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mothers struggle to meet demands : Balancing duties of home and the office come at a cost

Home > Culture > Features

print dictionary print

Working mothers struggle to meet demands : Balancing duties of home and the office come at a cost

테스트

Choi Ji-yeon, a 36-year-old working mother of two living in central Seoul, walks her daughters to daycare before going to work. Whether she makes it on time to work or not depends on whether her daughters decide to cooperate with her in the morning. [JOONGANG SUNDAY]

Four hundred and thirty minutes at work, 290 minutes with her children and 20 minutes of free time.

This is how Choi Ji-yeon, a 36-year-old working mother of two living in Seoul, spent March 22, an average Thursday. Out of the 1,440 minutes she has each day, the only time she has for herself is the 20 minutes she spends reading a book before she goes to sleep. The rest of Choi’s day is filled with work and household obligations - the average lifestyle of working mothers in their 30s,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Kim Ji Young, Born 1982” (2016) after the famous book by author Cho Nam-joo.

To look at the lives of working women, especially mothers, the JoongAng Sunday, an affiliate of the Korea JoongAng Daily, analyzed 161,697 cases recorded by Statistics Korea in their “Time Use Survey 2018,” along with Prof. Han Joon in the department of sociology at Yonsei University and Joo Ik-hyun,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sociology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e survey found that those with the least amount of spare time were mostly women in their 30s who had a job and children to take care of.

Working mothers in their 30s spent a daily average of 173.9 minutes on leisure activities, as opposed to working fathers in their 30s, who spent an average of 237.1 on leisure, and the overall average of 302.5 minutes. Among the reasons why the working mothers in their 30s are so time-poor compared to others was that their daily routine involved more childrearing than any other group.

While women continue to fight for their rights in the workplace, it turns out that they seldom get the rest they need as their homes run at the expense of their free time. For busy mothers, spare time and childrearing come as a trade-off, but not for fathers. While working mothers in their 30s spent a daily average of 142.4 minutes looking after their kids, working fathers spent almost a third of that time, a mere 53.9 minutes compared to the women.



Life of Kim Ji Young

테스트

The JoongAng Sunday interviewed working mothers between the ages of 30 and 39 who took part in the government survey to see how working mothers are lacking their own time, the cause of such inequality of time and what they see as essential to overcome the gap.

Many of the women felt that they get less than an hour every day that they can spend on their own. “Right after my child was born, it was impossible for me to leave the house. I can [go out] now and then, but everything revolves around the child. We go out and play and eat out, but I don’t deem those hours to be something for my leisure. Even when we watch a movie at the cinema, it’s a children’s film for the child. The only time I do get for myself is when I watch TV after the children are asleep,” said Lee aged 35.

A major problem is that home often becomes as demanding as work.

“I feel like I have two jobs,” said Nam Yun-ju, aged 38. “There are so many small and detailed things that a mom needs to take care of, even while she’s working, and it takes up so much energy and time. From changing the filters at home, or paying the insurance, I’m the one that h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Even when the daycare tutor uploads a picture of my child online, I’m always the one writing comments.”

According to Lee Ye-jin, 38, the social standards of an ideal mother are too high for women to bear, leading them to feel guilty if they don’t meet expectations. “There’s too much pressure on being a super-mom, probably because of portrayals of mothers in the media where mothers do work and childcare without any trouble. At the same time, everyone’s telling me that a child needs a mother’s care. Even when I get to do something away from the child, I’m stuck with a sense of guilt,” said Lee.

“I have no idea why elementary schools call in the students’ mothers to volunteer at the school cafeteria or at the crosswalk in front of the school,” said Ms. Jeong, aged 37. “The [mothers] have regular gatherings at the kids’ cafe, and it’s awkward for me not to go. But the funny thing is, there are no fathers at those meetings.”

The mothers pointed out that whil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overcome the low birth rate, there has been little success. While state-run facilities and services have helped ease the situation a little, it hadn’t been enough to combat the social norms that prevent young parents from being able to divide the household chores equally.

“I had to take our baby to get vaccinations once, but there was no one to help us,” said 35-year-old Kim Se-hee. “My husband worked seven days a week so that he could take a day off on a weekday, but he was scolded really badly by his boss. Apparently, his boss asked him, ‘Why are you doing such things?’ A father needs to be an active part of childcare if people don’t have extra set of hands, but bosses at work don’t understand this.”



