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ing on the wings of histo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Flying on the wings of history

테스트

Buhwal, Korea’s first-ever airplane, is being considered as a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한국 최초의 비행기 부활은 문화재로의 등록이 검토되고 있다.

JoongAng Daily 6면 기사 Tuesday, September 9, 2008

Lee Won-bok, 82, has been in love with airplanes all his life. 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Lee joined the Korean Air Force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graduate : 졸업하다, 졸업생

이원복(82)옹은 평생 비행기를 사랑했다. 서울대를 졸업한 그는 한국전쟁(1950~1953)기간에 공군에서 복무했다.

After retiring as a colonel in 1964, Lee worked for the Korean Air and Experimental Aircraft Association, a Wisconsin-based aviation organization, and taught classes on Korean airplanes at schools and other places.

retire : 퇴직하다, 은퇴하다

1964년 대령으로 예편한 후 그는 대한항공과 미국 위스콘신주에 있는 항공기관인 미국실험항공기협회에서 일했고 여러 학교에서 한국의 비행기에 대해 강의했다.

The love of Lee’s life is an airplane named “Buhwal (Resurrection).” It was his first airplane, and one that’s given him unparalleled joy as well as heartbreak one that’s been lost and found. Buhwal, built in 1953, is in fact Korea’s first-ever airplane.

unparalleled : 견줄 나위 없는, 비할 바 없는

이옹이 가장 아낀 비행기는 “부활”이다. 그의 첫 번째 비행기인 부활은 이옹에게 무엇에도 비할 수 없는 즐거움 뿐 아니라 가슴 찢어지는 아픔을 함께 주었다. 부활은 한 때 잃어버렸다 다시 찾았다. 1953년에 만들어진 부활은 사실상 한국의 첫 번째 비행기다.

“Back then, no one believed we could build an airplane with our own bare hands,” Lee reminisced. “But we wanted to show that we could and give hope to our country and our people, who were worn out by the ongoing war.”

reminisce : 추억하다, 추억에 잠기다

이옹은 “당시 아무 것도 가진 것 없는 우리가 비행기를 만들 수 있을 거라 누구도 믿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전쟁의 참화에 찢긴 나라와 국민에게 우리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싶었다”.

Lee and his colleagues from the aerospace engineering depart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signed the airplane in April 1953, received U.S. components during the summer and completed assembly in October that year.

colleague : 동료

서울대 항공공학과 출신의 이옹과 동료들은 1953년 4월 비행기를 설계했고 여름에 미국에서 부품을 받았으며 그해 10월 비행기 조립을 마쳤다.

In its naming ceremony in 1954, the airplane was christened Buhwal by former President Syngman Rhee, the name emblazoned across its fuselage in Rhee’s own handwriting.

테스트

The MIKA steam locomotive No.129. MIKA 증기기관차 129호

christen : (배 등에) 이름을 붙이다
fuselage : (비행기의) 동체, 기체
emblazon : 꾸미다, 그리다, 장식하다

1954년 명명식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은 그 비행기에 ‘부활’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동체에는 부활이라는 씌여져 있는데 이는 이 대통령의 친필이다.

But Buhwal and its historic significance went missing in the rapid changes that engulfed the country after the war. When Lee came back from a one-year training stint in the U.S., no one knew where the airplane was. He launched a desperate search, but all his efforts were to be in vain.

engulf : …을 빨아들이다, 던져 넣다, 삼키다
stint : (할당된) 일, 기간, 절약하다

그러나 부활과 그 역사적 중요성은 전후 한국 사회의 격변속에서 잊혀졌다. 이옹이 미국에서 1년간의 연수를 마치고 돌아왔을 때 그 비행기가 어디 있는지 아무도 몰랐다. 그는 백방으로 비행기를 찾아나섰지만 소용이 없었다.

테스트

The presidential coach, provide important clues to Korea’s railway history.대통령 전용 객차 코치는 한국 철도 역사의 중요한 유산이다.

It wasn’t until 2004 that Buhwal was found, after an article published in the JoongAng Ilbo. It turned out that the plane had been used by Korea Aerospace University since 1955 and then kept in the basement of its annex school, Kyeongsang Technical High School, since the 1960s. Lee and the Korean Air Force rescued and restored it to its original form.

annex : 부가물, 부속물
restore : 복구하다, 부흥시키다

부활은 중앙일보에 관련 기사가 실리면서 2004년 세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부활은 1955년 이후 한국항공대에 의해 사용됐고 1960년대에는 항공대 부속 경상공고의 지하에 보관돼 왔다. 이옹과 공군은 부활을 찾아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