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hinking food, delivery services and society

Home > Business > Industry

print dictionary print

Rethinking food, delivery services and society

테스트

Kim Bong-jin, CEO and founder of Woowa Brothers, poses next to a wall painting of Thomas Burke, an American sprinter, at the company headquarters in Songpa, eastern Seoul. The 18-story building features the legendary sportsman noted for his innovative spirit. Burke is known for pioneering the “crouch start,” which was uncommon during the inaugural modern Olympic Games in Athens in 1896 but is in standard use now. [PARK SANG-MOON]

The year is 2022 and a small four-wheeled robot is going about its daily business. The box-shaped machine drives itself around town, picking up groceries, medicine and bread and delivering them to its user. It even gets the newspaper and takes out the household’s recycling.

테스트

This sci-fi scenario, shown in a video released on YouTube on June 28, is what Baedal Minjok, the country’s No. 1 app-based food delivery service operator, is striving to achieve in the imminent future.

The video highlights how much the start-up has evolved from a simple food delivery company. Having entered the eighth year since its foundation, the Seoul-based firm is trying to move forward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n upgraded brand image.

Sharing his business blueprint, Kim Bong-jin, founder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Woowa Brothers, the mother company of Baedal Minjok, said in a recent interview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hat he wants to both drag down the cost of delivery and ease human labor through the use of robot technology.

The ripple effect will be “immense” - from dining and shopping patterns to the size of refrigerators and even household security, according to the industrial designer-turned entrepreneur. The renowned mentor also warned to fledging start-ups as well as government officials that Korea should scramble to introduce advanced technologies, including the ones his company is working on, so as not to fall behind other economic powerhouses.

Kim wears many hats: a designer who manages, a showy book reader and a progenitor of food tech. The avid networker carries around a Leica digital camera to shoot portrait photographs of the people who inspire him and uploads them on his personal Instagram account. His latest book about the way he reads books has become a best seller.

His fondness for the fun and kitschy naturally led to unique marketing and advertising campaigns that brought him passionate fan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and allowed Baedal Minjok to post more than 70 percent year-on-year revenue growth since 2014. The firm swung to profit in 2016 and its operating profit grew nearly eight times in just a year to 21.7 billion won ($19.1 million) in 2017 in this rapidly growing market.

Such an upbeat track record is paving the way for Baedal Minjok’s gallop toward becoming a unicorn, or a billion-dollar start-up. Some investment banking insiders view its value at up to 1.5 trillion won.

The following are edited excerpts from the interview in which Kim shared his vision for the food industry and culture as well as insights as a start-up guru.



테스트

Q. Woowa Brothers merged Baedal Minjok with Baemin Riders, a service that delivered non-traditional delivery cuisine, at the end of last year and declared the beginning of Baedal Minjok brand 2.0. What was behind that decision?

A
. We concluded at the time that we had reached the stage of being recognized by general consumers, to an extent, on the back of our kitschy and fun promotions. We were asked a lot about our brand identity, which led us to deliberate on the next stage. We wanted to expand the brand and make it way more distinguished from other existing brands.

There was a time when a person putting on a certain luxury brand from head to toe was cool. But today’s consumers are much smarter. They mix and match different brands. You can be a Baedal Minjok fan while being fond of Apple. It looks cool when a person with a Hermes bag holds “Chichelin Guide [the latest publication from Baedal Minjok about chicken].” It’s the beauty of contrast.

Services have gone through changes, too. Before, consumers simply considered Baedal Minjok as a brand that let them order fried chickens. Now, it has gained recognition as a platform that delivers cuisine that was not typically available for delivery such as tom yum kung, pasta and even lobster. That is why we have decided to more seriously deal with food in tandem with the launch of Baedal Minjok 2.0.



Woowa Brothers injected 10 billion won in March 2017 to kick-start the Baemin David project for developing delivery robots. In March this year, the company invested $2 million on Bear Robotics, a U.S. robot start-up. Where are you at in the development process?

The robotics we are interested in encompass delivery, connec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 successfully completed the initial test in June of a serving robot at a food court in Cheonan, South Chungcheong, in partnership with Korea University.

We are scheduled to conduct a second test of an autonomous serving robot, jointly with a local restaurant brand we cannot name, in August. The venue will be within a closed outdoor space - an apartment complex, for instance. A sizable portion of the Korean population lives in apartments and officetels and the portion is even bigger in Seoul and Gyeonggi. We are comparing having a human deliverer and a robot work together with a human for deliveries within an apartment complex.



