국회개헌자문위가 작성한 시안에도 ‘민주적 기본질서’로 돼있던 것도 그런 맥락에서였다.
하지만 보편적 참정권과 자유•평등 선거를 바탕으로 한 대의민주주의와 시민권 보장으로서 파시즘과 구별되고, 다당제를 통한 일당독재의 부정과 자유시장경제의 가치로서 공산주의와 구별되는 자유민주주의는 우리 국민의 압도적 다수가 결코 양보할 수 없다고 믿고 있는 국가의 정체성이다. 과거 군부독재 정권이 권위적 반공주의를 미화하는데 자유민주주의의 개념을 남용한 바가 있다고 해서 그런 정체성이 부인될 수는 없는 일이다. 또 통일이 된다고 해서 정체성이 바뀌어야 한다고 믿는 국민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것이다. ‘자유’를 빼려는 움직임에 대해 민주당 의원 120명 중 70명 이상이 반대했다는 것도 다른 이유가 아니다.
민주당 개헌안에 있는 ‘사회적 경제’와 ‘토지 공개념’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선의로만 해석되지 않는 것도 그처럼 국가의 정체성을 흔들려는 저의가 느껴지는 까닭이다. ‘촛불 시위’처럼 역사적 평가와 국민적 합의가 좀더 필요한 사안을 헌법 전문에 포함시키려는 것도 마찬가지다.
헌법은 국가 통치의 기본원리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근본규범이다. 따라서 어느 한쪽의 주장이 아닌 보편적 합의가 담겨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의 보편적 합의는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해야 한다는 것이며 그것이 개헌의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그건 놔두고 정권을 가졌다고 해서 멋대로 국가 정체성을 바꾸려고 드는 것은 그런 시대적 요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이기도 하다. 민주당도 여소야대 국면에서 이런 개헌안이 통과되리라고 믿지는 않을 것이다. 대야(對野) 협상용, 지지층 결집용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인데, 정말 그렇다면 언어도단이 아닐 수 없다. 헌법은 다른 것과 바꿀 수 있는 상품권이 아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