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jor shareholder or speculato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ajor shareholder or speculator? (KOR)

MOON HEE-CHUL
The author is an industry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Sealed Air Corporation in the United States manufactures bubble wrap packaging. On Dec. 5, 1989, the company paid a $0.4 per share cash dividend. It was two to five times the usual year-end dividend of between $0.08 and $0.16. Stock investors flocked when they learned of the large payout. Its stock price more than doubled, from $1.41 to $2.86.

But the hefty dividend was poisonous. The company could not afford it with its profits. Instead, it got loans to pay the shareholders. When the company made money, it had to pay off the debts. A restructuring followed.

The foreign funds’ latest activities reminded me of this case 30 years back. Elliott Management Corporation demanded a high dividend payment from Hyundai Motor and Hyundai Mobis, a subsidiary of Hyundai Motor. If the demand is accepted, Hyundai Motor would have to pay 5.8 trillion won ($5.1 billion) and Hyundai Mobis 2.5 trillion won, a total of 8.3 trillion won. The combined net profits of the two companies was 3.533 trillion won last year.

There are pros and cons to dividends. Companies can secure funding when earnings are paid out. But a big divide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gain for the shareholders. Those who invested for a company’s growth potential could suffer a loss as R&D or facility investment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decrease. In fact, when the dividend trend tripled from 13.5 percent in 2010 to 28.9 percent in 2016 in Korea’s security market, facility investments decreased by 68.2 percent, from 43.8 trillion won to 13.9 trillion won.

As Elliott Management intervenes in the management restructuring process of the Hyundai Motor Group, it is estimated to have suffered a 200-billion-won loss while attempting to boost its investment profit. The company’s demand for a higher dividend seems to be a strategy to make up for its investment loss. But its effort to take a high dividend at the cost of the growth potential of the company could lead to a greater loss. In fact, Sealed Air Corporation did not pay a dividend for 16 years until 2006.

If a company’s profit increases and its value goes up, its stock price can rise and investors can profit from the difference.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the appropriate size of dividends. But most experts agree that a dividend two to three times the operating profit will put a strain on the company. In a letter to Hyundai, Elliott Management introduced itself as the major shareholder of Hyundai Motor and Kia Motors. A major shareholder should be interested in the long-term growth of the company, as well as profits. The stock owner, who watches the price graph and puts in a stop-loss order, is not a major shareholder but a speculator.

JoongAng Ilbo, March 1, Page 29

엘리엇, ‘중요 주주’인가 '투기꾼'인가 문희철 산업1팀 기자
미국 실드에어 코퍼레이션은 일명 ‘뽁뽁이’로 부르는 비닐 포장재 생산 기업이다. 1989년 12월 5일 실드에어 코퍼레이션은 주당 0.4달러의 대규모 현금배당을 한다. 통상 연말배당(0.08~0.16달러)의 2~5배 수준이다. 대규모 배당 소식이 알려지자 주식투자자가 몰렸다. 1.41달러였던 주가도 2배(2.86달러) 뛰었다. 대규모 배당은 독이었다. 기업의 체력(이익)이 안 되는데도 무리하게 대출해 배당금을 지급했다. 돈을 벌어도 대출 갚는 데 급급했다. 실적이 따라주지 못하자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어졌다.
요즘 외국계 펀드의 공세를 보면 30여년 전 사건이 떠오른다.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주주 자격으로 현대차·현대모비스에 고배당을 요구했다. 이를 수용하면 현대차(5조8000억원)·현대모비스(2조5000억원)는 8조3000억원을 지급해야 한다. 양사의 지난해 순이익 합계는 3조5332억원이었다.
배당은 장단점이 있다. 자본을 댄 주주에게 성과를 충분히 배분해야 기업도 자본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배당을 많이 한다고 주주에게 반드시 이익은 아니다. 성장 잠재력을 믿고 장기 투자한 사람에겐 손해가 될 수 있다.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이나 설비투자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가증권시장에서 배당성향(13.5%·2010년→28.9%·2016년)이 3배 정도 뛸 때 시설 투자는 68.2%(43조8000억원→13조9000억원) 감소했다.
엘리엇은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 개입하면서 투자수익을 끌어올리려다 2000억원가량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3월 22일 주주총회에서 고배당을 요구하고 있는 것도 투자손실을 만회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침해하면서까지 배당금을 받아내겠다는 생각은 오히려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실드에어 코퍼레이션은 2006년까지 16년 넘게 단 한 푼도 배당을 하지 못했다.
배당보다 영업이익을 늘려 기업 가치가 상승하면 주가도 올라 시세차익을 거둘 수도 있다. 적정 배당 규모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하지만 일 년 동안 벌어들인 돈보다 2~3배 많은 배당은 기업의 발목을 잡는다는 주장에는 대부분의 전문가가 동의한다. 엘리엇매니지먼트는 2월 28일 서신에서 자신들을 ‘현대차·기아차의 중요 주주’라고 소개했다. 중요한 주주는 이윤과 더불어 일자리·가치창출 등 기업의 장기적 성장에 관심을 갖는다. 오로지 주가 그래프만 보면서 주판알을 튕기다 손절매하는 주식 보유자는 ‘중요 주주’가 아니라 투기꾼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