What benefits do autonomous delivery robots offer?

When a robot delivers, delivery charges that normally range between 3,000 won and 4,000 won will go down to as much as several hundred won. The price of food that consumers think is appropriat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delivery charge is 18,000 won to 20,000 won. Not many are willing to pay a 4,000 won delivery fee for a 7,000 won dish.

We are paying attention to what impact the under-1,000 won delivery charge will have on the food delivery market. Under that scenario, people will be willing to have their breakfast delivered on a regular basis.

I want to have robots deliver not only food but also food ingredients, products sold at convenience stores, medicine and even newspapers. On their way back from delivering, robots could pick up recyclable waste from customer’s houses and throw it away. If consumers no longer have to buy a large amount of products at once at a supermarket thanks to delivery robots, the capacity of refrigerators would also be reduced.

Automated robots will help resolve security issues, too. Although modern apartment complexes have passwords at the building entrance, the passwords are already known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types of deliverymen. If robots are the deliverymen then concerns over password leaks and potential crimes will disappear.

All of the things I have mentioned are not so far away from now. In some parts of the world, such as Silicon Valley, they a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autonomous delivery robots. Unless Korea implements such technology, it may fall behind even further.



Baedal Minjok is renowned for various design goods used for marketing promotion. Have you considered spinning off a design unit?

I won’t split the unit because branding goods is valuable when they play a supplementary role to the main business - content marketing. For a company to keep up with changing customers’ perspective, it should provide content incessantly.

Content marketing requires two to five years of long-term investment. Assessing the result every six months won’t be the right thing to do. Our fonts are an example of content marketing. We spent less than 500 million won developing five fonts over the past five years, but their value continues to grow over time, helping the brand become even more recognizable.

In a related move, we published Magazine F in March. F is short for food. We joined hands with Magazine B from JOH, a branding company, to create its sister magazine. Magazine B is an advertisement-free publication that introduces a single brand per edition. The first edition of Magazine F dealt with salt and the second, which came out in May, was about cheese. The theme of the third edition will be chicken. We also had Lee Wook-jung, a producer at the Korea Broadcasting Station renowned for the food documentary series “Noodle Road,” shoot a documentary about the anthropological origin of chicken, its taste and nutritional value. Its premier is slated for early August. Magazine F will seriously handle food and ingredients, including water and wine.



Where does Korea stand in the global delivery market?

A lot of Koreans tend to think that food delivery is a unique culture here. But there are bigger food delivery services abroad - from Deliveroo in the United Kingdom to Delivery Hero in Germany - operator of Baedaltong and Yogiyo in Korea - and Ele.me in China.

But Seoul is No. 2 after China when it comes to the number of orders placed on delivery apps. The delivery tally in Seoul is as big as in a few cities in Europe combined. It is mainly because Seoul is a megacity with a population of nearly 10 million. There aren’t many cities that compare to Seoul in terms of population except for London, New York and Tokyo. Within China there are Beijing, Shanghai and Shenzhen.



What is the speed of growth for delivery services?

The pace of growth is getting faster by year. Last year and the year before saw an over 70 percent on-year rise in delivery transactions volume, the total value of food ordered through the Baedal Minjok app. This year is projected to see another 70 percent increase. That is a tremendous speed. By the end of this year the annual transaction volume is expected to reach 4 to 5 trillion won, which compares to 2 trillion won in 2016 and 3 trillion won in 2017.

During the Russia World Cup period, we received 120,000 to 140,000 orders per hour, which translated to up to 500,000 a day. The daily order volume is an overwhelming record even when compared to that of e-commerce platforms. When an order volume is bloated to a certain level, it never reduces and only grows. That leads to enlarging the entire food delivery market.

Until recently we estimated the annual food delivery market size at 14-15 trillion won. But as the distinction between food that can be delivered and food that cannot be delivered was destroyed, the market size seems to have broken the ceiling.

The growth of the food delivery industry will have a butterfly effect on a range of industries. As it has become natural that electronic products, books and clothes are ordered online, food will be, too.

The real estate market will change as well. The essence of the restaurant business has been real estate thus far, but it is changing now. When I launch the Baedal Minjok app, it shows the 200 fried chicken locations within a 1.5 kilometer (0.9 mile) radius of my office. But when I walk around the neighborhood, chicken places are barely noticeable. It is because the shops are located in barely-visible areas or on cheaper land. It has become possible for obscure and smaller friend chicken places to compete against large franchises doing massive promotions such as BBQ and BHC.



