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step back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ne step back (KOR)

KIM SUNG-TAK
The author is a Lond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Road construction went on for months in a residential neighborhood in London. I had hoped the chronic bottleneck would be eased afterwards. The road blocks were removed recently. I was surprised to find the roads were further narrowed to widen the pedestrian walkway. Although the design must have been for safety, I found the idea of converting car roads into walkways bewildering.

I bring this up to discuss Korea’s fiery and impetuous cyber community culture. Korea is world’s most connected society, and most get their news through internet portal sites. These portals list the most read news based on the traffic on viewership and the train of comments. The most searched words are ranked at the front page. Such digital platforms do not exist in Europe. Google links readers to news organizations and does not post or edit news. Readers can write comments on each article, but to do so, they must log in and write their real name.

Comments have gone beyond free expression of opinions. Another celebrity has cut her life short after battling cyberbullying and attacks. Rivaling fronts competed with banners for or against former Justice Minister Cho Kuk in flame wars. Many rant out vulgar language and anger on the Internet. They resort to tone and language they would never dare to use in real life.

The mainstream debate spaces have become dysfunctional. Rivaling politicians are too absorbed in themselves to sound convincing. The legislature is no longer serving as a place for discussion. The media no longer delivers diverse opinions or referees opposing views. The ideological fronts have broken down into either conservative or liberal or pro or against Cho and attack anyone on the other side. The fissures are filled by obnoxious anonymous postings and comments.

European states institutionalized strong measures against mean internet postings. Since they cannot punish individuals, they place responsibility on platform providers. Germany last year passed a law that can levy a maximum of $53 million on hate speech, criminal material and fake news on social networks. Such content began to be removed from Twitter and Facebook. The regulation does not apply to personal messaging platforms. Since portal sites make money from the masses, they too should become responsible. Media organizations who also carry comments should be no exception.

Britain in 1986 enacted the Public Order Act. Any expression that can sound threatening and slanderous can lead to fines and punishment. It makes no exception for speech on social networks and online spaces. Racial or religious discrimination can lead to two years in prison. Korean politicians may not like such a harsh law. But some things must go backwards, like the British who narrow car roads to make way for walkways.

김성탁 런던특파원
런던 주택가 도로에서 몇 달간 공사가 이어졌다. 막히던 구간이라 공사 후 차량 흐름이 빨라질까 기대했다. 며칠 전 도로를 막던 시설이 치워졌는데, 깜짝 놀랐다. 차로 하나를 없애고 인도를 넓혀놓았기 때문이다. 학교 주변이라 안전을 고려한 조치로 보였지만, 차로를 인도로 바꾼 영국의 판단은 낯설었다.
도로 공사 얘기를 꺼낸 것은 한국의 폭주하는 인터넷 문화 때문이다. 정보통신 강국 한국에선 대다수가 포털사이트에서 뉴스를 보고 댓글을 단다. 포털은 댓글이 많은 뉴스, 실시간 검색어를 순위별로 노출한다. 유럽에는 한국 포털 같은 디지털 플랫폼 자체가 없다. 구글이 뉴스를 소개하지만 해당 언론사로 연결될 뿐이다. 언론사 사이트에서 댓글을 달 수 있는데, 소셜미디어로 로그인하거나 실명 회원 가입이 필요하다.
댓글이 국민 의견의 일단을 보여주지만, 한참 도를 넘었다. 악풀을 견디다 못한 유명인이 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조국 논란' 와중에는 실시간 검색어와 특정 성향 댓글을 상위에 올리려는 경쟁까지 벌어졌다. 특히 욕설 등 저급한 표현을 쓰며 감정의 쓰레기를 던져놓은 것 같은 댓글이 문제다. 자기 자식이 보고 있어도 할 수 있는 말을 온라인에서도 해야 한다.
공론의 장으로 역할 하던 주체들은 무너지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공방전을 벌이느라 어느 한쪽 의견에 힘이 실리지 않는다. 그렇다 보니 국회가 여론의 용광로 구실을 하지 못한다. 다양한 입장을 소개해온 언론도 여론에 미치는 영향과 조율 기능이 급격히 떨어졌다. 시민사회나 학계도 마찬가지다. 진보와 보수, 조국 지지와 반대 등으로 갈린 진영 논리는 다른 입장을 가진 이들과 정치권, 언론, 지식인 모두를 저주의 대상으로 몰아넣었다. 이 균열의 틈새를 댓글이 메웠다.
표현의 자유라 할지 모르지만 유럽 국가들은 강력한 제재를 도입했다. 다수를 규제할 수 없으니 플랫폼 제공 기업에 책임을 지운다. 독일은 혐오 발언이나 가짜 뉴스를 방치하는 소셜미디어 기업에 최고 600억원가량을 물리는 법안을 지난해 초 시행했다. 그러자 벌금이 무서운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문제 게시물을 삭제했다. 이런 규제는 개인 간 메신저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한국 포털 기업도 댓글 경쟁으로 유입된 이들 덕분에 돈을 벌 테니 책임도 져야 한다. 댓글을 운영하는 언론사도 마찬가지다.
영국은 1986년 공공질서법을 만들었는데, 무슨 내용이건 집 등에서 자기들끼리 표현하면 괜찮다. 하지만 위협을 주거나 모욕적인 내용을 게시하면 처벌한다. 소셜미디어나 온라인 댓글도 해당된다. 인종이나 종교적 차별은 최장 2년 징역형이다. 극렬 지지층이 필요해 정치권이 대안 마련에 소극적인지 모르지만, 지금은 거꾸로 갈 때다. 차로를 줄인 영국처럼.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