테스트

Time-poor mothers

“Time studies find that mothers, especially ones who work outside the home to make money, are among the most time-poor humans on the planet, especially single mothers. They are weighed down not only by role overload but also what sociologists call ‘task density’ - the intense responsibility she bears and the multitude of jobs she performs in each of those roles,” wrote Brigid Schulte, in her book, “Overwhelmed: Work, Love and Play When No One Has The Time” (2014).

Schulte explains in her book that modern working mothers suffer from a chronic lack of time and are often forced to think about more than five tasks simultaneously.

“Time-use researchers call it ‘contaminated time.’ It is a product of both role overload - while working and still bearing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children and home - and task density. It’s mental pollution, one researcher explained. One’s brain is stuffed with all the demands of work along with the kids’ calendars, family logistics and chores,” explained Schulte.

An analysis of time use surveys conducted in Korea in 1999, 2004, 2009 and 2014 proves Schulte’s argument that a woman in her 30s with a child and a job has the least amount of free time, or disposable time.

Over the four surveys, men in their 30s with children had an average of 237.1 minutes of free time per day, while their female counterparts were only granted 173.9 minutes. Though the gap between the sexes is narrowing with time, men had an average of 63.1 minutes more than women of leisure in the most recent survey.

The obvious hardships of a married woman in her 30s has led to younger women becoming reluctant towards the idea of marriage and childbirth, according to Prof. Jung Jae-hoon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t Seoul Women’s University.

“The early 30s is like rush-hour for men and women, where they enter the labor market, get married and become a parent. If women in those ages become time-poor, it means that the burden of marriage and childbirth are hitting women the hardest,” said Jung.

“For fathers born in the so-called baby-boom age [during the 1940s and 1960s], it was considered a virtue for them to work as long as possible and bring in the money, while mothers stayed home and took care of the children. The world has changed into a place where this model doesn’t work any more, but society still demands that mothers be the primary caretakers for the children. People must let go of the old family model that’s established upon the sacrifices of the mother and divide the household labor,” said Professor Han of Yonsei University.



Moms are not superwomen

Kim Sun-young is a 36-year-old woman working at a PR company and is the deputy head of her team, in most part thanks to the fact that she did not need to worry about putting an end to her career because of outside factor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She spends her weekend taking swing dance classes and travels abroad twice a year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getting fired.

“Marriage is something that I will think about when I cross that line,” said Kim. “I don’t think that it’s a necessity, seeing how my married friends’ lifestyles have changed so much after they got married.”

Many reasons have been brought up as to why young women, especially those in their 30s, are distancing themselves from marriage and childbirth. A recent streak of arguments have pointed to the fact that women are forced to maintain gender roles on two different timelines. At work, they are expected to work as hard as their male colleagues, but at home, they are pushed into the same roles their mothers had decades ago. This is known in academia as neo-traditionalism, where the ideals of a good laborer and a good mother come in conflict, and choosing the latter over the former can lead to jeopardizing one’s career, as explained by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sociology in Ewha Womans University, Kim Min-ji.

“In many cases, we see that having a child is a direct factor of the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said Kim. “As women become the primary caretakers for their children, they are pushed to the side at their workplace, half-forced and half-voluntary.”

Another factor revealed by the time use survey is that Korean society has high standards regarding maternal responsibilities, both from inside and outside the family. Working mothers in their 30s spent an average of 94.4 minutes looking after their children in 1999 and the number rose to 142.4 minutes in 2014. For men, the numbers only rose from 24.9 minutes to 53.9 minutes.

According to research by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in 2016 on gender roles, Korea had the most negative attitudes towards working mothers, believing that a child and the family suffer when a mother works full-time.

“Since most homes now have only one or two children, the general standards of rearing a child is getting higher,” said professor Kim.



A need for change

Though the government has poured in trillions of won to overcome the decreasing numbers of marriages and childbirth, a fundamental change needs to come not in the digits of the government budget, but with the direction of where the cash flows. The government has spent a total of 126 trillion won ($117 billion) from 2006 to be spent until 2020 to overcome low birthrate on policies such as ensuring maternity and paternity leaves, flexible working hours and cutting working hours, and 63 trillion won to help provide free childcare services for the parents. But much of the policies are still directed towards working hours for women, but not their lives in and outside the workplace.

“The essence of the policies on low birthrate lies in the need for setting basic infrastructure for marriage, such as providing work, home and marriage costs,” said Professor Jung of Seoul Women’s University.

“But none of those take into consideration the general gender inequality in society in which women keep avoiding the idea of marriage and giving birth, because it leads to inequality in childcare and inequality at the workplace. We need to stop holding women in the role of primary caretakers for children and must support working fathers so that they may keep their work and families at the same time.”