Do you think Korean food culture is changing?

I see a huge change with the way people eat hansik, or Korean food. When you go to fine dining restaurants here, an increasing number of them serve food on a single tray or in the form of a course menu.

The way people eat hansik at home is changing as well. Whereas they used to have rice with five to seven banchan, or side dishes, before, the number has reduced to one or two - mainly because the single household demographic considers washing dishes, managing banchan containers and dealing with food waste a big hassle.

Some say bread will replace rice, but I believe people will keep consuming rice. Instead, preference for deopbap, or bowls of rice with various toppings - from marinated beef to tuna - will grow.

Korean food has a strong flavor, a downside that makes it hard to feel the original taste of the ingredients. If people grow the habit of having a single banchan with rice for a meal, the taste buds of general consumers will become more diverse. Banchan will become more refined.

Dosirak, or lunch boxes consisting of Korean food, sold at convenience stores will be overhauled. The producers’ focus will migrate from the number of banchan offered to the quality.



Aside from running the business, you assume various posts such as managing director at the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chairman of the Korea Startup Forum and innovative growth ombudsman. What are your views on the controversies over innovation and excessive regulations?

Everyone can talk about innovation and stress its importance - from public servants to journalists, businessmen and even the president. But I feel that the pace of innovation in Korea is pretty slow. China has outpaced us a long time ago and is ahead of us by around five years, and the speed of innovation in Southeast Asia is similar to Korea’s. I am not saying that Korea has failed. Korea is an economic powerhouse and is doing well. But I am concerned that it is falling behind in terms of the pace of innovation.

When it comes to regulations, I view them as being created by existing businesses and interest groups. I don’t think government officials impose regulations because of a lack of understanding. The best measure to ease regulations, in my view, is a marathon meeting where businessmen and government officials, academics and interest groups discuss the issue for days.

The idea was propos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people meet they get to listen to each other and find a way through a certain problem.



What changes will the recent minimum wage hike bring to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Delivery fees have been hiked in the wake of the rise in the minimum wage, but consumers will get used to paying for food deliveries, particularly so with fried chicken franchises that began charging 2,000 won for delivery. Fried chicken costing 18,000 won and steak costing 18,000 won have been placed on a level playing field.



It is amazing that chicken accounts for one third of all food delivered by Baedal Minjok.

There are fried chicken places in every corner of Seoul. Korea has more chicken restaurants than McDonald’s, and there is no other food that has more diverse recipes than chicken. What is more interesting is that the popularity of chicken in today’s Korea was generated by oversupply. Oversupply led to more and more people eating chicken, and repeated eating made people think that chicken is delicious.

The number of chicken places exploded in the aftermath of the 1997 Asian financial turmoil. Opening a chicken franchise was the easiest option for corporate employees who lost their job with severance pay of 100 to 200 million won. The government fanned the trend as it eased the lending criteria. I, myself, eat chicken five to six times a month. For others, chicken is a soul food, but my children hate it because they eat it too often.

[Jumping on the bandwagon of chicken popularity, Baedal Minjok has been throwing a chain of fun events and promotions. The company launched an annual test to pick out a chimmelier, a portmanteau of chicken and sommelier, last year and a second edition took place on Sunday. The winners were given “Chimmelier Certificates.”

In June, Baedal Minjok published the “Chichelin Guide,” a book about selecting the right chicken, its history in Korea and various methods of enjoying chicken. In the same month, the firm began selling “Chimmeliale,” a pale ale developed jointly with The Booth, a local craft beer house. The beer is meant to enhance the taste of chicken.]



Baedal Minjok currently operates domestically. Do you plan to expand overseas?

No particular deal is underway at this moment, but we will keep trying to enter foreign markets. We have been conducting market research in London, where Deliveroo and JustEat are headquartered, and Southeast Asia. We tried to advance into China in vain and realized we won’t work in Japan because the country’s convenience stores are so strong.

Southeast Asia is one of our candidates, but we don’t think we can succeed simply by relying on the ongoing hallyu, or Korean wave. Hallyu may last, but it would be a mistake to think that Southeast Asians would unconditionally accept services by Koreans.

BY SEO JI-EUN, MOON SO-YOUNG [seo.jieun@joongang.co.kr]


관련기사: ‘Chimmelier’ test crowns a new crop of chicken gurus


배달과 음식의 미래, 다시 생각하기

‘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 인터뷰

2022년 어느 날. 네 바퀴가 달린 작은 로봇이 거리를 돌아다니고 있다. 박스 모양의 이 로봇은 식료품, 약, 빵 등을 픽업해서 가져다 준다. 신문도 배달하고 재활용 쓰레기를 대신 버려주기도 한다.

