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ledgehammer won’t help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sledgehammer won’t help (KOR)

The sixth largest Korean stock with a market value of 22 trillion won ($19.6 billion) could actually be delisted after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the decision-making board of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concluded that Samsung BioLogics intentionally breached accounting rules. Most analysts believe the company is unlikely to be expelled from the Kospi bourse, but shareholders are nevertheless fretful about the money they’ve invested in the company. If the value of their holdings is depreciated, they could file a class action lawsuit against the company. The contract drug maker, which was on a path to becoming the largest in the world in capacity, could also lose credibility and customers. Since ethical standards have become important to multinational drug brands, the stigma of accounting fraud could cost it future orders.

Samsung BioLogics denies any wrongdoing and is threatening an administration lawsuit. Although the fault obviously lies within the company’s suspicious books, the authorities’ handling of the case has also raised questions.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shot down the allegation when civic activist groups first raised the issue in late 2016. It embarked on a special probe when the Samsung Group de facto CEO was implicated in the bribery and influence-peddling scandal of ousted President Park Geun-hye and ahead of the snap election in May 2017. Under the liberal government that was elected, which has many key officials recruited from civic activist groups critical of Samsung and other chaebol, the FSS finding was reversed.

The ramifications of the burgeoning bio engineering industry are worrying. That sector has to take a lot of risks and spend a lot on R&D and capital investments for many decades to get ahead in such a cutting edge industry. A blockbuster invention is rare even after years of research and investment. Because of the high risk and frequent failures, it is hard to decipher the value of such companies’ assets. Hedging against risk becomes crucial, making bookkeeping and accounting complicated.

A rigid application of accounting standards based on the norms for traditional industries can be unfair to a risk-taking sector. Conservative bookkeeping can dampen R&D activities. Authorities should ensure transparency in accounting and auditing, but nevertheless should take the industry’s unique features into consideration. It is also an international norm that judgments should be made in favor of a company in a situation in which various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The Korean bio sector has been in a lengthy slump since the scandal by stem cell scientist Hwang Woo-suk in 2005. Regulations were toughened and investment drained away, putting Korea’s stem research behind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But drug makers pushed on with their projects and earned investors’ confidence, making a rising growth engine for Korea. With Samsung, SK, and LG joining the game, bio has achieved economies of scale and global recognition. The government also promised full backing to raise Korea’s share in the global bio market to 5 percent by 2025 from the current 2 percent. The industry is still at a tender stage. Authorities should be careful lest the accounting scandal put a damper on the industry.

JoongAng Ilbo, Nov. 16, Page 30

분식회계 논란 속 바이오 미래 싹까지 자르면 안 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 처리가 고의적 분식이었다는 증권선물위원회의 결론이 큰 파문을 낳고 있다. 시가총액 22조원의 코스피 시장 6위 기업 삼성바이오는 당장 매매가 정지됐고, 상장폐지 심사까지 받게 됐다. 상장폐지까지는 가지 않으리란 관측이 우세하지만 결론이 날 때까지 투자자들의 돈은 묶이게 됐다. 경우에 따라서는 투자자들의 대규모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어 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신인도 하락에 따른 기업 활동 위축도 우려스럽다. 최근 바이오 기업의 주요 고객인 글로벌 제약사들이 윤리성을 중시하는 추세여서 '분식 회계' 낙인이 해외 수주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삼성바이오는 "국제회계기준(IFRS)에 따른 처리였다"며 행정소송에 들어가기로 해 최종 결론은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게 됐다. 분식회계 여부는 논쟁거리지만 금융 당국의 행보에 대해서도 뒷맛이 개운찮다. 2016년 말 참여연대 등에서 분식회계 의혹을 제기했을 때는 '문제없다'고 결론 낸 금융감독원이었다. 하지만 정권 교체가 확실시되는 대선 직전 특별감리에 착수해 결론을 뒤집었다. 180도 뒤바뀐 판단에 정치적 압력이나 배경이 작용하지 않았겠느냐는 의혹이 따를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제 막 자리 잡은 바이오산업의 위축 가능성이다. 바이오는 특성상 초기에 큰 리스크를 안고 짧게는 수년, 길게는 10년 이상 대규모 장기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 모험 산업이다. 장기간 돈만 쏟아붓다 성공적 개발 하나로 대박을 터뜨리기도 한다. 성공과 실패의 진폭이 크고, 자산 가치 책정이 어려워 종종 거품 논란이 일기도 한다. 리스크 분산을 위해 각종 옵션 계약 같은 다양한 투자 기법이 동원되는 이유다. 이를 둘러싼 회계 처리도 애매하고 복잡해졌다.
이런 특성을 무시하고 경직된 회계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초기 모험 산업의 싹을 자르는 우(愚)가 될 수 있다. 보수적 회계 처리가 연구·개발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경계해야 한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회계의 투명성 원칙을 지키면서도 산업 특성을 고려하는 회계·감리 운용의 묘를 기대해 본다. 국제회계기준도 여러 각도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기업에 유리하게 해석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산업은 2005년 '황우석 사태'로 10년 가까이 암흑기에 빠졌었다. 규제가 강화되고, 투자와 산업 육성 정책이 대폭 줄며 줄기세포 주도권마저 미국·영국·일본에 넘겨 준 아픈 기억이 있다. 이를 극복한 힘은 국내 기업의 적극적 기술 개발과 투자자들의 관심이었다. 지금은 삼성·SK·LG 같은 대기업까지 뛰어들며 바이오·제약산업이 국가 신성장 모델로 떠올랐다. 정부도 바이오 헬스 세계 7대 강국 도약을 선언하며 한국의 세계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현재 2%대에서 2025년 5%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그러나 아직은 척박한 환경에서 겨우 싹을 틔우는 단계다. 미래 먹거리 산업의 싹이 결실도 보기 전에 분식회계 논란으로 시들어 버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