Prof. Cho Young-tae at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dded that, “Although we have made the environment for childcare, people do not feel that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or the equal division of work inside the house have gotten any better. Rather than just encourage people to get married, policies should be directed towards equality in time spent by men and women when it comes to household work and childcare.”

BY SPECIAL REPORTING TEAM [yoon.soyeon@joongang.co.kr]



'82년생 김지영'의 하루, 여가가 없다

주업노동 430분, 돌봄(육아) 290분, 여가 20분….

6세와 19개월 된 딸을 둔 직장인 최지연(36)씨가 지난달 22일 사용한 시간 내역이다. 하루 1440분(24시간) 중 자신을 위해 쓴 여가는 잠자기 전 책을 읽은 20분이 전부였다. 여가시간 없이 주업노동과 돌봄·가사로 채워지는 빡빡한 최씨의 하루는 특이 사례가 아니다. ‘82년생 김지영’으로 상징되는 ‘30대 직장맘’들에겐 보편적 일상이다.

중앙SUNDAY는 한준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주익현 성균관대 박사후연구원과 함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 16만1697건을 분석했다. 여가시간량이 하위 25%에 속하는 ‘시간 빈곤층’을 추적한 결과 여성, 30대, 자녀가 있는 직장인이라는 특징을 확인했다. 이들의 여가시간은 하루 평균 173.9분으로 전체 평균(302.5분), 같은 조건의 남성(237.1분)보다 크게 적었다. 성장 과정에서 알게 모르게 불이익을 감수해왔던 ‘82년생 김지영’들이 여가시간에서도 자신을 희생하고 있는 모양새다.

30대 직장맘의 시간 빈곤은 육아를 중심으로 한 ‘돌봄노동’의 편중 때문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하루 평균 돌봄노동 시간(2014년 기준)은 142.4분으로 같은 조건의 남성(53.9분)보다 월등히 길었다. 여가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30대 여성은 여가시간과 돌봄시간 사이 반비례 관계가 성립했다. 하지만 남성은 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 불평등은 시대가 변해도 나아지지 않고 있다. 30대 여가시간의 지니계수(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는 1999년 0.350에서 0.332(2004년)→0.336(2009년)→0.350(2014년)에 머물렀다. 여가시간의 부익부빈익빈이 다시 심화되고 있었다. 지난달 30대 직장맘 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중앙SUNDAY 샘플조사에서도 이들의 여가시간 평균은 135.9분으로 같은 조건의 남성(240분)보다 적었다.

통계로 본 82년생 김지영
생활시간 샘플조사에 응한 30대 직장맘 11명에게 ‘82년생 김지영’의 시간빈곤 현상 원인과 해법에 대해 물었다. 여가시간이 왜 없는지,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제 당사자들의 솔직한 얘기를 들어 봤다.

하루 중 오로지 나만을 위해 쓸 수 있는 여가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는 질문에 “한 시간 남짓”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두 자녀를 둔 이모(35)씨의 설명이다.

“아이가 태어난 뒤 초반엔 외출 자체가 안 됐어요. 지금은 가능하지만 모든 게 아이 위주로 돌아가죠. 놀러도 가고 외식도 하지만 그 시간을 제 여가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영화관에서 영화를 봐도 아이와 함께 볼 수 있는 영화만 보니까요. 애들 재우고 집에서 TV 보는 게 그나마 저를 위한 시간입니다.”

절대적 시간도 부족하지만 역할 과부하로 시간이 오염되는 부분에 대한 피로감 호소도 많았다. 남윤주(38)씨는 자신은 “직업이 두 개”라고 말했다.

“일하는 와중에도 엄마가 꼭 관여해야 하는 자질구레한 일을 처리하는 데 시간과 에너지가 정말 많이 들어가요. 정수기 회사에서 필터를 갈아 주러 오거나 보험료를 내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모든 집안 관련 대외적 소통창구가 저이니까요. 하다못해 선생님이 아이 사진을 사이트에 올려 주시면 고맙다는 댓글도 제가 달아요.”

‘수퍼맘’을 기대하는 사회적 압력도 이들을 숨막히게 하는 원인이다.

“미디어의 영향 때문인지 일과 육아를 척척 해내는 수퍼맘에 대한 강요가 많아요. 아이는 엄마 손을 타야 한다는 얘길 주변에서 너무 많이 하죠. 막상 여가가 생겨 아이와 떨어져 뭔가 하려면 죄책감이 들어요.”(이예진·38)

초등생 자녀를 둔 정모(37)씨는 사회 분위기에 보다 강경한 의견이었다.