6월 28일 ‘배달의 민족’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 이런 공상과학 영화 같은 모습은 한국의 1위 배달 앱 배달의 민족이 실현 중인 미래다.
8년 전 음식 배달 대행 스타트업으로 출발한 배달의 민족은 이제 기술 혁신과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통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 형제들’의 김봉진 공동창업자 겸 대표는 7월 10일 코리아중앙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로봇 기술을 통해 배달비를 낮추고 인력 소모를 줄이는 방향으로 회사를 발전시켜 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그 파급 효과가 외식 문화부터 쇼핑 패턴, 냉장고의 크기, 보안 기술에까지 “엄청난 규모”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스타트업계의 멘토로 잘 알려진 김봉진 대표는 '경영하는 디자이너' '과시적 독서가‘ '푸드 테크 창시자' 등 다양한 별명을 갖고 있다. 그는 라이카(Leica) 디지털 카메라를 지니고 다니면서 그에게 영감 주는 사람들의 사진 찍는 걸 즐긴다. 그의 인스타그램에는 그가 찍은 흑백 인물 사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독서를 즐기는 그는 지난 3월 '책 잘 읽는 방법'을 출간해 베스트셀러 작가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펀(fun)하고 키치한 문화에 대한 김 대표의 애정은 ‘배달의 민족’의 독특한 광고 마케팅으로 이어져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덕분에 2014년 이래 배달의 민족의 매출은 연간 70% 이상씩 성장했고, 2016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배달 앱 시장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2017년 영업이익은 1년 만에 8배 이상 급증해 217억원을 기록했다.

이제 배달의 민족은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의 반열에 성큼 다가섰다. 일부 투자은행들은 이 회사의 기업 가치를 최고 1조5000억원으로 평가한다.



Q. 우아한 형제들은 작년 말, 기존 배달음식을 서비스하던 배달의 민족과 기존에 배달되지 않던 요리의 배달을 대행하는 배민 라이더스 브랜드를 통합해 브랜드 2.0를 출범했다. 어떤 의미가 있나.

A. 1.0 단계에서 키치함과 즐거움으로 어느 정도 소비자들에게 인식 가능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봤다. 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고 우리도 그 다음 단계에 대해 고민했다. 브랜드를 확장하고 기존 브랜드보다 더 뚜렷한 차별성을 갖도록 하고 싶었다.

과거에는 하나의 명품 브랜드 제품을 머리부터 발끝까지 두르는 게 멋있는 것으로 비춰졌던 반면, 현재의 소비자들은 영리하게 각기 다른 브랜드를 섞어가면서 사용하고 있다. 애플을 좋아하면서도 배달의 민족의 팬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에르메스 가방을 든 사람이 배달의 민족에서 나온 '치슐랭 가이드'를 들고 있으면 멋있는 것이다. 대조의 재미다.

그간 서비스 모델도 바뀌었다. 소비자들은 배달의 민족을 단순히 치킨 배달시키는 브랜드로 인식했는데 이제는 똠양꿍, 리조또, 고르곤졸라 피자까지도 배달하는 플랫폼으로 재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브랜드 2.0에서는 음식이라는 주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루기로 했다.



Q. 우아한 형제들은 2017년 3월 100억을 투입한 배민 데이빗 프로젝트를 통해 배달 로봇을 개발해왔다. 올 3월에는 미국 로봇 스타트업인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에 200만달러를 투자했다. 현재 어떤 개발 단계에 있나?

A. 로봇 분야는 배달, 연결, 신기술, AI 로봇기술까지 관련돼 있다. 우리가 가장 집중하는 것은 로봇 사업이다. 고려대와 협력해 서빙 로봇으로 실내에서 1차 테스트를 완료했다. 2단계로 주상복합 오피스텔, 아파트 단지, 대학 캠퍼스 등 실내외 복합공간에서 주행할 수 있는 로봇으로 발전시켜 가는 것이다. 우리나라 인구의 상당수가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거주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 경기 지역은 절반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에서 인간이 직접 배달하는 것과 인간과 협업해 자율주행 로봇이 배달하는 것 중 무엇이 나은 지에 대해 고민하는 단계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인간 배달원이 음식점에서 음식을 건네 받아 고객에게 전해주기 위해 거치는 보행로, 횡단보도 등 모든 과정을 자율주행 로봇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데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 모든 과정에는 적어도 3~5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배달의 민족이 직접 추진 중인 배달 로봇 개발 프로젝트와는 별도로, 음식점 홀서빙을 도와주는 또 다른 자율주행 로봇을 8월 중 테스트할 계획이다.



