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s create job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arkets create jobs (KOR)

Job security was President Moon Jae-in’s first campaign promise. He vowed to defend jobs against challenges from demographic shifts and technology advances. He promised to increase public sector jobs, reduce work hours and raise our hourly minimum wage to 10,000 ($8.60) by 2020. Jobs were mentioned as top priority in his inauguration speech. The first public event he staged as the president was to visi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ere he pledged to convert every contract worker in the public sector to the permanent payroll. He established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ppointed a senior secretary for job. The message was clear: the government will use all its power and resources to create jobs.

But the results have been disappointing. The headline numbers are not bad. A total of 348,000 jobs were added in September against a year ago, and the employment rate reached 61.7 percent — the highest for September in 23 years. The government has been all buoyant. However, the reality is the opposite. Temporary hires who are employed for less than 36 hours a week totaled at 730,000. Jobs for people in their 60s and above increased by 380,000, whereas those for people in their 30s and 40s have been declining for 24 straight months. The manufacturing sector which offers decent-paying long-term jobs has shed jobs for the 18th month in a row. As many as 1.18 million full-time jobs that employ for more than 36 hours per week were lost over the last two years. During the time, the public sector was forced to convert contract workers to permanent status.

A policy dictated by the government instead of market conditions brought about the disaster. Jobs are created by the private sector. The public sector at best can employ 1.5 million people. The number makes up less than 5 percent of the entire salaried workers. But the government has confused its public role and the private sector’s role. It did not respect the latter. Steep increases in the minimum wage and a radical cut in statutory work hours have dampened employers. Employers, big and small, had to reduce the number of their workers due to a sharp rise in labor cost and waning productivity.

To create jobs, the government must first change its perspective. It must remember that jobs come from the private sector.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95 percent of the employment. To encourage them to hire more, business environment should be right. The government must keep its involvement to the minimum. Instead, it must spend tax funds to stimulate corporate investment and employment.

Actions to remove unnecessary regulations and allow more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also are also needed. Government offices differ on policies, as seen in the fiasco over van-hailing service operator Tada.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remains assertive thanks to its help in getting the liberal president elected. Only the government can make the fixes. To achieve its top goal on jobs, it must respect the private sector.

JoongAng Ilbo, Nov. 7, Page 30

양질의 일자리, 정부 아닌 시장 통해 만들자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의 공약 1호는 ‘일자리’였다. 문 후보는 고령화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도전에 맞서 일자리를 지키겠다며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노동시간 단축,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인상을 약속했다. 대통령 취임사에서도 “일자리를 무엇보다 먼저 챙기겠다”고 말했다. 사흘 뒤엔 인천공항공사를 찾아 ‘비정규직 일자리 제로’를 선언했다. 청와대엔 4차 산업혁명 위원회와 일자리 수석도 신설했다. 막강한 힘과 돈을 가진 정부가 나서 일자리를 만들고 지키겠다는 포부였다.
하지만 2년 반이 지난 지금의 성적은 실망스럽기만 하다. 얼핏 숫자만 보면 그런대로 버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최근 발표된 9월 일자리는 34만8000명 증가했고, 고용률도 61.7%도 월 기준으로 2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를 근거로 일자리 사정이 괜찮다고 강변한다. 하지만 내실을 보면 민망할 따름이다. 주당 36시간이 안 되는 단기 일자리가 73만 개 넘게 늘고, 60세 이상 고령자 일자리도 38만 개 증가했다. 반면 경제의 허리인 30~40대 고용률은 24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제조업도 18개월 연속 일자리가 감소했다. 지난 2년간 주 36시간 이상 일하는 풀타임 일자리는 무려 118만개가 사라졌다.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한창인 시점에서다.
모두가 시장 대신 정부의 역할에 치우친 정책 때문이다. 일자리는 어디까지나 시장의 영역이다. 국가·지방직 공무원(106만 9070명)을 다 합쳐도 150만명이 안 된다. 전체 임금 근로자의 5%가 채 안 된다. 하지만 정부는 공공부문과 민간영역의 역할을 혼동했다. 정작 일자리 창출의 주역인 민간 부문을 박대했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기업이 사람을 쓸 의욕을 잃게 한 게 대표적이다. 기업과 자영업자들은 급속한 인건비 상승과 생산성 하락에 대응해 사람을 줄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니 어찌 고용이 늘어나겠는가.
먼저 일자리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한다. 일자리는 민간의 몫이다. 일자리의 95%는 민간 기업이 만들고 유지한다. 이를 늘리려면 고용주체인 기업이 사업하기 편하게 해주는 게 제일이다. 정부가 직접 나서는 건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시간제 일자리를 유지하고 확대하는 데 들어가는 예산은 냉정한 효과분석을 통해 기업 활력을 높이는 사업에 투입해야 맞다.
불합리한 규제의 혁파와 노동 유연성 제고도 당연한 과제다. 하지만 최근 '타다 논란'에서 보듯 정부부처끼리 손발이 안 맞고 갈피를 못 잡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정권과 함께 성장한 민주노총은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투쟁하고 있다. 이를 바꿀 주역은 당연히 정부뿐이다. 정권의 제1 목표인 일자리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남은 임기의 초점은 민간 우대, 정부 역할 자제여야 한다. 일자리 정책의 성공은 이런 인식전환에서만 시작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