“요즘 학교는 왜 엄마들 보고 급식 퍼주고 신호등을 지키고 서 있으라 하는지 모르겠어요. 게다가 학부모 카톡방에선 안 가기 애매한 수많은 키카(키즈카페) 모임이 공지되더라고요. 더 이상한 건 그 모임에 아빠는 한 명도 없다는 점이에요.”

‘일의 세계’와 ‘돌봄의 세계’ 충돌로 생긴 불협화음에 한계를 느낀 여성들은 이른바 ‘마미트랙(mommy track·육아 등을 위해 출퇴근 시간을 조절할 수 있지만 승진 기회는 적은 직책 또는 직장)’으로 이동한다. 출판사 편집자로 일하다 지금은 프리랜서 독서지도사로 일하고 있는 이미종(38)씨도 그중 하나다.

“30대 중반까지 직장생활을 했는데 아이 낳고 조부모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직장을 다니는 것은 불가능했어요. 반차라도 자유롭게 내면 애가 아플 때 급하게 쓸 텐데 조직문화상 그것도 어려웠죠.”

그간 정부가 저출산 극복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물론 혜택을 받는 부분도 있지만 육아를 대하는 사회 분위기 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얘기다.

“워킹대디는 워킹맘보다 더 소수자 취급을 받아요. 누구보다 아버지 역할을 하고 싶지만 당연한 듯 요구되는 야근과 회식, 주말 출근 속에서 상사에게 집에서 자신의 역할을 알리기란 쉽지 않은 일이죠. 사람들 머릿속에 가사와 육아를 적절히 분담하는 남자들을 위한 자리는 아직 없는 거 같아요.”(최지연·36)

“아이가 신생아 때 예방접종 맞히러 가야 하는데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었어요. 남편이 주7일 근무를 자청하고 평일에 하루 쉬었는데 회사 상사가 엄청 뭐라고 했어요. ‘그걸 왜 네가 하냐’라면서요. 조부모 도움 없이 혼자 육아를 하는 집에선 당연히 아빠도 같이 해야 하는데 이런 점을 회사 상사들은 이해를 못 해요.”(김세희·35)

“저희 신랑은 오전 7시에 출근해요. 아이가 잠든 심야에 퇴근하죠. 사회적으로 ‘남자가 일을 더 많이 해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고 직장문화도 이를 기반으로 형성돼 있어요. 남성이 육아를 할 수 없는 구조죠. 금전적 지원도 좋지만 남편을 가정에 보내주는 게 더 시급해요.”(양은혜·35)

여가 빈곤층 직장맘
‘인류 역사에서 여자들의 시간은 항상 예측 불가능한 방해를 받았던 반면 남자들은 긴 시간을 방해받지 않고 누릴 수 있었다.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성들이 집과 일터에서 착한 아내 또는 유능한 비서 역할을 해 주면서 남자들은 자신의 시간을 온전히 쓸 수 있었다…’.

워싱턴포스트(WP) 기자이자 타임푸어 저자 브리짓 슐트는 시간을 활용하는 남녀의 차이에 주목했다. 역사적으로 권력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자신이 원하는 때, 원하는 곳에 오롯이 몰입할 수 있는 시간을 많이 확보했다. 시간은 곧 권력을 의미했다. 슐트는 현대 사회에선 워킹맘으로 불리는 여성들이 특히 시간 부족 현상에 시달린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직장에서 일을 하는 동시에 어린이집에서 아이를 데려올 생각, 등교 준비물 마련, 보험료 납부 등 최소 5~6가지 일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1999년·2004년·2009년·2014년 네 차례 생활시간 조사 분석 결과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30대 자녀를 둔 여성은 하루 주업노동·수면시간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맘껏 쓸 수 있는 ‘가처분 시간(disposable time)’인 여가시간이 가장 적은 집단이었다. 99년부터 2014년까지 네 차례 조사에서 30대 자녀가 있는 남성은 평균 237.1분의 여가시간을 쓴 반면 여성은 173.9분을 썼다. 격차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남성이 평균 63.1분을 더 쓰고 있다. 중앙SUNDAY의 2018년 샘플 조사에서도 30대 유자녀 여성 11명의 평균 여가시간은 135분인 반면 30대 유자녀 남성은 240분, 30대 미혼 여성은 405분으로 조사됐다.

