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cent hast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ndecent haste (K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on Monday swiftly accepted former Justice Minister Cho Kuk’s request to return to the prestigious Law School, where he was teaching criminal law before his appointment as senior Blue House secretary for civil affairs in 2017 and justice minister in August. SNU granted re-admission to Cho immediately after he resigned as justice minister on Monday.

Before leaving the Justice Ministry, Cho said he was sorry for all the controversy about his family, which is being investigated on a raft of suspicions. But he has once again infuriated the young generation that resents the kind of privileges his children received from universities. We are dumbfounded at the way the top-caliber university handled the situation.

Cho took a 24-month leave from the law school after being appointed presidential secretary for civil affairs shortly after the launch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 May 2017. After resigning as secretary in July, he returned to the school on Aug. 1. Then, after Moon appointed him justice minister on Sept. 9, he once again quit the law school. Now he has returned to the campus. The critical damage to his reputation from his alleged involvement in his daughter’s suspicious admission to Korea University — or the pain he inflicted on SNU and its students — did not matter. Cho did not make any apology to members of the university before returning to the school.

SNU students are expressing outrage at his brazen attitude, as seen in the cynical reactions from the university’s exclusive online community. A student ridiculed Cho for using the school as insurance, while another student wondered if a professor, now a suspect in a criminal case, should teach criminal law at the law school. In a poll conducted by SNULife, an online community, 93 percent opposed his return to school while only 4 percent endorsed it.

SNU’s reaction to Cho’s return is utterly disappointing.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university accepted his application for return just two hours after he sent the request via fax, and approved it on the following day electronically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all the shame Cho put on the reputation of the top university.

SNU says there is no problem, as it followed a legitimate procedure. But such an explanation is devoid of any consideration of the gravity of the issue and cannot be accepted. The university even skipped the essential process of collecting internal opinions from students and professors on campus. Why such a hurry? Experts attribute it to the university’s need to pay he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down the road.

Professor Cho has no obligation to teach or write an academic paper this semester, and yet he receives over 8 million won ($6,726) in his monthly paycheck. Who else enjoys such a free ride in this country? Despite his deft way of returning to campus, Cho did not report to work on Wednesday. Students enraged by his double standards are planning to stage a rally in front of his office. We hope SNU does not brush them off — as it has an elementary sense of decency.

JoongAng Ilbo, Oct. 17, Page 30

조국의 '팩스 복직' 덥석 받아준 서울대 당국, 부끄럽지 않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지난 14일 장관직 사퇴 직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에 복직 신청서를 황급히 제출했고 서울대는 어떤 진지한 성찰이나 논의도 없이 곧바로 수용했다. 장관직을 사퇴하면서 "상처받은 젊은이들에게 정말 미안하다"고 말했지만, 사직서 잉크도 마르기 전에 청년들의 뒤통수를 다시 때린 셈이다. 개선장군처럼 복귀한 조 교수의 뻔뻔스러운 행태야 그렇다치고 서울대 당국의 영혼없는 판단이 더욱 큰 문제다.
조 교수는 2017년 5월 민정수석으로 발탁되면서 교수직을 2년 2개월여 휴직했고 청와대를 나오면서 8월 1일 복직했다. 이어 9월 9일 장관에 임명되자 다시 휴직원을 냈고, 장관직을 사퇴하면서 36일 만에 복직했다. 8월 1일부터 따지면 불과 70여일 동안 복직·휴직·복직을 아무런 제재 없이 거듭했다. 딸의 입시 비리 등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되면서 교수로서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었고 학교와 학생들에게 엄청난 누를 끼쳤지만 복직 과정에서 서울대 구성원들에게 일언반구 사과조차 없었다.
복직 사실이 전파되자 서울대 내에선 반발과 분노가 터져 나오고 있다. 학생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는 "(조 교수에게는) 학교가 보험이다"거나 "피의자 처지인 교수가 로스쿨에서 형법을 가르쳐도 되나" 등의 비난이 쏟아졌다. 복직 찬반 투표가 한 달간 진행 중인데 16일 오후 기준 93%가 반대했고 찬성은 4%에 그쳤다.
무엇보다 서울대 당국의 대응은 최고 지성 국립대라는 명예에 걸맞지 않게 실망스럽다. 조 교수가 사퇴한 당일 오후 5시 38분 문재인 대통령이 면직 안을 재가했다. 그러자 그는 20분 만인 오후 6시쯤 팩스로 복직 신청서를 냈다. 서울대 교무처는 업무 시간이 지났는데도 이례적으로 오후 8시쯤 결재했고, 개교기념일이라 학교가 휴무한 15일에는 박찬욱 교육 부총장이 자택에서 오전 11시쯤 전자결재로 복직을 최종 승인했다.
서울대 측은 국가공무원법에 따라 처리해 절차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형식 논리일 뿐 나라를 뒤흔든 조국 사태의 엄중함을 고려하면 공감하기 어렵다. 학내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논의하는 모양새조차 갖추지 않았다. 뭐가 그리 급했는지 묻고 싶다. 서울대의 '조국 수호' 행태는 교육부 눈치 보기라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조 교수에게 이번 학기에는 강의 의무가 없고 논문 게재 등 연구 의무도 없다. 그런데도 승진·재임용과 관련된 단과대학 단위의 통상적 평가 대상엔 포함된다. 약 800여만원이 넘는 교수 월급도 고스란히 챙긴다. 의무는 없고 권리만 주어지니 무임승차 논란도 거세다.
조 교수는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한 복직은 대단히 민첩하게 진행했지만 16일에는 출근도 하지 않았다. '사이비 진보'의 거듭된 사익 챙기기에 분노한 학생들은 그의 연구실 앞에서 복직 반대 시위를 할 계획이다. 아무 일 없다는 듯 서울대 당국이 가볍게 처신할 때가 결코 아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