Q. 자율주행 로봇이 배달을 하게 될 경우 어떤 이점이 있나.

A. 로봇이 배달을 하게 되면 현재 3000원-4000원에 달하는 배달비가 몇백원까지도 내려갈 수 있다고 본다. 소비자들이 현재 배달비용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음식의 가격은 18000원-2000원이다. 4000원 배달 비용을 내고 7000원짜리 음식을 주문할 고객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배달비가 몇백원이 될 경우 어떤 변화가 일어날 지에 주목하고 있다. 그 경우 아침밥도 정기적으로 시켜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배달 로봇이 음식 뿐 아니라 식재료, 편의점 제품이나 약, 신문까지도 배달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 배달하고 돌아가는 길에 고객의 재활용 쓰레기를 버릴 수도 있겠다. 소비자들이 굳이 슈퍼마켓에 가서 다량으로 구매를 하는 일이 줄어들게 되면 냉장고 적재량도 달라질 것이다. 6월 말에 유튜브 배달의 민족 채널에 공개한 배달 로봇 동영상에 배달의 민족이 그리는 미래가 잘 설명돼 있다.

보안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아파트 현관 공동키 비밀번호가 있지만 사실 불특정 다수의 배달부들에게 공유된 상태라 안심하기 힘들다. 배달 로봇이 상용화되면 그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너무 먼 미래가 아니다. 이미 실행하고 있는 나라가 있고 한국도 빨리 도입하지 않으면 신기술 분야에서 해외에 뒤떨어질 수 있다.



Q. 배달의 민족은 다양한 브랜딩 굿즈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디자인 사업을 독립시킬 생각은 없나.

A. 분리하지는 않을 생각이다. 브랜딩 굿즈는 비즈니스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때 빛난다.

기업은 고객의 시각 변화에 맞춰 나가야 한다. 그러려면 콘텐츠 소재를 끊임없이 제공해야 한다. 콘텐츠 마케팅은 호흡이 길어서 2-5년까지 투자해야 한다. 이를 반기마다 평가를 한다면 말이 안 된다. 배민 폰트가 브랜드 자산의 대표적인 예이다. 5년 간 5개 폰트의 개발 비용이 5억도 안 들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타겟층에 대해 더 잘 알게 됐고 추가적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가치가 계속 늘어났다.

컨텐츠 마케팅의 일환으로 3월에는 식재료를 탐구하는 월간지 매거진 F를 창간했다. 배달의 민족이라는 브랜드에 대해 젊은 소비자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상상하면서 만들었다. 돈을 못벌어도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매거진 B를 만드는 JOH의 조수용 현 카카오 대표와 네이버에서의 인연으로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함께 해보자는 의미로 시작했다. 매거진 B의 자매품인 셈이다.

창간호인 "소금편"은 교보문고 잡지 부문 1등을 차지하기도 했다. 2호에서 치즈를 다룬 데 이어 3호에서는 치킨을 다룰 예정이다. 최근 음식 다큐멘터리 '누들 로드'로 알려진 KBS 이욱정 PD와 함께 치킨의 인류학적 기원부터 맛과 영양을 다룬 다큐멘터리도 찍었고 8월 초에 시사회를 가질 예정이다. 치킨은 조금 더 후에 다루고 싶었는데 너무 빨리 꺼내먹은 사탕 같은 느낌이다. 앞으로도 다양한 식재료를 다룰 생각이다. 물이나 와인도 가능할 것이다.



Q. 한국은 세계 배달 시장에서 어떤 입지에 있나?

A. 배달이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라고 생각하는 한국인이 많지만 사실 배달의 민족보다 더 큰 배달업체들이 세계에 많이 있다. 영국의 딜리버루(Deliveroo)부터 독일의 딜리버리 히어로(한국에서 '요기요'와 '배달통' 운영), 중국의 얼러머(Ele.me) 등이 그 예다.

하지만 서울은 세계 단일도시로는 주문수에 있어 중국을 제외하고 최고 수준이다. 유럽 몇 개 국가의 주문 발생량이 서울의 발생량과 동일한 정도다. 서울이 너무 특이해서라기보다는 인구 1000만에 육박하는 메가시티가 세계적으로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과 비교할 만한 도시라봤자 런던, 뉴욕 정도이고, 도쿄는 일본이라 제외한다. 중국은 베이징, 상해 심천 정도다.



