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the playing field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vel the playing field (KOR)

KIM KYUNG-JIN
The author is an industri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Mystery 1 — Korean game companies do not release games through Korean app stores. Instead, they use Google’s Play Store. There is a widespread belief that releasing a game on the domestic app market, such as One Store, will lead to a disadvantage in the search and game recommendations in the Google Play Store.

Mystery 2 — YouTube, a Google subsidiary, has more than 80 percent of Korea’s video market, and yet it will be excluded from the copyright fee increase next year because it does not “transmit sound” but distributes “video.” Music providers like Melon asks if they will also be exempt if they start distributing sound and video.

Mystery 3 — When a user downloads Kakao Talk’s emoticons on a mobile device, Google takes 300 won (26 cents) out of the 1,000 won fee. However, any download on the PC version does not give Google a penny.

These cases don’t make sense, and they are all related to global internet giant Google.

The third mystery is the most serious. It reveals the extent to which major Korean companies like Kakao are dependent on Google’s mobile ecosystem.

In the mobile market, Google takes 30 percent of all profit from in-app purchases made within the downloaded apps. Companies like Kakao have their own online payment systems, but also must use Google’s payment system. But Kakao does not insist on using its own payment system because of Google’s mighty influence. In fact, when Kakao opened its own game shop in 2016, the Kakao Taxi app was removed from the Google Play Store.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has had taken a hands off approach as there is no legal grounds to intervene in Google’s business. Industry insiders say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understand the problem and lacks the will to improve it. The Fair Trade Commission has been investigating Google’s unfair practice since 2016, but there haven’t been many changes.

The ICT industry distrusts the government and has given up hope. In the game industry, people say that reporting Google’s alleged unfair practices is pointless, because not much will change and only their lives will be ruined.

The government must listen to the voices of different industries and set up guidelines for different areas. A level playing field and a fair referee are needed.

JoongAng Ilbo, Oct. 23, Page 29

구글의 횡포, 정부는 불구경만 할 것인가 김경진 산업팀 기자
# 미스터리 하나. 국내 게임 회사가 국내 앱스토어엔 게임을 출시하지 않는다. 대신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를 이용한다. 원스토어 같은 국내 앱 마켓에 게임을 출시하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검색·게임 추천에서 불이익을 당한다는 인식이 만연해 있어서다.
# 미스터리 둘. 국내 동영상 시장 점유율 80%를 넘어선 유튜브(구글 자회사)는 내년 시행되는 음원 저작권료 인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음원 전송’ 회사가 아닌 ‘동영상’ 유통 회사란 이유에서다. 멜론 같은 음원 회사에서 “우리도 그러면 동영상으로 음원을 유통하면 되는 거냐”는 얘기가 나온다.
# 미스터리 셋.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모바일로 다운받으면 1000원 중 300원은 구글이 떼간다. 그런데 PC버전으로 이모티콘을 다운받으면 구글 몫이 ‘0원’이다.
상식에도 형평성에도 어긋나 보이는 이런 일들이 현재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에서 버젓이 일어나고 있다. 모두 글로벌 인터넷 공룡 구글과 관련된 일이다.
세 번째 미스터리는 가장 심각하다. 카카오 같은 국내 대기업도 구글의 모바일 생태계에 종속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여준다. 모바일 시장에서 구글은 ‘인앱 결제(앱 안에서 결제)’ 방식을 통해 다운로드 이후에도 앱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에 대해 30%를 가져간다. 카카오처럼 자체 결제 시스템이 있는 기업도 구글의 결제 시스템을 써야 한다. 그런데도 카카오가 ‘자체 결제 시스템을 쓰겠다’고 하지 않는 건 구글이 국내 모바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그만큼 막강해서다. 실제 카카오는 2016년 자체 게임 숍을 열었다가 카카오 택시 앱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삭제되는 등 크게 덴 적이 있다.
상황이 이 지경인데도 정부는 그동안 사실상 손을 놓다시피 했다. 구글이 벌이는 사업에 개입할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업계에서 “문제 인식도 개선 의지도 없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그나마 공정거래위원회가 2016년부터 구글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서 조사에 나섰지만 지금까진 이렇다 할 성과를 내놓지 못했다.
ICT 업계엔 정부에 대한 불신과 체념이 자리를 잡았다. 게임 업계에선 공정위에 구글의 불공정 혐의를 고발하는 것과 관련, “고양이(구글) 목에 방울 달기” “부처님(구글) 손바닥 안” “달라지는 것도 없이 내 인생만 쪽박 찬다” 등 자조 섞인 말을 한다. 정부는 각 업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분야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최소한의 ‘평평한 운동장’과 ‘공정한 심판’은 필요하기 때문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