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o shape a futur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ime to shape a future (KOR)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Tuesday ordering a Japanese steel company to pay delayed compensation for the Korean workers it forced to work hard and underpaid labo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rought comfort to the aged victims. The decision nevertheless can shake the framework of the basic treaty on which the two countries normalized their diplomatic ties in 1965. Despite the strong ramifications and protests from Japanese officials, Seoul further irked Tokyo by notifying it of a plan to disband a foundation Japan set up and committed to donating $9 million to in order to help surviving victims and their families and put an end to the strife over sexual slavery in 2015.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rejected the Korean Supreme Court ruling, calling it unacceptabl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law. Japanese Foreign Minister Taro Kono lodged a formal complaint about the verdict, saying it fundamentally overturned the legal basis for the diplomatic relationship framework of 1965. Kono asked his Korean counterpart Kang Kyung-wha to demand proper steps in consideration of the “gravity” of the issue. Kang answered that the government will come up with measures in respect to the judiciary decision.

Japanese media of both right and left criticized Korea for outrightly disrespecting previous diplomatic treaties and agreements. The Asahi Shimbun, which is usually critical of its government’s attitude towards past aggressions, said in an editorial that the case will not only sour bilateral ties, but all the “neighborly” efforts that have been made to date. Given the mighty influence of the president, the judiciary can be easily swayed by public opinion, it claimed. Most media questioned the credibility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placing popular opinion above agreements between states.

The 1965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s compromised of four agreements defining bilateral relationship and wartime compensations and had its eyes on the future. But the relationship has not gone forward, mired by different views regarding issues of the past.

The external environment has become murky due to little progress in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nd the trade war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two governments that share common democratic and free market values must muster wisdom to find a way to compromise and shape a new future.

JoongAng Ilbo, Nov. 1, Page 30

위기의 한·일관계,미래 향해 지혜 모을 때
‘일본 기업은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의 후폭풍이 만만찮다. 이번 재판은 일제의 반(反)인도적 불법 노역에 시달리고도 외면받았던 강제노역 피해자들의 77년 한(恨)을 씻어준 판결이지만, 동시에 지금의 한·일 관계를 있게 한 ‘1965년(수교) 체제’를 뒤흔드는 성격이 짙다. 이로 인한 파장과 숙제가 우리 앞에 놓였다고 하겠는데, 지난주 조현 외교부 1차관이 한·일이 합의해 조성한 ‘위안부 재단’ 해산까지 일본 측에 통보했다고 한다. 걱정이 크다.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발한 아베 총리에 이어 어제 고노 외무상은 “65년 국교 회복 이래 양국 관계의 법적 기반을 근본부터 손상하는 것이라 일본은 무겁게 보고 있다”고 항의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다. 고노는 “한국정부가 중대성을 감안해 의연하게 대응해달라”고 요구했고, 강 장관은 “사법부 판단을 존중하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고 한다.
주목되는 건 일본의 언론이 진보·보수 구분 없이 한국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안에 따라 자국 정부를 비판했던 아사히도 “관계의 전제가 무너졌다”며 “한국은 대통령이 사법기관 포함 모든 것을 쥐는 제왕적 권한을 가지고 있고, 정치도 여론에 영합하기 쉬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대부분 언론이 ‘한국이 국가간 합의,약속보다 여론을 더 신경쓰고, 정권에 따라 법 기준도 달라진다’고 비판했다.
돌이켜 볼 때, 65년 두 나라가 맺은 ‘기본관계조약’과 청구권 합의 등 4개 협정은 한국의 미래, 그리고 한·일관계의 미래를 보고 한 합의였다. 특히 올해는 양국 관계를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파트너십’으로 한 차원 높인 ‘김대중-오부치 선언’20주년이다. 북핵과 함께 미·중 무역 전쟁 등 대외 환경이 녹록지 않은 때다. 동북아에서 민주주의와 시장가치를 함께 하는 한·일 두 나라가 또한번 미래를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