Q. 배달 서비스의 성장 속도는 어떠한가.

A. 성장 속도가 계속 빨라지고 있다. 작년과 재작년에 연간 70퍼센트 이상 배달거래액 (주문한 음식값의 총합)이 늘었고 올해도 작년에 비해 70프로 이상 성장할 예정이다. 엄청나게 빠른 속도다. 올 연말 즈음에는 연간 거래액이 4-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2016년에는 2조원, 2017년에는 3조원을 기록했다.

러시아 월드컵 기간에는 하루에 12만-14만건의 주문을 처리했다. 하루에 50만건이 넘었는데 이는국내 웬만한 이커머스 플랫폼과 비교해도 최고 수준이다. 그렇게 주문 규모가 한번 커지고 나면 줄어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시장의 파이가 커지고 있기도 하다. 연간 배달 시장 규모를 14-15조원으로 봤지만 배달이 되는 음식과 안 되는 음식의 구분이 사라지게 되면서 - 심지어 삼겹살도 배달이 되는 세상이 되었다 -- 그 뚝이 무너진 듯 하다.
배달업의 성장은 다양한 산업에 나비효과를 불러올 것이다. 온라인 상점을 통해 전자제품, 책, 옷을 포함한 다양한 물건을 당연하게 구입하고 있듯 음식을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것이 당연해질 것이다. 부동산 시장에도 변화가 올 것이다. 음식점의 본질은 부동산이었지만 이제는 달라지고 있다. 배달의 민족 앱을 켜면 본사가 위치한 방이동의 경우 반경 1.5킬로미터 안에 치킨집만 200개가 있다고 나온다. 하지만 실제로 찾아보면 잘 안보인다. 왜냐하면 큰 길가나 비싼 곳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는 경쟁력 있는 소형 치킨집이 BBQ나 BHC와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와 대결이 가능해졌다.



Q. 배달 시장이 발달한 만큼 한국 음식 문화에도 변화가 생겼다고 보나?

A. 한식 관련 식생활이 많이 바뀌고 있다. 고급 레스토랑 가면 한식을 한상 차림이나 코스식으로 내놓는 경우가 많아졌다.
집에서 먹는 한식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예전에는 5-7개의 반찬을 먹었는데 지금은 한두개로 간소화됐다. 설거지나 반찬통 관리,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귀찮아하는 1인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빵이 밥을 대체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밥 소비는 유지될 것이다. 대신 반찬이 밥 위에 올라가는 규동이나 참치덮밥 등의 덮밥의 형태로 대치될 것이라고 본다. 그렇게 되면 음식 제반 산업이 달리질 것이다.

한식의 특징은 모두 자극적이라 재료의 온전한 맛을 느끼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만일 밥 하나에 하나의 반찬을 먹게 된다면 소비자의 미각이 좀 더 다양해질 것이다. 단 하나의 반찬을 먹더라도 고급화될 것이다.

현재 다양한 반찬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편의점 도시락도 바뀔 것이다. 찬의 사이즈보다 단품 한 두개로 정갈하게 만들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밑반찬이나 나물, 장아찌류가 자리를 잃을 수도 있겠다.



Q. 앱을 통해 배달되는 음식의 삼분의 일이 치킨이라는데.

A. 서울 도처에 치킨집이 있다. 한국에는 맥도날드보다 치킨집이 더 많고 치킨만큼 다양한 레시피가 많은 음식이 없다. 지금 그 많은 치킨집에서 나오는 치킨을 소진하려면 하루에 1인당 두 마리씩은 먹어야 할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오늘날 치킨의 인기는 공급 과잉이 만들어냈다는 사실이다. 공급이 늘어나면서 계속 먹다보니 맛있다고 느끼게 된 것이다.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치킨집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는데 이는 그 당시 직장인들이 1-2억원의 퇴직금으로 가장 손쉽게 창업할 수 있는 자영업이 바로 치킨집이었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도 대출 기준을 완화해 치킨집 창업 열풍에 불을 지폈다. 나도 치킨을 테스트삼아 한달에 대여섯 번은 먹는다. 일반인에게는 소울푸드이지만 우리 아이들은 싫어할 정도다.