30대 여성들의 고단한 삶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두려움과 기피 현상으로 이어진다. 합계 출산율은 99년 1.41에서 2016년 1.17로 떨어졌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30대 초반은 남녀 모두 노동시장 진입-결혼-부모되기 등 ‘인생의 러시아워’ 시기”라며 “이 시기 여성이 여가시간 빈곤층으로 나타난다는 건 결혼과 육아로 인한 역할 과제에 대한 부담이 주로 여성에게 지워진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한준 교수는 “베이비붐 세대에게 아빠는 직장에서 오래 버텨 돈을 벌고 엄마는 자녀를 키우며 잘 뒷바라지하는 게 성공 방정식이었다. 하지만 더 이상 이 모델이 통용될 수 없게 세상이 변했는데도 여전히 엄마에겐 돌봄노동을 전담케 하는 구조가 유지되고 있다. 엄마의 여가를 희생양으로 삼는 왜곡된 가족모델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돌봄노동을 나누는 시간의 사회적 재배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퍼우먼’ 요구하는 신전통주의 가족관
홍보 마케팅 회사에서 일하는 직장인 김선영(36)씨는 주중 한 번씩 퇴근 후 3~4시간 스윙댄스를 즐기며 스트레스를 푼다. 벌써 5년째 활동하고 있는 동호회에서 임원도 지냈다. 주말 하루도 스윙댄스에 할애한다. 미혼인 그는 여름·겨울 두 차례 휴가 때마다 꼬박꼬박 해외여행을 간다. 올 6월에도 부모님과 스페인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김씨는 결혼 후 출산·육아로 인해 경력 단절의 위기를 겪는 또래 여성들과 달리 커리어를 꾸준히 이어온 덕분에 비교적 이른 나이에 차장 직함을 달았다. 그는 “결혼은 ‘하면 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있다”며 “친구들이 결혼하고 나서 생활 패턴이 많이 바뀌는 것을 보고 꼭 할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30대 여성들의 비혼·저출산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배경엔 사회와 가정에서 맞닥뜨리는 성 역할의 괴리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직장에서 남성과 동등한 근로를 하면서도 가정에선 엄마 세대들의 성 역할을 요구받는다. 김민지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를 “신(新) 전통주의 가족관”이라고 표현했다. 괜찮은 노동자와 좋은 엄마 사이에서 고민하다 후자를 선택하면 경력 단절의 위험이 커진다. 김 교수는 “많은 연구에서 결혼보다 자녀의 유무가 남녀의 임금 격차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며 “여성은 주 양육자가 되면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직장에서 주변부에 머물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생활시간조사 분석 결과 한국 사회의 모성에 대한 가정 안팎의 높은 기대 수준도 여성의 돌봄시간을 늘리는 데 기여했다. 30대 직장맘이 가족 돌봄에 투입하는 시간은 99년 하루 평균 94.4분이었지만 2014년에는 142.4분으로 48분 늘어났다. 같은 기간 남성도 24.9분에서 53.9분으로 늘었지만 29분의 차이가 났다.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의 2016년 젠더 역할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1개국 가운데 ‘일하는 엄마’에 대한 인식이 가장 부정적인 그룹으로 조사됐다. ‘어머니가 일하면 취학 전 아동은 힘들게 된다’ ‘여성이 전일제로 일하면 가족생활이 힘들어진다’ 등의 항목에 동의한다고 답변한 비율이 남녀 모두 높게 나타났다. 김민지 교수는 “아이를 한두 명만 낳아 모든 자원을 투입하는 경향 때문에 갈수록 양육에 대한 가정 안팎의 눈높이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남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 늘려야”
정부의 저출산 대책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미기도 하다. 정부는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1차(2006~2010년), 2차(2011~2015년), 3차(2016~2020년) 계획을 통해 ‘저출산 관련 예산’ 126조4720억원을 투입했다. 무상보육 등 돌봄 관련 예산만 63조2505억원이 들어갔다. 제도적으로 육아휴직 활성화, 유연근로제 도입, 근로시간 단축 청구권 도입 등이 마련됐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의 일과 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재훈 교수는 “저출산 기본계획이 ‘일자리·주거·결혼비용 등 결혼 기반 조성’의 필요성만 강조할 뿐 독박육아, 직장에서 여성이 겪는 곤란 등으로 인해 결혼과 출산을 회피하는 성차별적 현실에 대한 인식이 없다”며 “여전히 출산과 양육의 주 책임자는 여성이라는 입장에서 벗어나 남성의 일과 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것이 비중 있게 다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사회적으로 보육환경을 만들어놓긴 했지만 궁극적으로 가정 내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 남녀 간의 균형이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는 체감이 없다”며 “단순히 혼인 장려 정책보다 가정 내 가사·돌봄노동의 남녀 ‘시간 평등’을 통해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탐사보도팀=임장혁(팀장)·박민제·이유정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