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ath of daigou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death of daigou (KOR)

PARK HYUN-YOUNG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global economy team of the JoongAng Ilbo.

Last week, videos and photos of Chinese customs officers checking overseas shopping spread on Chinese portal site Baidu and messaging app WeChat. Chinese people arriving at Shanghai Pudong Airport waited in a long line to get customs clearance. Each bag was opened and checked, and inexorably high taxes were imposed on luxury goods over the duty exemption limit. One user shared a photo of a receipt paying 17,100 yuan ($2,472) for cosmetics and lipsticks going over the exemption limit.

Most of them were passengers arriving from trips to Korea and Japan. More than 100 people were caught per airplane. There was speculation and rumors that the Chinese authorities were sending a message to Chinese travelers during the country’s National Day golden week from Oct. 1 to 7 to refrain from shopping sprees abroad.

The Chinese national radio station also reported on Beijing’s crackdown. Citing a JP Morgan analyst, Bloomberg and other foreign media reported that daigou — Chinese people’s buying and selling of international products on behalf of customers in mainland China — who frequently travel to Korea were the main targets. It reminded me of the harassment of Korean retailers and distributors in the aftermath of the Thaad antimissile system deployment in Korea over the last two years.

Chinese people buy luxury goods abroad because they are 30 to 40 percent cheaper than buying them in China. But if Chinese customs strictly apply the duty free limit, the benefit will be diminished. Chinese people would naturally shop less abroad. The duty free limit for Chinese nationals is 5,000 yuan. Because the limit has not been enforced strictly, daigou merchants brought back luxury goods mostly from Korea and Japan.

As a result, Korea has been a luxury shopping destination for Chinese people. Korean branches of global luxury brands such as Louis Vuitton, Chanel and Gucci as well as Korea’s local brands made lots of money thanks to Chinese visitors. Sales of luxury goods purchased in Korea and brought to China make up 1.5 percent of the international luxury goods market.

However, these sales are vulnerable to Beijing’s policy changes. As the news of Chinese customs’ crackdown spreads, stocks of global luxury brands plummet. The shares of Kering Group, which owns Gucci and Yves Saint Laurent, fell by 11 percentage points, while LVMH Group, which owns Louis Vuitton and Dior, fell by 8 percentage points on Tuesday compared to a week ago. L’Oréal fell 4.6 percentage points and Estee Lauder dropped 3.9 percentage points. Korea’s AmorePacific fell by a whopping 17.2 percentage points, while Japan’s Shiseido dropped by 9.2 percentage points. The steeper fall of Korean companies’ reflects their heavy dependency on Chinese customers.

China’s crackdown on overseas shopping can be interpreted as a way to reduce overseas spending to boost its domestic consumption as China is struggling in the trade war with America. If China fully launches the strategy to boost domestic consumption, Korea will suffer the most. The case of AmorePacific is a good indicator. It shows how tourism and retail policies are overly reliant on China. Korea should not be the most vulnerable partner that China can bully.

JoongAng Ilbo, Oct. 10, Page 30

미·중 무역전쟁 불똥, 한국이 맞지 않으려면 박현영 글로벌경제팀장
지난주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와 소셜미디어 위챗을 타고 중국 세관이 해외 쇼핑을 단속하는 영상과 사진이 삽시간에 퍼졌다. 상하이 푸둥 공항에서 해외여행을 마치고 귀국한 중국인들이 짐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 서고, 가방을 하나하나 열어 검사받고, 면세 한도를 넘는 럭셔리 물품에 대해 거액의 세금을 맞는 모습이었다. 화장품과 립스틱 몇 개가 면세 한도를 넘었다는 이유로 세금 1만7100위안(약 280만원)을 맞은 영수증 사진도 올라왔다.
한국과 일본에서 귀국한 승객이 대상이고, 한 비행기에서 100명 넘게 걸렸으며, 중국 당국이 국경절 연휴(10월 1∼7일)에 해외여행 간 중국인들에게 해외 소비를 자제하라는 메시지를 전한 것이라는 추측과 소문이 나돌았다. 중국 국영 라디오방송도 단속 강화 현장을 보도했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JP모건 애널리스트를 인용해 “한국을 오가는 다이거우(代購·구매대행)가 주요 타깃”이라고 전했다. 몇 년 동안 한국 유통·소매업계를 괴롭힌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사태가 떠오르는 대목이다.
중국인이 해외에서 명품 쇼핑을 하는 이유는 중국에서보다 가격이 최고 30~40% 싸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국 세관이 면세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가격 혜택이 사라지게 된다. 중국인의 해외 쇼핑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중국인의 해외 쇼핑 면세 한도액은 5000위안(약 75만원)이다. 하지만 그간 세게 단속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일본 등지에서 럭셔리 상품을 사 나르는 다이거우가 성행했다.
그 덕분에 한국은 중국인들의 럭셔리 쇼핑 장터가 됐다. 한국 브랜드는 물론 루이비통·샤넬·구찌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한국 지사도 중국인 덕분에 돈을 벌었다. 한국에서 사서 중국으로 건너가는 명품 매출액이 세계 럭셔리 시장 규모의 1.5%에 이른다니 제법 큰 시장이다. 하지만 그만큼 중국의 정책에 따라 취약할 수밖에 없다. 당장 중국 세관의 단속 소식이 알려지자 글로벌 럭셔리 업체 주가가 일제히 폭락했다. 구찌·이브생로랑 등을 보유한 케링 그룹 주가는 5.4%, 루이비통·디오르 브랜드를 보유한 LVMH 그룹은 4.9% 내렸다. 프랑스 로레알은 3.6%, 미국 에스티로더는 5% 하락했다. 국내에서는 아모레퍼시픽 주가가 16% 떨어졌다. 하락 폭이 글로벌 럭셔리 업체보다 크다. 3.6% 하락한 일본 시세이도와 비교해도 그렇다. 중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해외 쇼핑 단속은 미·중 무역전쟁에서 밀리고 있는 중국이 내수 진작을 위해 해외 소비를 줄이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중국이 내수를 키우기 위한 전략이 전면적으로 현실화하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나라는 한국이 될 것이다. 아모레퍼시픽 사례가 말해 준다. 중국만 바라보는 관광·유통 정책이 왜 하루빨리 바뀌어야 하는지 보여준다. 중국이 ‘몽니’를 부릴 수 있는 가장 취약한 상대가 되어서는 안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