(치킨에 대한 인기에 힘입어 배달의 민족은 작년에 치믈리에 시험을 처음 시행했고 7월 22일에 2회를 치렀다. 합격자들은 배달의 민족이 최근 민간 자격증으로 등록한 '치믈리에 자격증'을 받았다. 6월에는 치킨에 관한 정보를 총망라한 '치슐랭 가이드'를 출간했고 같은 달부터 크래프트비어 브랜드 '더부스'와 협업해 치킨만을 위한 맥주인 '치믈리에일'을 전국 이마트 매장 일부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Q. 기업 운영 이외에 혁신성장 옴부즈맨, 코리아 스타트업 포럼 의장 등 여러 직책을 맡고 있다. 한국의 스타트업 분야에 대해 논할 때 혁신과 규제 문제가 빠지지 않는다.

A. 혁신에 대한 이야기는 누구나 할 수 있다. 공무원, 기자, 산업계 전반 뿐 아니라 대통령까지도 중요하다고 얘기하지만 체감되는 것은 더딘 것이 사실이다. 중간에 스타트업 몇 개가 없어지기도했지만 비슷한 이슈가 해결되지 않는다. 중국도 이미 우리를 앞서갔고 동남 아시아도 우리와 혁신속도는 비슷하다. 우리가 망할 것이라는 게 아니다. 우리도 경제대국이고 기본적으로 잘 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상대적으로 속도 측면에서 뒤쳐지는 것에 대해 우려가 된다. 중국보다 기술력에 있어 이미 5년 정도 뒤쳐졌다.

규제라는 것은 기존 사업자와 이익집단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본다. 그들의 이해관계와 충돌이 되는 부분이 규제인 것이다. 공무원도 이해를 못해 규제를 가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규제 완화 방법 중 4차산업혁명 위원회에서 제시한 해커톤이 굉장히 바람직하다고 본다. 양쪽 이해 당사자가 모여서 밤새 토론을 하는 것이다. 일단 사람들이 만나면 어떤 식으로든 상대방 이야기를 듣게 되고 해결방법을 찾아나갈 수 있다고 본다.
공무원들이 A안, B안 등의 정답을 가지고 논의하기보다 전문가로서 중간에서 중심을 잡고 어떤 결론이 나올 지 모르지만 둘 다 들어보자는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나도 의장이지만 스타트업이 하고 있는 이야기가 하는 이야기가 무조건 맞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너무 급진적인 이야기도 할 수 있고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수위 조절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은 기업의 초기 단계에 규제가 많다. 사전에 부과되는 규제를 풀고 기업 자율 책임제도 같이 가져가면서 징벌적 손해배상제 같은 사후 억제 장치를 도입해야 한다. 기업 스스로도 미묘한 규제의 줄타기에서도 사회적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Q. 스타트업 지원은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A. 한해 스타트업에 투자되는 정부 자금 규모가 상당히 큰데, 스타트업이 혁신해서 얻는 이익을 보조금으로 투입하고 정부도 현재 스타트업에 지원하는 자금을 반대쪽 이익 세력에 보조금으로 투입한다면 훨씬 더 안정적으로 돌아가지 않을까. 계속 사회적 갈등 구조로만 가는 게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Q. 최저임금 인상 및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한 생각은?

A. 지금처럼 일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점에는 모두가 동의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나 여유를 어떻게 사용할 지를 모를 뿐이다. 첫 1-3년은 여러 문제가 있겠지만 잘 풀어내야 하지 않을까. 모든 것을 한번에 끌어올릴 수는 없다.

기업이 아무리 좋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든다 해도 세상이 그렇게 행복해진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기업은 지난 100년 동안 비행기부터 자동차, 컴퓨터, 페이스북, 스마트폰 등의 제품 뿐 아니라 배달 서비스를 내놨지만 인류사 더 행복해졌나. 그건 알 수 없다.



