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serving the nation’s studen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t serving the nation’s students (KOR)

Although educators will not publicly admit it, many students in Korea go to schools to sleep. Parents would be deluding themselves if they cannot imagine their child dozing off during class. Many Koreans who have studied abroad have been surprised to find that few students, if any, fall asleep during class. They may not be concentrating, but at least they do not outright lay their heads on their desks. Few teachers would choose to ignore them by thinking they are better off sleeping. A normal teacher would ask if there was something wrong.

There may be many reasons why Korean students cannot stay awake during class. They may be bored by the tedious lecture or lack of sleep because of the time they spent attending private academies. But it is a serious problem if students opt to sleep if they cannot keep up with their classes. Public education has the duty to provide basic education to every student.

A recent academic standard evaluation released by the Education Ministry can explain why so many students sleep in class. Among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11.1 percent failed to meet the basic mathematical standard, up from 7.1 percent a year ago. The deficiency share in English skills rose to 5.3 percent, from 3.2 percent. The findings suggest there are students in each class that lack basic math and English skills. These students can hardly be expected to keep up in class.

Many of those underperforming students come from a family environment that cannot provide enough support. Students can give up on their studies if their performance stays neglected amid ignorance or indifference from parents or guardians. Poverty can be handed down and inequalities can grow, contrary to the liberal government’s focus on equality.

Public education must do its job so that poverty and family circumstances do not hamper schooling and strip opportunities from young people. The nation is neglecting its responsibility if students do not get proper schooling because they could not keep up.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every citizen has the same right to rece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capacity.

There must be a more accurate assessment to come up with suitable policy. The latest finding was based on an evaluation of 3 percent of students nationwide.

Progressive education superintendents may resist broad aptitude evaluation in protest to scoring schools. But that is like refusing a medical checkup for fear of learning about an illness.

Educators have a bigger responsibility to help students who fall behind, not those who keep ahead. They must pay attention to each student so that they do not give up. Schooling based on performance could also be an idea. Educators and schools must ask themselves who the class exists for.

JoongAng Ilbo, April 2, Page 30

'공부 포기 학생' 양산하는 교육 … 국가 책임 방기다
교실에서 잠자는 학생이 많다. 한국의 교육행정가ㆍ교사ㆍ학생이 모두 아는 불편한 진실이다. 부모는 모를 수 있다. 하지만 내 아이는 아닐 것이라는 믿음은 허망한 현실 부정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 학생이 외국 중ㆍ고교에 유학 갔을 때 놀라는 것 중 하나가 수업 시간에 잠자는 학생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모든 학생이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놓고 책상 위에 엎드려 있는 학생, 그런 모습을 보고도 ‘수업 방해하지 않고 자는 게 차라리 낫다’는 태도로 방치하는 교사는 보기 드물다. “어디 아프니?”라고 묻는 게 정상이다.
지루한 설명 위주 수업, 밤까지 이어지는 사교육으로 인한 수면 부족 등 학생들이 졸음을 피하기 힘든 다양한 이유가 있다. 이처럼 당장 바꾸기 어려운 현실의 문제가 있지만, 기초 실력 부족으로 수업을 따라갈 수 없는 학생이 공부를 포기하고 엎드린 것이라면 그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읽기ㆍ셈하기 등의 기초학력은 공교육이 반드시 책임져야 하는 ‘국민교육’이다.
교육부가 최근 공개한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왜 이렇게 학교에서 잠자는 학생이 많은지를 설명해 준다. 중학교 3학년 중 수학 기초학력 미달자가 1년 새 7.1%에서 11.1%로 늘었다. 영어는 3.2%에서 5.3%로 증가했다. 기본 연산을 못 하고, 기초 영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다는 얘기다. 이런 학생들에게 ‘진도 나가는’ 수업은 고문과 다름없다.
기초학력 미달자 중 상당수는 부모를 포함한 가족이 학생 학업에 관심 갖기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한다는 것은 이미 여러 조사를 통해 드러난 사실이다. 학습 부진 상태를 보호자가 알지 못하거나 알고도 방치하는 가운데 ‘공부 포기 학생’이 속출한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세습’될 가능성이 큰, 평등을 강조하는 '진보 정부'가 가슴 아파해야 할 현실은 이렇게 계속된다.
가난이나 가정환경이 미래 세대의 꿈을 가로막지 않도록 하려면 공교육이 ‘기본’은 책임져야 한다. 어떻게든 영포자(영어 포기 학생)ㆍ수포자(수학 포기 학생)를 줄여야 한다. 기초 실력 부족 때문에 좌절하고 주눅 든 학생을 그대로 학교 밖 세상으로 보내는 것은 국가의 책임 방기다. 헌법 31조에는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적혀 있다.
우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교육부가 이번에 내놓은 것은 전국 학생 중 3%를 표본으로 삼아 평가한 결과다. 따라서 지역별, 학교별 기초학력 미달 실태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성취도 평가를 해야 보다 분명한 진단이 가능한데, 교육감들을 비롯한 진보 진영 교육계에서 지역ㆍ학교 줄 세우기라며 반대해 교육부가 나서지 못한다. 건강 상태에 따른 불이익을 얻을까 봐 건강검진을 못 하게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교육부ㆍ교육청ㆍ학교ㆍ교사는 실패를 인정해야 한다. 공부 잘하는 학생 더 잘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뒤떨어진 학생이 힘내도록 하는 게 교육자의 진짜 실력이다. 보충수업이나 방과 후 수업을 활용해 공부 포기 학생을 한 명이라도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수준별 수업을 부활시키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 무엇을 위한 학교인지, 누구를 위한 교사인지 진지하게 자문해 보라.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