Q. 제도적 변화가 요식업 및 음식 문화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A. 내부 지표를 보면 점점 배달음식을 많이 시켜는 추세이고 배달음식이라는 용어의 의미 또한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배달음식은 자녀에게 시켜주면 미안한 느낌이 드는 정크푸드와 동일시됐다. 이제는 품질이 좋아지고 업주도 양질의 음식 제공하려고 노력하므로 시장이 커질 것이다.
음식과 요리는 분리된 개념이다. 음식은 입에 들어가는 용도가 주된 반면, 요리는 함께 음식을 만들며 이야기를 하는 즐거움을 포함한다. 우리가 주말에 가족과 제대로 된 음식을 만드는 것은 요리에 해당한다. 하지만 음식은 노동이라는 측면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매일 반찬을 만들고 밥을 차리는 행위는 여성의 인권을 포함한 여러 측면을 차치하고서라도 반복적인 절차라 노동력의 낭비가 된다. 세탁기가 개발되기 전 빨래를 몇 시간씩 한 것과 다르지 않다. 인간은 점차 가사노동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음식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 사랑하는 사람과 추억과 이야기를 남기는 점 -- 요리는 없어지지 않는다고 본다. 앞으로 음식 산업이 더 발달할 것으로 본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배달비 유료화 및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배달 비용을 내는 것에 익숙해질 것이다. 일부 치킨 프랜차이즈들이 2000원의 배달비를 받기 시작함에 따라 요식업체들은 치열한 배달 경쟁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이제는 18000원짜리 치킨과 18000원짜리 스테이크가 동일한 비교 대상군이 되었기 때문이다.



Q. 요리도 직접 하나?

A. 주중에는 일만 하지만 주말에 아이들하고 요리한다. 계란말이, 장조림, 떡갈비, 스파게티 등을 즐겨 만든다. 전 직장에서 요리 동호회에 가입해서 두 세달 동안 일주일에 한번씩 문화센터에서 한식 요리 수업을 들었다.



Q. 올 3월 '책 읽는 방법: 폼나게 재미나게 티나게 읽기'라는 베스트셀러를 내면서 책이 인생을 바꿨다고 했다. 최근에 읽은 인상 깊은 책은?

A. 책은 틈틈이 읽는다. 아주 우연히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한 이래로 책 읽는 훈련을 했기 때문에 책읽는 방식이 어릴 때부터 많이 읽은 사람이랑 다르다. 최대한 효율적으로 읽으려 하고 맥락 핵심 내용이 뭔지를 본다. 남들보다 빨리 읽는 편이다. 최인철 교수의 '굿라이프: 내 삶을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가 있는데 행복이란 하나로 정의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행복이라는 어원부터 파고든다. 윤석만 기자의 '인간혁명의 시대'도 많은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풍부한 사료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인간의 삶이 어떻게 변화하게 될 지를 다룬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충격적이었다. 창백한 푸른 점, 먼지와 같은 지구의 존재에 대해 깨닫게 되었고 고대 철학의 근원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게 됐다. 내가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이 전복된 느낌이었다.



Q. 책 읽기 이외에 감각을 유지하게 위해 하는 일이 또 있나?

A. 인물 사진을 찍는다. 원래 사진을 좋아했고, 디자인 전공할 때 사진을 부전공했다. 군대에서는 사진병이었다. 하루에 두 세롤씩 맞아가면서 천장 이상을 찍었다. 그때는 사진에 기술적으로 접근했다.

사업이 망했을 때는 갖고 있던 카메라들을 현금화했다. 다 팔고 10년 가까이 아이폰으로 찍다가 작년에 제대로 찍고 싶어서 라이카 (Leica) 수동 디지털 카메라를 사고 나서 최근에 사람들 찍어주는 재미를 붙였다.
얼굴은 순우리말로 영혼이 살고 있는 굴이라는 뜻이다. 렌즈를 통해 바라보고 프린트해서 얼굴에 그 사람의 감정이 표현돼있는 것 볼 때의 느낌이 너무 좋다. 특히 지금 사용하는 카메라는 0.7미터에서 피사체를 찍어야 하기 때문에 셔터 누르기 전 대피사체와의 교감이 남다르다. 사진전도 생각하고 있다. (카메라에 미니언즈 캐릭터 액세서리는 피사체가 바라보게 되면 덜 긴장해서 달아뒀다. 나와 닮은 구석도 있다.)



Q. 배달의 민족은 현재 한국에서만 서비스하고 있다. 해외 진출 계획이 있나?

A. 구체적으로 진행중인 사항은 없지만 해외 시장은 문을 계속 두드리려고 한다. 딜리버루, 저스트 잇 (Just Eat) 등의 본사가 있는 런던 및 동남아를 중심으로 시장 조사를 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하려다 실패했고 일본은 이미 편의점에 다양한 음식을 팔고 있기 때문에 배달업이 잘 되지 않을 것을 안다. 동남아는 고려중이지만 한류의 도움을 받아서 진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본다. 한류가 오랫동안 지속될 지는 몰라도 한국에서 하는 서비스라고 해서 그들이 무조건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한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코리아 중앙데일리 서지은, 문소영 기자





기사원문링크: 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3051013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